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0)

파일:리그 1 맥도날드 로고(화이트).svg
2024-25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33%><height=80> 파일:FC 낭트 로고.svg
||<width=33%> 파일:OGC 니스 로고.svg
|| 파일:RC 랑스 로고.svg
||
||<height=80> 파일:스타드 렌 FC 로고.svg
|| 파일:르아브르 AC 로고.svg
|| 파일:올랭피크 리옹 엠블럼.svg
||
||<height=80> 파일:LOSC 릴 로고.svg
||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 파일:AS 모나코 FC 로고.svg
||
||<height=80> 파일:몽펠리에 HSC 로고.svg
|| 파일:스타드 브레스투아 29 로고.svg
|| 파일:AS 생테티엔 엠블럼.svg
||
||<height=80> 파일:스타드 드 랭스 로고.svg
|| 파일: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로고.svg
|| 파일:앙제 SCO 로고.svg
||
||<height=80> 파일:AJ 오세르 로고.svg
|| 파일:툴루즈 FC 로고.svg
||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
||<-4><bgcolor=#01FECF> 파일:리그 2 워드마크(2024).svg ||
||<-4><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프랑스 국기.svg 리그 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에레디비시
파일:벨기에 국기.svg 프로 리그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십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내셔널디비전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프리미어 디비전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프리미어십파일:웨일스 국기.svg 컴리 프리미어
||
||<-4>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151e2d,#DDD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a1b1f><width=12%><colbgcolor=#2faee0> '''{{{#fff 산하[br]스포츠단}}}''' ||<width=12%><colbgcolor=#fff> {{{#bea064 '''축구'''}}}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틀: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스쿼드]]/[[틀:올랭피크 드 마르세유/간략|간략]]) || || '''{{{#fff 역사와 문화}}}''' || {{{#bea064 '''역사'''}}}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역사|역사]] '''·''' [[틀: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감독|역대 감독]] || || '''{{{#ffffff 관련 상식}}}''' || {{{#bea064 '''더비 매치'''}}} ||[[파리 생제르맹 FC|[[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height=25]]]] [[르 클라시크]] || || '''{{{#ffffff 구단 시설}}}''' || {{{#bea064 '''경기장'''}}} ||[[오렌지 벨로드롬]] ||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Olympique de Marseille
정식 명칭Olympique de Marseille[1]
별칭Les Phocéens(포카이아인), l'OM(로엠)
창단1899년 8월 31일 (125주년)[2]
소속 리그리그 1 (Ligue 1)
연고지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레지옹 부슈뒤론주 마르세유(Marseille)
홈구장오렌지 벨로드롬 (Orange Vélodrome)[3]
(67,394명 수용)
라이벌파리 생제르맹 FC - 르 클라시크
올랭피크 리옹 - 쇼크 데 졸랭피크
구단주
파일:미국 국기.svg

프랭크 매코트 (Frank McCourt)[4]
회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블로 롱고리아 (Pablo Longoria)
스포츠 디렉터
파일:모로코 국기.svg

메흐디 베나티아 (Medhi Benatia)
감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베르토 데 제르비 (Roberto De Zerbi)
주장
파일:프랑스 국기.svg

발렌틴 론지에 (Valentin Rongier)
부주장
파일:프랑스 국기.svg

사뮈엘 지고 (Samuel Gigot)
UEFA 랭킹33위[5] 출처
공식 웹사이트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https://www.youtube.com/25]]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파일:스냅챗 로고.svg
팬 커뮤니티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약칭OLM
우승 기록
리그 1 (1부)
(9회)
1936-37, 1947-48, 1970-71, 1971-72, 1988-89,
1989-90, 1990-91, 1991-92, 2009-10
리그 2 (2부)
(1회)
1994-95
쿠프 드 프랑스
(10회)
1923-24, 1925-26, 1926-27, 1934-35, 1937-38,
1942-43, 1968-69, 1971-72, 1975-76, 1988-89
쿠프 드 라 리그
(3회)
2009-10, 2010-11, 2011-12
트로페 데 샹피옹
(3회)
1971, 2010, 2011
UEFA 챔피언스 리그
(1회)
1992-93
UEFA 인터토토컵
(1회)
2005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비토르 올리베이라 (Vitor Manuel Carvalho Oliveira)
(2023년, From SC 브라가, 3,20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벨기에 국기.svg

미키 바추아이 (Michy Batshuayi)
(2016년, To 첼시 FC, 3,900만 €)
최다 출장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티브 망당다 (Steve Mandanda) - 613경기 (2007-2016, 2017-2022)
최다 득점
파일:스웨덴 국기.svg

군나르 안데르손 (Gunnar Andersson) - 194골 (1950-1958)
리그 1 득점왕
(12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군나르 안데르손 (1951-52, 1952-53)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요시프 스코블라르 (1970-71, 1971-72, 1972-73)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피에르 파팽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알렌 복시치 (1992-93)
파일:세네갈 국기.svg

마마두 니앙 (2009-10)

1. 개요
2. 역사
2.1. 요약
3. 라이벌
5. 선수 명단
6. 유명 선수
6.1. 최다 득점 기록
6.2. 최다 출장 기록
7. 유니폼
8. 여담
9. 사건사고
9.1. 서포터스의 올랭피크 리옹 원정버스 습격 사건
10.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파일:Desktop_1920_UK_L1_OM_fans.jpg

DROIT AU BUT(골대를 향해 전진)[5]

마르세유의 팀 구호


프랑스의 프로 축구 클럽. 연고지는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레지옹 부슈뒤론주 마르세유. 홈구장은 오렌지 벨로드롬.

UEFA 챔피언스 리그가 유러피언 컵에서 현재의 UEFA 챔피언스 리그로 개편된 원년에 우승을 차지하여, 현재까지는 프랑스의 유일한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클럽이다.[6][7] 또한 리그앙에서 9번 우승했고, 쿠프 드 프랑스(프랑스의 FA 컵)에서도 10번 우승을 보유하고 있는 구단이다.

또한 프랑스 내에서 가장 큰 축구 전용 구장인 오렌지 벨로드롬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홈 팬들의 뜨거운 응원 열기는 유럽 전체에서도 알아주는 편이다.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 요약[편집]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시즌별 리그 순위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rowbgcolor=#ffffff><tablewidth=100%><width=25%> '''{{{#bea064 시즌 }}}''' ||<width=15%> '''{{{#bea064 부 }}}''' || '''{{{#bea064 리그 }}}''' ||<width=15%> '''{{{#bea064 순위 }}}''' || ||<rowbgcolor=#e5e5e5> 1932-33 || 1 || 디비지옹 1 || '''2''' || ||<rowbgcolor=#eecc99> 1933-34 || 1 || 디비지옹 1 || '''3''' || ||<rowbgcolor=#fcfcfc> 1934-35 || 1 || 디비지옹 1 || '''8''' || ||<rowbgcolor=#fcfcfc> 1935-36 || 1 || 디비지옹 1 || '''6''' || ||<rowbgcolor=#fffcaf> 1936-37 || 1 || 디비지옹 1 || '''1''' || ||<rowbgcolor=#e5e5e5> 1937-38 || 1 || 디비지옹 1 || '''2''' || ||<rowbgcolor=#e5e5e5> 1938-39 || 1 || 디비지옹 1 || '''2''' || ||<rowbgcolor=#fcfcfc> 1939-40 ||<-3><|6> [[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 ||<rowbgcolor=#fcfcfc> 1940-41 || ||<rowbgcolor=#fcfcfc> 1941-42 || ||<rowbgcolor=#fcfcfc> 1942-43 || ||<rowbgcolor=#fcfcfc> 1943-44 || ||<rowbgcolor=#fcfcfc> 1944-45 || ||<rowbgcolor=#fcfcfc> 1945-46 || 1 || 디비지옹 1 || '''9''' || ||<rowbgcolor=#fcfcfc> 1946-47 || 1 || 디비지옹 1 || '''6''' || ||<rowbgcolor=#fffcaf> 1947-48 || 1 || 디비지옹 1 || '''1''' || ||<rowbgcolor=#eecc99> 1948-49 || 1 || 디비지옹 1 || '''3''' || ||<rowbgcolor=#fcfcfc> 1949-50 || 1 || 디비지옹 1 || '''8''' || ||<rowbgcolor=#fcfcfc> 1950-51 || 1 || 디비지옹 1 || '''8''' || ||<rowbgcolor=#fcfcfc> 1951-52 || 1 || 디비지옹 1 || '''16''' || ||<rowbgcolor=#fcfcfc> 1952-53 || 1 || 디비지옹 1 || '''6''' || ||<rowbgcolor=#fcfcfc> 1953-54 || 1 || 디비지옹 1 || '''14''' || ||<rowbgcolor=#fcfcfc> 1954-55 || 1 || 디비지옹 1 || '''10''' || ||<rowbgcolor=#fcfcfc> 1955-56 || 1 || 디비지옹 1 || '''5''' || ||<rowbgcolor=#fcfcfc> 1956-57 || 1 || 디비지옹 1 || '''6''' || ||<rowbgcolor=#fcfcfc> 1957-58 || 1 || 디비지옹 1 || '''16''' || ||<rowbgcolor=#fcfcfc> 1958-59 || 1 || 디비지옹 1 || '''20''' || ||<rowbgcolor=#fff1f1> 1959-60 || 2 || 디비지옹 2 || '''10''' || ||<rowbgcolor=#fff1f1> 1960-61 || 2 || 디비지옹 2 || '''6''' || ||<rowbgcolor=#fff1f1> 1961-62 || 2 || 디비지옹 2 || '''4''' || ||<rowbgcolor=#fcfcfc> 1962-63 || 1 || 디비지옹 1 || '''20''' || ||<rowbgcolor=#fff1f1> 1963-64 || 2 || 디비지옹 2 || '''5''' || ||<rowbgcolor=#fff1f1> 1964-65 || 2 || 디비지옹 2 || '''14''' || ||<rowbgcolor=#fff1f1> 1965-66 || 2 || 디비지옹 2 || '''2''' || ||<rowbgcolor=#fcfcfc> 1966-67 || 1 || 디비지옹 1 || '''9''' || ||<rowbgcolor=#fcfcfc> 1967-68 || 1 || 디비지옹 1 || '''4''' || ||<rowbgcolor=#fcfcfc> 1968-69 || 1 || 디비지옹 1 || '''7''' || ||<rowbgcolor=#e5e5e5> 1969-70 || 1 || 디비지옹 1 || '''2''' || ||<rowbgcolor=#fffcaf> 1970-71 || 1 || 디비지옹 1 || '''1''' || ||<rowbgcolor=#fffcaf> 1971-72 || 1 || 디비지옹 1 || '''1''' || ||<rowbgcolor=#eecc99> 1972-73 || 1 || 디비지옹 1 || '''3''' || ||<rowbgcolor=#fcfcfc> 1973-74 || 1 || 디비지옹 1 || '''12''' || ||<rowbgcolor=#e5e5e5> 1974-75 || 1 || 디비지옹 1 || '''2''' || ||<rowbgcolor=#fcfcfc> 1975-76 || 1 || 디비지옹 1 || '''9''' || ||<rowbgcolor=#fcfcfc> 1976-77 || 1 || 디비지옹 1 || '''12''' || ||<rowbgcolor=#fcfcfc> 1977-78 || 1 || 디비지옹 1 || '''4''' || ||<rowbgcolor=#fcfcfc> 1978-79 || 1 || 디비지옹 1 || '''12''' || ||<rowbgcolor=#fcfcfc> 1979-80 || 1 || 디비지옹 1 || '''19''' || ||<rowbgcolor=#fff1f1> 1980-81 || 2 || 디비지옹 2 || '''6''' || ||<rowbgcolor=#fff1f1> 1981-82 || 2 || 디비지옹 2 || '''3''' || ||<rowbgcolor=#fff1f1> 1982-83 || 2 || 디비지옹 2 || '''4''' || ||<rowbgcolor=#fff1f1> 1983-84 || 2 || 디비지옹 2 || '''1''' || ||<rowbgcolor=#fcfcfc> 1984-85 || 1 || 디비지옹 1 || '''17''' || ||<rowbgcolor=#fcfcfc> 1985-86 || 1 || 디비지옹 1 || '''12''' || ||<rowbgcolor=#e5e5e5> 1986-87 || 1 || 디비지옹 1 || '''2''' || ||<rowbgcolor=#fcfcfc> 1987-88 || 1 || 디비지옹 1 || '''6''' || ||<rowbgcolor=#fffcaf> 1988-89 || 1 || 디비지옹 1 || '''1''' || ||<rowbgcolor=#fffcaf> 1989-90 || 1 || 디비지옹 1 || '''1''' || ||<rowbgcolor=#fffcaf> 1990-91 || 1 || 디비지옹 1 || '''1''' || ||<rowbgcolor=#fffcaf> 1991-92 || 1 || 디비지옹 1 || '''1''' || ||<rowbgcolor=#fcfcfc> 1992-93 || 1 || 디비지옹 1 || '''-''' || ||<rowbgcolor=#e5e5e5> 1993-94 || 1 || 디비지옹 1 || '''2''' || ||<rowbgcolor=#fff1f1> 1994-95 || 2 || 디비지옹 2 || '''1''' || ||<rowbgcolor=#fff1f1> 1995-96 || 2 || 디비지옹 2 || '''2''' || ||<rowbgcolor=#fcfcfc> 1996-97 || 1 || 디비지옹 1 || '''11''' || ||<rowbgcolor=#fcfcfc> 1997-98 || 1 || 디비지옹 1 || '''4''' || ||<rowbgcolor=#e5e5e5> 1998-99 || 1 || 디비지옹 1 || '''2''' || ||<rowbgcolor=#fcfcfc> 1999-00 || 1 || 디비지옹 1 || '''15''' || ||<rowbgcolor=#fcfcfc> 2000-01 || 1 || 디비지옹 1 || '''15''' || ||<rowbgcolor=#fcfcfc> 2001-02 || 1 || 디비지옹 1 || '''9''' || ||<rowbgcolor=#eecc99> 2002-03 || 1 || 리그 1 || '''3''' || ||<rowbgcolor=#fcfcfc> 2003-04 || 1 || 리그 1 || '''7''' || ||<rowbgcolor=#fcfcfc> 2004-05 || 1 || 리그 1 || '''5''' || ||<rowbgcolor=#fcfcfc> 2005-06 || 1 || 리그 1 || '''5''' || ||<rowbgcolor=#e5e5e5> 2006-07 || 1 || 리그 1 || '''2''' || ||<rowbgcolor=#eecc99> 2007-08 || 1 || 리그 1 || '''3''' || ||<rowbgcolor=#e5e5e5> 2008-09 || 1 || 리그 1 || '''2''' || ||<rowbgcolor=#fffcaf> 2009-10 || 1 || 리그 1 || '''1''' || ||<rowbgcolor=#e5e5e5> 2010-11 || 1 || 리그 1 || '''2''' || ||<rowbgcolor=#fcfcfc> 2011-12 || 1 || 리그 1 || '''10''' || ||<rowbgcolor=#e5e5e5> 2012-13 || 1 || 리그 1 || '''2''' || ||<rowbgcolor=#fcfcfc> 2013-14 || 1 || 리그 1 || '''6''' || ||<rowbgcolor=#fcfcfc> 2014-15 || 1 || 리그 1 || '''4''' || ||<rowbgcolor=#fcfcfc> 2015-16 || 1 || 리그 1 || '''13''' || ||<rowbgcolor=#fcfcfc> 2016-17 || 1 || 리그 1 || '''5''' || ||<rowbgcolor=#fcfcfc> 2017-18 || 1 || 리그 1 || '''4''' || ||<rowbgcolor=#fcfcfc> 2018-19 || 1 || 리그 1 || ''' 5''' || ||<rowbgcolor=#e5e5e5> 2019-20 || 1 || 리그 1 || '''2''' || ||<rowbgcolor=#fcfcfc> 2020-21 || 1 || 리그 1 || '''5''' || ||<rowbgcolor=#e5e5e5> 2021-22 || 1 || 리그 1 || '''2''' || ||<rowbgcolor=#eecc99> 2022-23 || 1 || 리그 1 || '''3''' || ||<rowbgcolor=#fcfcfc> 2023-24 || 1 || 리그 1 || '''8''' ||



3. 라이벌[편집]


오늘날 위상은 좀 떨어진 편이지만, 역사적으로는 리그앙을 주도해온 최강팀이었기 때문에, 다른 팀이 리그앙에 왕조를 구축하면 무조건 라이벌리가 걸린다고 보면 된다.

파리 생제르맹 FC와는 기본적으로 최대의 라이벌이다[8]. 파리와 마르세유 간의 지역감정과 북부와 남부를 대표하는 팀이기에 더비 이름도 엘 클라시코에서 따온 르 클라시크다. 다만 파리의 창단 연도가 비교적 최근이라 이름과 달리 역사는 깊지 않은 편이다. 애초에 더비 이름 자체도 레알 마드리드FC 바르셀로나의 인기를 등에 업은 라리가에게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리그앙의 부흥을 위해서 만든 명칭이기도 하다.

올랭피크 리옹과도 라이벌 관계다. 파리 생제르맹 FC가 2010년대 최강팀이자 남/북부의 대결이라면, 이쪽은 2000년대 최강팀이며 현재는 남부의 최강자를 놓고 겨루는 팀이기도 하다. 더비 이름은 양 팀 이름에 모두 올랭피크가 들어간 것을 이용한 'Choc des Olympiques'. 우리말로 하면 '올림픽 충돌' 정도라 할 수 있다.

그 외에 AS 생테티엔과도 라이벌리가 있으나, 생테티엔이 리그앙에 왕조를 구축한 것은 50년 전인 1960~70년대의 일인 데다가 이쪽은 마르세유보다는 같은 오베르뉴론알프 지역의 리옹과 더 라이벌리가 짙어서 오늘날에는 "그냥 라이벌리가 있(었)다" 정도의 수준이다.


4. 영구결번[편집]


올림피크 드 마르세유 영구결번
No. 28
8시즌 동안 미드필더로서 변함없는 활약을 하였던 마티유 발부에나의 공로를 인정해 마르세유 구단은 2014년 8월 6일, 발부에나의 번호 28번을 영구결번으로 선정하였으나 15-16 시즌을 앞두고 발부에나는 여름 이적 시장을 통해 마르세유가 아닌 올림피크 리옹으로 이적하며 리그앙에 복귀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발부에나와 여자친구가 성관계를 갖는 영상이 범죄 조직에 의해 유출되었고, 카림 벤제마를 포함한 범죄자들이 이 영상을 빌미로 발부에나에게 금전을 요구하는 사건까지 겹치면서 영구결번에서 해제되었다.

위 사건은 발부에나가 피해자이기에 만약 리옹 이적이 없었다면 마르세유에서 영결 해제를 당하지 않았을 것이다.


5. 선수 명단[편집]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24-25 시즌 스쿼드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메를랑 24.png
파일:지고 24.png
파일:발레르디 24.png
파일:울리세스 가르시아 24.png
1345 (C)6
헤로니모 룰리
Gerónimo Rulli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GK
1992.05.20
2024~2027
쿠엔탕 메를랑
Quentin Merlin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2002.05.16
2024~2028
사뮈엘 지고
Samuel Gigot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3.10.12
2022~2025
레오나르도 발레르디
Leonardo Balerdi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DF
1999.01.26
2021~2026
울리세스 가르시아
Ulisses Garcia

파일:스위스 국기.svg | DF
1996.01.11
2024~2028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우나히 24.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하릿 24.png
7891011
발렌틴 카르보니
Valentin Carboni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MF
2005.03.05
2024~2025[1]
아제딘 우나히
Azzedine Ounahi

파일:모로코 국기.svg | MF
2000.04.19
2023~2027
엘리예 와히
Elye Wahi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3.01.02
2024~2029
메이슨 그린우드
Mason Greenwoo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1.10.01
2024~2029
아민 하릿
Amine Harit

파일:모로코 국기.svg | MF
1997.06.18
2021~2027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뭄바냐 24.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1213141617
제프리 더랭
Jeffery De Lange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GK
1998.04.01
2024~2027
데릭 코넬리우스
Derek Cornelius

파일:캐나다 국기.svg | DF
1997.11.25
2024~2028
파리스 뭄바냐
Faris Moumbagna

파일:카메룬 국기.svg | MF
2000.01.08
2024~2028
조너선 로우
Jonathan Row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3.04.30
2024~2025[2]
파일:메이테 24.png
파일:콘개 24.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론지에 24.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1819202123
바모 메이테
Bamo Meïté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DF
2001.12.03
2023~2028
조프레 콩도그비아
Geoffrey Kondogbia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MF
1993.02.15
2023~2027
릴리앙 브라시에
Lilian Brassier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9.11.02
2024~2025[3]
발렌틴 론지에
Valentin Rongier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4.12.07
2019~2026
피에르에밀 호이비에르
Pierre-Emil Hojberg

파일:덴마크 국기.svg | MF
1995.08.05
2024~2025[4]
파일:베레투 24.png
파일:image-removebg-preview (83).png
파일:블랑코 24.png
파일:소글로 24.png
파일:빌랄 나디르 24.png
2731363739
조르당 베레투
Jordan Veretout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3.03.01
2022~2026
시몬 은가판두에튼부
Simon Ngapandouetnbu

파일:카메룬 국기.svg | GK
2003.04.12
2019~2026
루벤 블랑코
Rubén Blanco

파일:스페인 국기.svg | GK
1995.07.25
2023~2026
엠란 소글로
Emran Soglo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5.06.14
2023~2027
빌랄 나디르
Bilal Nadir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3.11.28
2021~2026
파일:엔히키 24.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무리요 24.png
파일:음벰바 24.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44516299
루이스 엔히키
Luis Henrique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2001.12.14
2020~2025
이스마엘 코네
Ismaël Koné

파일:캐나다 국기.svg | DF
2002.06.16
2024~2029
아미르 무리요
Amir Murillo

파일:파나마 국기.svg | DF
1996.02.11
2021~2026
샹셀 음벰바
Chancel Mbemba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 DF
1994.08.08
2021~2025
구단 정보
회장: 프랭크 메코트 / 감독: 로베르토 데 제르비 / 홈 구장: 스타드 드 벨로드롬
출처: 공식 홈페이지, 트랜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2월 19일
*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6. 유명 선수[편집]







6.1. 최다 득점 기록[편집]


[ 펼치기 · 접기 ]

통산 개인 성적
이름'''{{{#bea064
기간}}}'''
출장횟수득점경기당 득점
군나르 안데르손1950 – 19582501940.776
장피에르 파팽1986 – 19922751820.662
요시프 스코블라르1966 – 1967
1969 – 1975
2111760.834
장 보이어1923 – 19351821700.934
엠마뉘엘 아스나르1936 – 1949
1951 – 1952
2041490.730
조셉 알카자르1927 – 1936
1941 – 1942
1941400.722
Joseph Yegba Maya1962 – 19702361130.479
조르주 다르1936 – 1937
1938 – 1948
1949 – 1954
3281070.326
마마두 니앙
2005 – 20102271000.441
마리오 자텔리1935 – 1938
1943 – 1944
1945 – 1948
7141550.676
틀 정보
출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위키피디아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1월 24일
[각주]





6.2. 최다 출장 기록[편집]





7. 유니폼[편집]





8. 여담[편집]


마르세유의 최전성기는 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까지였다. 그때 당시만 해도 자국 리그는 물론, 유럽까지 휘어잡는 깡패로 떠오르던 팀이었다. 그러나 1993-94 시즌이 끝난 후에야 승부 조작이 들통나고 전 시즌에 얻은 리그 우승 자격마저 박탈당하며 그대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이 사건은 프랑스에서 독보적이었던 마르세유를 몰락시켰는데, 이것이 결국은 리그앙에도 영향을 주어 프랑스와 유럽 대항전에서 활약한 마르세유의 스타 플레이어들이 전부 해외로 유출되었으며, 리그앙의 평판은 더욱 떨어져서 프랜차이즈 선수들은 자국 리그를 떠나는 상황이 일상이 되었다. 단일 우승 후보가 사라진 틈을 타 전력이 하향 평준화돼 있는 팀들이 우승 경쟁을 하게 되었는데, 이것 또한 안정적인 상위권 팀을 형성하지 못한 프랑스 팀들이 챔스에서 부진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마르세유 외에는 많은 관중들을 등에 업은 인기 구단도 없었다. 승부 조작이 결과적으론 프랑스 축구계의 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프랑스의 바이에른이 될 수 있었던 재목이었지만 승부 조작으로 인해 팀은 물론이고 리그마저 제대로 훅 간 케이스.


8.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의 유사점[편집]


도르트문트와는 상당히 독특한 공통점을 가진 관계이다. 2011-12 시즌 챔피언스 리그 F조에서 마지막으로 리그 우승을 한 게 2년 전이던 마르세유가 홈에서 도르트문트를 3-0으로 잡고 원정에서도 1점 차 승리를 거두었으며, 그 결과로 마르세유는 16강 진출 후 8강에서 탈락. 도르트문트는 조 꼴찌, 같은 조였던 아스널은 16강에서 탈락 했었는데, 2013-14 시즌 챔피언스 리그에서 또 셋이 F조로 모였고 이번엔 마지막으로 리그 우승을 한 게 2년 전인 도르트문트가 홈에서 마르세유를 3-0으로 잡고 원정에서도 1점 차 승리를 거두며, 그 결과 도르트문트는 16강 진출 후 8강에서 탈락. 마르세유는 조 꼴찌, 같은 조였던 아스널은 16강에서 탈락했다.[9]

그 밖에도 찾아볼 수 있는 공통점으로 둘 다 홈구장에서 국제 대회를 치른 바 있는데 스타드 벨로드롬에서 치른 마지막 국제 대회 경기가 유로 2016으로 이때 준결승에서 독일프랑스0-2로 패하였다. 마찬가지로 지그날 이두나 파크에서도 이곳에서 치른 마지막 국제 대회가 2006 FIFA 월드컵이었는데 여기서의 준결승전도 독일이탈리아0-2로 패한 바 있다. 마지막으로 바이에른 뮌헨의 옛 홈구장이었던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에서는 3차례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이 치러졌는데[10] 도르트문트와 마르세유가 처음으로 빅 이어를 들었던 결승전 장소가 바로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이었다. 마르세유는 1993년에 이탈리아 AC 밀란을 꺾고 우승했고, 도르트문트는 1997년에 이탈리아 팀 유벤투스를 꺾고 우승했다. 그리고 마르세유는 르 클라시크 라이벌에게 재정이 압도적으로 밀려서 리그 우승도 못 하고 있고 도르트문트도 데어 클라지커 라이벌에게 재정이 압도적으로 밀려서 리그 우승은 꿈만 같은 상황이다. 더불어 마르세유와 도르트문트는 역대 맞대결에서 서로 7득점 7실점을 했으며, 2018년부터 마르세유도 푸마의 후원을 받아 도르트문트와 같은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9. 사건사고[편집]



9.1. 서포터스의 올랭피크 리옹 원정버스 습격 사건[편집]



2023년 10월 29일 홈구장인 스타드 벨로드롬에서 올랭피크 리옹과 경기를 할 예정이었으나 경기장를 위해 이동하던 리옹 원정 팀 버스가 경기장 근처에서 상대 서포터스의 공격을 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때 리옹의 파비오 그로소 리옹 감독은 깨진 차창 파편에 얼굴을 맞아 피를 많이 흘려 급히 병원에 이송될 정도로 사태는 심각했다. 경기 전 감독이 병원에 실려가는 초유의 사태 속에 리그1 사무국은 경기를 전격 취소됐다.

10. 같이 보기[편집]



[1] /ɔlɛ̃pik də maʁsɛj/[2] #[3] 선수들이 입장할 때 밴 헤일런의 "Jump"를 들을 수 있고, 홈 팀의 득점 시 퍼프 대디의 "Come with Me"를 들을 수 있다.[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구단주 시절 이혼 소송 문제로 구단을 파산 직전까지 몰고 간 막장 운영으로 유명하다.[5] 2024/25 시즌 기준[5] 로고에도 적혀 있다.[6] 그 콧대 높은 파리 생제르맹에 대해 가지는 우월성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파리가 2019-20 시즌 당시 챔스 결승에 올랐다가 바이에른 뮌헨에 패해서 준우승에 머무르자 마르세유 팬들이 잔칫집 분위기였던 것이다.[7] 전신인 유러피언 컵 포함. 참고로 프랑스 팀들이 준우승한 경우는 총 5차례 있었다. 로고의 위에 박혀 있는 별도 챔스 우승을 상징한다.[8] 위에서 나와 있듯이 마르세유가 파리에 대해 비교 우위를 가지는 것이 바로 챔스 우승이다. 파리에 대해 "강캐면 뭐하냐? 챔스 우승도 못한 것들이,"라고 조소할 수 있는 것이다. 파리 팬들은 2019-20 시즌 챔스 우승에 실패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무엇보다 큰데 이때 승리했다면 챔스 우승은 물론이거니와 리그 1 유일의 트레블 달성도 이룰 수 있었기에 여러모로 안타까움이 남는 시즌이었다.[9] 그 외에도 2011-12 시즌 F조였던 올림피아코스는 조별 리그 탈락 후 조 3위로 유로파 리그 32강에 합류하여 유로파 리그 16강에서 탈락하였는데, 2013-14 시즌 챔스의 F조였던 나폴리도 조별 리그 탈락 후 조 3위로 유로파 리그 32강에 합류하여 유로파 리그 16강에서 탈락했다. 흥미로운 건 나폴리가 탈락했던 2013-14 시즌은 올림피아코스가 16강에서 맨유를 만나 1차전을 이기고 2차전에서 극적인 역전패를 당하였는데, 그 올림피아코스가 탈락했던 2011-12 시즌은 정작 나폴리가 16강에서 첼시를 만나 1차전을 이기고 2차전에서 극적인 역전패를 당한다.[10] 이곳에서 첫 결승전이 열렸을 때가 1979년으로 이때 노팅엄 포레스트가 우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