오승우

덤프버전 :

파일:옥관문화훈장 약장.png
옥관문화훈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1984
이매방
중요무형문화재 승무, 살풀이춤 보유자
1987
강수연
배우
1988
김송†
소설가
1988
유현목
영화감독
1991
김희조
작곡가
1992
구봉서
희극인
1992
금수현†
작곡가
1992
김길봉
향토문화인
1992
김학수
화가
1992
도동환
영화인
1992
오승우
화가
1992
윤장섭
건축가
1992
이인표
기업인
1992
천혜봉
서지학자
1992
황금심
가수
1995
금난새
지휘자
1995
박춘석
작곡가
1995
고성현
성악가
1998
고운봉
가수
1999
안숙선
국악인
2000
최민식
사진작가
2001
권성덕
연극인
2001
마에다 켄지
영화감독
2001
박형진
문화원장
2001
송대관
가수
2001
유광열
도예인
2001
장석웅
건축가
2001
주남철
건축가
2001
하춘화
가수
2002
김민태
국악인
2002
김혜식
예술종합학교 무용원장
2002
명계남
배우 겸 제작자
2002
문소리
배우
2002
문장호
2002
2002
서경선
작곡가
2002
신응수
대목장
2002
이명동
사진작가
2002
이배구
출판가
2002
이성강
애니메이션 감독
2002
임동진
배우
2002
장세건†
만담가
2002
최완귀[1]
시나리오 작가
2002
조방헌[2]
가수
2002
황일인
건축가
2003
구희서[3]
연극평론가
2003
김기덕
영화감독
2003
김숙자†
중요무형문화재 살풀이춤 보유자
2003
김춘옥
화가
2003
박노을
온양문화원장
2003
박행보
화가
2003
배만금[4]
가수
2003
안종만
출판가
2003
윤승중
건축가
2003
이장호
영화감독
2003
이토 아비토
문화인류학자
2003
진성기
제주민속박물관장
2003
최은순
중요무형문화재 매듭장 보유자
2004
강영중
기업인
2004
김기찬
사진작가
2004
김정동
고건축학자
2004
성백엽
애니메이션 감독
2004
우제길
판화가
2004
이정호
애니메이션 제작자
2004
정석진
문화원장
2004
최기영
대목장
2004
최민식
배우
2004
태덕수
탈춤연구자
2004
한용희
작곡가
2005
권창륜
서예가
2005
김규원[5]
무용가
2005
김태원
문화원장
2005
박기정
만화가
2005
오윤†
판화가
2005
조남식
문화원장
2006
강상수[6]
가수
2006
김준섭
서예가
2006
김태근
연극연출가
2006
백락구
문화원장
2006
이병훈
PD
2006
이정일
출판가
2006
임남곤
문화원장
2007
고두심
배우
2007
김상옥[7]
불교인
2007
오기수
건축가
2007
위황량
장흥문화원 이사
2007
전도연
배우
2007
정재만
전통무용가
2007
정재욱
문화원장
2007
카네코 카즈시게
일본 아시아민족조형문화연구소장
2007
파트리스 드 라 페이에
미술평론가
2007
한창조
조각가
2008
김산호
만화가
2008
김윤철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2008
김준식
문화원장
2008
박만식[8]
불교인
2008
박주환
한국화랑협회 회장
2008
안선재[9]
서강대 명예교수, 번역가
2010
김동학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장
2010
박춘석†
작곡가
2012
박재상[10]
가수
2012
이무호
서예가
2012
이정진
배우
2012
조민수
배우
2015
정재도
한글학자
2019
송강호
배우
2021
백영규
도예가
[1] 필명 최인수[2] 예명 태진아[3] 필명 구히서[4] 예명 배호[5] 예명 김성일[6] 예명 현철[7] 법명 범하[8] 법명 성각[9] 귀화 전 이름 브러더 앤서니(Brother Anthony)[10] 예명 싸이





오승우
吳承雨 | Oh Seung-woo


본관
동복 오씨
출생
1930년 6월 19일
전라남도 동복군
(現 전라남도 화순군)
사망
2023년 4월 3일 (향년 92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직업
화가
학력
조선대학교 (미술과 / 학사)
약력
광주여자고등학교 미술교사
서울 배화여고 미술교사
경희대, 서라벌예술대, 홍익대, 중앙대 미술과 출강
목우회 회장, 고문
경기미술대전 심사위원장
국전 심사위원
미술대전 운영위원
한국미술협회 고문
무등미술대전 심사위원장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목우회 공모 미술대전 심사위원장
서울시 미술장식심의의원
국립현대미술관 운영 자문위원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장
전라남도전 심사위원장
대한민국 예술원 분과 위원장
단원미술대전 심사위원장
환경운동연합중앙회 지도위원
한중문화협회 상임 고문

1. 개요
2. 생애
3. 사망
4.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화가.


2. 생애[편집]


1930년 전남 화순에서 화가 오지호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957년 조선대학교를 졸업한 후 4년 연속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특선하며 화단에 진출했다. 선친의 뒤를 이은 서정적 자연주의 풍경화가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사실적 표현보다 인상주의 화풍을 바탕으로 대상에 대한 주관적이고 정서적인 해석을 담은 자유로운 화풍을 전개하였다. 그는 1960년대, 환상적인 분위기를 담은 그림을 그렸다. 그러던 1974년 유럽에 가서 1년간을 머물게 되었고 유럽일대를 여행하면서 그들이 만들어 놓은 장엄하고도 아름다운 성과 성당들, 궁전과 개선문 등의 건축물들, 공원이나 네거리에 늠름하게 서있는 조상들, 미술관에 걸려있는 수많은 태서 명화들과 현대작품들, 인간 능력으로는 더 이상 해낼 수 없는 신필의 경지에 이른 이들의 예술품을 본 후로는 오랫동안 위축되고 기가 죽어 있었다. 그림을 시작한 자신이 초라하고 후회스러웠다고 한다. 그렇게 다시 현실 세계 속의 대상에 주목했던 1970년대를 거쳐 1980년대에는 전국의 명산 100곳을 오르내리며 연작을 완성하였다. 이때 한국 100산의 대작위로 제작은 어둡고 굵은 선과 터치로 산의 내면성을 추구하여 산이 가지는 웅장함을 심도있게 다룬 역작이라 평가를 받는다. 1990년대에는 1990년 우연한 기회에 중국 여행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자금성을 보는 순간 아무런 설명을 듣지 않고도 찬란한 문화라는 것을 직감하였다. 그 규모나 건축술, 예술성이 서양의 것과 양식이 다를 뿐 조금도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니 서양 여행 이후 움츠렸던 가슴이 펴지고 자부심도 생겼다. 이 유적들을 비록 우리나라 것이 아니지만 동양인도 할 수 있다는 확신과 가능성을 보여준 거대한 증거물이으로 여긴 것이다. 그는 이 장엄한 유적물을 모두 화폭에 담고 싶은 심경이 불꽃처럼 일어났다. 이후 동양 각국을 여행하며 그곳의 전통과 정신이 담신 고건축물들을 강렬하고 분방한 색채와 필치로 담아내기 위해 노력했다. 덕분에 동방의 고건물 시리즈는 적, 청, 황, 보라 원색적인 색채로 호방하고 광란적인 터치로 제왕들의 절대 권력과 영화와 번영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는 평을 받게 되었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또 한 번의 변신을 시도하며 부드러운 파스텔 톤으로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낸 <십장생도>를 그려냈다. 이후 2011년 2월 무안군에 175점의 작품을 기증하여 그의의 이름을 딴 무안군오승우미술관을 개관했다. 그리고 2016년에는 광주시립미술관의 초대전에 응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 다음해인 2017년에는 생의 마지막 기증이 될 것이라고 말하며 60여 년 화업을 담은 작품 27점을 모교인 조선대학교에 기증했다.


3. 사망[편집]


2023년 4월 3일 오후 5시 16분께 노환으로 사망했다. 향년 92세.


4. 여담[편집]


  • 호(號)가 없어서 주변인들을 놀라게 했다고 한다.
  • 매일 아침 수영을 하며 체력을 길렀고 약주를 즐겼다고 한다.

[각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03:08:27에 나무위키 오승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