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토끼

덤프버전 :


1. 흰 토끼
2. 달 속에 산다는 전설상의 토끼
2.2. 불교에서
2.3. 대중매체에서
3. 옥토끼에서 이름을 따 온 것
3.1. 태풍의 이름
3.2. 옥토끼 우주센터
3.3. 중국의 월면차
4. 관련 문서


1. 흰 토끼[편집]


하얀 털의 토끼로, 회색 토끼를 말하는 '재토끼'같이 토끼를 색으로 나눈 단어이다.

그냥 흰 털을 가졌을 뿐인 토끼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흰 토끼하면 생각나는 붉은 눈을 가진 흰 토끼는 알비노 개체로, 원래 자연에서 알비노는 눈에 잘띄기 때문에 단명하여 도태되지만, 굴을 파고 사는 설치류 특성상 토끼나 쥐의 알비노는 개체수가 많다.

은 녹색이 많은데 왜 흰색을 옥이라 불렀는지를 알려면 옥의 종류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옥은 크게 '연옥'과 '경옥'으로 나뉜다. 경도가 낮은 연옥은 쉽게 깨지기에 가공 난이도가 높지만 오래가는 경옥이 선호되어, 경옥 문화가 들어오면 연옥이 밀려나 잘 쓰이지 않는다. 경옥은 다시 녹색인 비취와 흰색인 백옥으로 나뉘며, 우리에게 익숙한 옥들은 이것들이다. 하지만 옥토끼의 옥은 연옥을 말하며, 연옥은 다른색도 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유백색이다.

2. 달 속에 산다는 전설상의 토끼[편집]




파일:White-Rabbit-making-elixir-of-immortality.jpg

달에서 산다고 하는 토끼. 한국, 일본, 중국 같은 동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인도에까지 이러한 전설이 있다.

파일:attachment/moon_2.jpg

이러한 전설이 생기게 된 이유는 달의 바다, 즉 달 표면에 운석이 떨어져 생긴 크레이터로 어둡게 보이는 부분을 중국 사람들이 방아를 찧는 토끼와 같다고 연상했고 이후 이 설화가 한국, 일본,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나 인도로 퍼진 것이다.[1] 토끼 말고 다른 것을 연상하기도 했는데 중국이나 유럽 등에서는 두꺼비당나귀, 여인의 얼굴 등을 연상했고 앙골라, 페루에서도 두꺼비를 연상했다. 베트남에서는 죽은 사람도 살리는 만병통치의 나뭇잎이 자라나는 나무와 나무꾼을 떠올린다고 한다.[2]

옥토끼 전설은 국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중국 신화에서는 절구로 약초를 빻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에서는 떡방아를 찧고 있으며 중국과 한국에서는 토끼가 계수나무[3] 아래에서 절구를 찧는다고 전해지지만 일본 설화에는 나무가 등장하지 않는다.

아시아와는 별개로 북미 지역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전승이나 아즈텍 신화에도 달에 사는 토끼 전설이 존재하지만 내용은 다르다. 아즈텍에서는 신성한 태양이 되는 화로에 몸을 태워야만 태양이 되는데 말 그대로 몸이 타는 거라서 다음 타자가 되려고 했던 부유의 신은 망설인다. 이걸 본 가난의 신이 자청해서 뛰어들었고 태양이 되었다. 이걸 본 부유의 신은 부끄러움을 느껴 자신도 뛰어들었지만 '태양이 2개가 되어 버리자 인간들이 망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 신들은 부유의 신에게 토끼를 던져 달로 만들었고 이게 달토끼가 되었다는 전승이다.

옥토끼라는 이름은 1번 문단의 흰 토끼에서 유래했는데 달이 희기 때문에 그 위의 토끼도 흰 토끼라는 것이다. 오히려 구슬처럼 둥근 달에 있어서 옥토끼고 거기서 달빛 토끼를 옥토끼라 부르는 것이 파생되지 않았나 의문을 가질 수 있는데 한국에서 을 구슬이란 뜻으로 사용하는 것이 확인된 것은 15세기 쯤으로, 구슬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이 생기기 전에는 보석 옥의 뜻만 있었다. 당연히 기원전에도 있었던 옥토끼 전설에 영향을 줄 수는 없었다. 달이 노랗다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금토(金兔)라고도 부른다.

옥토(玉兎)뿐 아니라 은토(銀兎)라고도 하며 중국 및 일본에서는 월토(月兔, 月の兎)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는 과거부터 이를 옥토끼라고 불러 왔으나 21세기에는 옥토끼라는 단어의 사용빈도가 줄어들고 보다 직관적인 신조어인 달토끼라는 단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게임 등에서는 한자로 월묘(月卯)라는 말을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4]

옥토끼 전설이 퍼지면서 달에 토끼가 있다는 뜻으로 토(兔) 자체를 달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경우에도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옥토나 은토, 토월(兔月) 등이 대표적인 용례다. 옥토끼 전설과 비슷하게 중국에서 퍼졌고 한국에는 삼족오로 유명한 태양에 세발달린 까마귀 '금오(金烏)'가 산다는 전설이 있는데 이와 합쳐 일본에서는 해와 달을 금오옥토(金烏玉兎)라고 부른다.


2.1. 중국 신화에서[편집]


달에 살게 되었다는 여신 항아와 관련된 전설이 있다.

달에 갇혀 살게 된 항아 다음으로 달에 오게 된 사람은 염제 신농에게 형벌을 받아 달로 유배오게 된 오강이란 남자였다. 오강이 달에서 연신 되살아나는 계수나무를 영원히 베어내야 하는 형벌을 받는 동안, 지상에 있던 오강의 아내는 자신을 겁탈한 염제의 조카[5]

의 피를 이은 남매를 낳게 되었다.
오강의 아내는 남편을 걱정해 아이들에게 달로 가서 아버지(오강)을 외롭지 않게 해달라 부탁했고, 아이들은 어머니의 부탁을 받아들여 달로 가기로 했다. 허나 남매는 오강이 자신들을 알아보고 해칠까 두려워하여 오빠는 두꺼비로, 여동생은 옥토끼로 모습을 바꾸고 달로 가, 오강과 항아와 함께 달에서 살게 되었다.



2.2. 불교에서[편집]


본생경(자타카)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전설이 있다.

원숭이, 여우, 토끼 세 마리가 산 속에 쓰러진 추레한 노인과 만났다. 세 마리 동물은 노인을 구하려고, 원숭이는 나무 열매를 모으고 여우는 강에서 물고기를 잡아서 노인에게 공양했다. 그러나 토끼는 아무리 노력해도 아무것도 얻지 못해 결국 원숭이와 여우에게 부탁해 불을 지피고 스스로 불 속에 몸을 던져 자기 자신을 공양했다. 그 모습을 본 노인이 정체를 드러냈는데 노인은 바로 제석천이었다. 제석천은 토끼의 자기 희생을 후세까지 전하고자 토끼를 달로 올려보냈다. 달에 보이는 토끼 모습 주위에 연기 모양의 그림자가 있는 건 토끼가 자기 자신을 불에 태울 때의 연기라고 한다.

참고로 본생경은 부처가 석가족의 왕자로서 태어나기 전의 삶에서 쌓은 공덕을 모은 설화집으로, 이 이야기에 나오는 토끼는 석가모니의 전생 중 하나다.


2.3. 대중매체에서[편집]


말 그대로 달에 사는 토끼로 설정을 잡아 옥토끼 자체를 모티브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냥 토끼를 모티브로 한 대상에 달과 관련된 무언가를 집어넣거나 반대로 달을 모티브로 한 대상에 토끼 요소를 더하는 경우는 심심찮게 발생한다.

한국에서는 정월대보름이나 추석 같은 달과 관련된 명절에 각종 게임사에서 토끼 관련 아이템이 나온다. 특히 굳이 토끼 자체가 아니더라도 정월대보름과 추석에 먹는 송편을 토끼가 찧는 떡방아와 연상시켜 토끼가 송편을 찧는 장면이나 설정을 넣는 경우도 있다.

롤링스카이에서는 '상서로운 옥토끼' 스테이지를 출시하기도 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롤링스카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옥토끼에서 이름을 따 온 것[편집]



3.1. 태풍의 이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위투(태풍)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중국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 중국어기 때문에 발음은 위투(玉兔, Yutu)다.


3.2. 옥토끼 우주센터[편집]


공식 홈페이지

인천 강화군에 위치한 국내 최초의 우주항공 테마파크. 정부 지원 없이 민간에서 210억원을 들여 2007년 5월 2일 처음 개장했으며, 조민석 건축가에 의한 2,000여평의 전시 공간과 유수풀과 눈썰매장 등이 있는 옥외 공간으로 구성된다.


3.3. 중국의 월면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창어 계획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중국의 달 탐사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월면차. 상술한 중국 신화에서 이름을 따 와 달탐사위성은 창어, 월면차는 위투라고 하며 위성의 이름 때문에 이 달 탐사 프로젝트를 창어 프로젝트라고도 한다.

창어 1호, 창어 2호는 착륙하지 않고 주변 궤도를 도는 탐사선이였기 때문에 위투가 탑재되지 않았고 위투호는 2013년 12월 2일 발사된 창어 3호에 탑재되었다. 동월 14일, 위투호는 무사히 월면에 착륙하여 2016년 중반까지 역할을 수행했고 이로서 중국은 미국, 러시아를 잇는 3번째 달착륙 국가가 되었다.

2018년 12월 7일 발사된 창어 4호에 탑재된 위투 2호는 2019년 1월 3일 착륙하여 임무를 시작했다. 원래는 3개월 기동하는 것을 상정했으나 2년 이상 버텨 소련의 루노호트 1호가 세운 322일의 기록을 갈아치웠다. 위투 2호가 보낸 정보를 토대로 중국이 세계 최초로 달 뒷면의 지하 천부층 구조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4. 관련 문서[편집]



[1] 이같은 연상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이 파레이돌리아다.[2] 깨끗한 물만 줘야 하는 영험한 나무였는데 나무꾼의 아내가 실수로 더러운 물(혹은 오줌)을 줬더니 나무가 뿌리채 뽑혀 차츰 하늘로 떠올랐다고 한다. 이에 놀란 나무꾼이 다급하게 도끼로 나무를 찍었지만 나무는 그와 함께 올라갈뿐이었고 마침내 달에 도착했다는 설화.[3] 전설 속 계수나무는 목서이며 한국의 계수나무와는 다른 나무이다. 중국에서는 목서를 계수라고도 부른다. 현재의 계수나무는 원래 한국에 자생하지 않았는데 일제강점기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어 계수나무라는 이름으로 널리 퍼지면서 이러한 혼동이 생겼다. 상세한 내용은 목서계수나무 문서 참조.[4] 메이플스토리, 블레이드 & 소울[5] 이 조카가 그녀를 범해서 그녀의 남편이었던 오강에게 살해당했고, 이 건으로 분노한 염제가 오강에게 벌을 줘서 오강이 달까지 유배당하게 된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2:48:07에 나무위키 옥토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