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 1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밑줄: 대관식을 받은 적이 없는 로마왕이지만 사실상 황제였던 인물




신성 로마 제국 오토 왕조 초대 황제
독일 왕국 오토 왕조 제2대 국왕

오토 대제
Otto I Große Augustus
Otto von Sachsen I Große Augustus

파일:433px-Otto_I_(HRE).jpg

독일 왕 | 이탈리아 왕 | 작센 공작
제호
오토 1세
Otto I
별칭
오토 대제
Otto der Große
출생
912년 11월 23일
독일 왕국 발하우젠
사망
973년 5월 7일 (60세)
독일 왕국 멤레벤
재위
신성 로마 황제
962년 2월 2일 ~ 973년 5월 7일
이탈리아 국왕
961년 12월 25일 ~ 973년 5월 7일
로마왕, 작센 공작
936년 7월 2일 ~ 973년 5월 7일
배우자
잉글랜드의 이드기스
(930년 결혼 / 946년 사망)
이탈리아의 아델라이드
(951년 결혼)
자녀
리우돌프, 리우르가르트, 하인리히, 브루노, 마틸다, 오토 2세
아버지
하인리히 1세
어머니
링겔하임의 마틸다
형제
헤드위제, 게르베르가, 하인리히, 브루노
종교
로마 가톨릭

1. 개요
2. 언어별 표기
3. 생애
3.1. 즉위 이전
3.2. 즉위
3.3. 초기 치세
3.4. 공작들의 반란
3.6. 이탈리아와 황제 즉위
3.7. 죽음



1. 개요[편집]


독일 왕국이탈리아 왕국 , 그리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일반적으로 신성 로마 제국 초대 황제로 간주된다. 물론 교황에 의해 황제 지위를 처음 부여받은 것은 카롤루스 대제이기 때문에 카롤루스 대제와 그의 후계자들도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 포함하는 예도 있다. 사실 '신성 로마 제국'이라는 명칭도 오토 1세 당시 확립된 것이 아니라 여러 변화를 거듭하며 수립된 것이다. 그러나 프랑크 왕국 시절 신성 로마 황제는 프랑크 국왕에게 부가적으로 따라붙는 타이틀 내지는 명예직에 가까웠던 반면, 오토 1세 이후로는 본격적인 '제국' 형태로 변모하고 그 기틀이 마련된다.


2. 언어별 표기[편집]


언어별 표기
독일어
Otto I (오토 1세)
라틴어
Otto I (오토 1세)
이탈리아어
Ottone I (오토네 1세)


3. 생애[편집]



3.1. 즉위 이전[편집]


오토 1세는 독일 왕국의 국왕 하인리히 1세와 링겔하임의 마틸다의 아들이다. 929년에 잉글랜드 왕국 웨식스 가문의 이드기스와 결혼하였다.


3.2. 즉위[편집]


오토는 936년 제후들의 선거에서 거의 만장일치로 뽑혀 아버지에 이어 독일 왕국의 왕이 되었다. 오토 1세는 카롤루스 대제 시절의 수도였던 아헨에서 대관식을 거행했으며 이때 독일 교회마인츠대주교인 힐데베르트가 오토 1세에게 성유를 발랐다. 작센의 역사학자 비두킨트는 오토 1세가 대관식 연회장에서 프랑켄, 슈바벤, 바이에른, 로트링겐의 4명의 공작에게 개인적인 수행원으로 행동하게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치세 처음부터 그는 동프랑크 왕국의 마지막 계승자가 911년에 죽어서 자신이 카롤루스 대제의 후계자라는 신호를 보냈다. 그러나 서프랑크 왕국은 카롤루스 왕조의 통치 아래에 있었다.


3.3. 초기 치세[편집]


오토는 교회를 통치하려고 했고 신성한 제국의 권력 기관을 설립하기 위해 독일 땅에 통합 기관을 만들었다. 교회는 군사적인 힘과 부를 내놓았고 지식을 독점했다. 오토는 귀족들에 대항해 보호를 제공했고 기부를 약속했다. 938년에 매장량이 많은 광산이 작센의 람멜스베르크에서 발견되었다. 산출된 은은 오토의 치세 동안 그의 활동에 금전적인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200년 동안 유럽의 은과 동전에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오토의 초기 치세는 공작들의 반란으로 점철되었다. 938년에 바이에른의 새 공작인 에버하르트가 오토에게 충성하는 것을 거부했다. 오토는 938년 봄과 가을에 두 번 군사를 내어 에버하르트를 패배시키고 제거했다. 아르눌프의 동생인 전 카린티아 공작 베르톨트가 새로운 바이에른 공작이 되었다.

메르제부르크의 백작인 지크프리트가 937년에 죽자, 이복형 탕크마르가 메르제부르크를 요구했다. 그러나 오토는 지크프리트의 동생 게로를 메르제부르크 백작으로 임명했다. 이 분쟁 동안에 프랑켄의 에버하르트와 빌룽 가의 비히만이 오토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고, 탕크마르가 이들에게 가담했다. 에버하르트와 탕크마르는 뫼네의 벨렉케를 점령했고 비히만은 오토와 화해해 작센에서의 반란은 실패했다. 에레스부르크의 요새는 제국군에 의해 포위되어 점령되었고, 탕크마르는 성 페터 성당의 제단에서 암살당했다. 프랑켄의 에버하르트는 힐데스하임에 잠시 감금되었다가 석방되어 오토의 동생인 바이에른의 하인리히와 계약을 맺었다.


3.4. 공작들의 반란[편집]


로트링겐의 공작 길버트가 계속해서 반란을 일으켜 서프랑크 국왕 루이 4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루이 4세는 로트링겐이 서프랑크 왕국의 영역에 한 번 더 들어오길 원해 길버트와 힘을 합쳤다. 이에 오토 1세는 루이 4세의 최대 적수인 대 위그, 베르망두아 백작 에르베르 2세, 노르망디 공작 윌리엄 1세[1], 플랑드르 공작 아르눌프 1세와 동맹을 맺는다. 오토의 동생(!)인 바이에른의 하인리히는 메르젠부르크를 해방시키고 길버트와 합류하기 위해 행진했다. 오토는 그들을 쉐르브몽 성에서 포위했으나 루이 4세가 베르됭을 차지하자 그에 대항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오토는 루이 4세를 그의 수도로 되돌려 보냈다.

그리고 오토는 프랑켄 공작을 라인 강의 브리작 요새에서 포위했다. 이때 마인츠의 프리드리히 대주교가 오토에 대항하여 그의 군대를 이끌고 하인리히와 길버트의 편에 가담했다. 오토의 군대를 이끄는 사령관인 니더랑하우 백작 콘라트 쿠르츠볼트와 그의 사촌 웨트로와 라인가우의 백작인 오도는 반란군과 안더나흐에서 마주쳤다. 에버하르트는 전투에서 죽었으며 길버트는 라인 강에 빠져 익사하고 하인리히는 서프랑크로 달아났다. 그리고 오토는 서프랑크 왕에 대항하는 대 위그의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로 했다.

941년 오토와 하인리히는 그들의 어머니의 노력으로 화해했으며, 942년에 루이 4세가 로트링겐 밖의 그의 종주권을 인정하자 서프랑크에서 군대를 철수시켰다. 그리고 나서 오토는 크베틀린부르크의 부활절 축하 행사 기간 동안에 하인리히를 암살하기 위해, 프리드리히 대주교와 공모한 슬라브 부족에 대항해 전쟁을 일으켰다. 그러나 음모가 발각되어 하인리히가 도주했고 나중에 오토가 사면했다.

차후에 일어날 반란을 예방하기 위해 오토는 독일의 중요한 공작 영지를 가까운 가족이 차지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비어버린 프랑켄 공작령을 자신의 영지로 유지했으며, 로트링겐 공령을 붉은 콘라트에게 주었다. 바이에른의 베르톨트 공작이 947년에 죽자 하인리히에게 바이에른 공작령을 주었다. 그 동안 오토는 아들 루이트돌프가 슈바벤 헤르만 공작의 딸 아이다와 결혼할 수 있도록 하였고, 947년에 헤르만이 죽자 아들에게 영지를 상속받게 했다. 유사한 방법으로 하인리히 역시 949년 바이에른 공작이 되었다.


3.5. 마자르 격파: 레히펠트 전투[편집]


10세기경에 중부 유럽을 시작으로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심지어는 스페인까지 약탈을 지속하던 유목 민족 마자르는 독일 동남부에 큰 피해를 입혔다. 그러던 955년, 오토 1세가 이끈 독일 제후 연합군은 현재 오스트리아의 레히펠트 평원에서 마자르 대군을 격파, 중세 초기 유럽의 3대 외침[2] 중 하나인 그들을 판노니아 평원으로 몰아내었다. 이로써 강제로 정착하게 된 마자르인들은 대공국을 세운 후 1000년에 가톨릭으로 개종, 헝가리 왕국으로 거듭나게 된다.

레히펠트 전투에서 승리한 오토 1세는 독일, 더 나아가 중부 유럽 일대의 구원자로 이름을 날리며 962년에 교황이 신성 로마 황제관을 그에게 수여하게 되는 계기 중 하나를 만들게 되었다. 현재까지도 독일의 영웅 중 하나로 거론된다.


3.6. 이탈리아와 황제 즉위[편집]


960년 초기에 이탈리아 왕국은 정치적으로 혼란이 일어났다. 이탈리아 국왕인 베렝가리오 2세가 교황령 북쪽을 점령하자 교황 요한 12세는 오토 1세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오토는 이탈리아로 진군해 베렝가리오 2세를 격파하고 그를 봉신으로 삼은 뒤 이탈리아 국왕 자리에 즉위 하였다. 그리고 962년 2월 2일에 교황으로부터 황제의 관을 받았다. 10일 뒤에 교황과 오토는 황제가 교황령 독립의 보증인이 되는 ‘오토의 특권’ 조약을 체결했다. 다음에 오토가 로마를 떠나 교황령 북쪽을 되찾았지만 요한 12세가 오토 1세의 힘을 두려워했다. 그래서 요한 12세는 마자르 인들과 동로마 제국에 사절을 보내 오토에 대항하는 동맹을 촉구했다. 963년 11월 오토는 로마로 돌아와 종교회의를 소집하여 요한 12세를 폐위시키고 새로운 교황 레오 8세를 선출했다. 그러나 오토가 로마를 떠나자 오토 지지 세력과 요한 12세 지지 세력 간에 내전이 벌어졌다.

요한 12세가 거대한 유혈사태 가운데 힘을 가지고 돌아와 자신을 내쫓은 오토를 파문했다. 이것 때문에 오토는 964년 교황 베네딕토 5세를 폐위시켜야 했다. 이 기회에 오토는 제국의 인정 없이 교황을 선출할 수 없다는 약속을 로마 시민들에게 받아냈다. 966년부터 972년까지 몇 차례나 남이탈리아로 원정을 떠났으나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967년에 베네벤토와 카푸아의 지배자이며 메조기오르노의 강력한 동맹인 판둘프 1세에게 스폴레토 공작령을 주었다. 968년에 오토는 판둘프에게 맡겨진 바리의 포위를 풀었으나, 판둘프는 보비노 전투에서 동로마 제국의 군대에게 사로잡혔다. 동로마 제국 황제 니키포로스 2세는 오토가 보낸 사신인 크레모나 주교 리우트프란트를 박대하고 오토의 황제 즉위를 불인정했으나, 니키포로스 2세를 죽이고 황제가 된 요한네스 1세 치미스케스는 972년 오토의 서방황제 직위를 인정했고 그의 조카딸 테오파노와 오토의 아들인 오토 2세가 결혼하는 것을 허락했다.


3.7. 죽음[편집]


973년 사망한 뒤에 첫 부인 이드기스와 함께 마그데부르크 대성당에 매장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39px-HerscherpaarMagdeburgCathedral.jpg
오토 1세와 왕비 에디스의 조각상. 막데부르크 대성당. 1250년경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2:20:58에 나무위키 오토 1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욤 1세, 롤로의 아들[2] 사라센, 노르드, 마자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