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금)

최근 편집일시 :




금 추존 황제
始祖 | 시조

묘호
시조(始祖)
시호
의헌경원황제(懿憲景元皇帝)

완안(完顏)

함보(函普)
생몰 기간
? ~ ?
재위 기간
941년 ~ 960년(복간수 완안부 추장)

1. 개요
2. 생애
3. 함보의 성은 김씨인가?
4. 둘러보기(계보)





1. 개요[편집]


원나라톡토 테무르의 주도로 편찬된 정사(正史)인 《금사》(金史) 등에 등장하는 인물. 아우 보활리와 함께 9세기 통일신라 혹은 10세기 고려에서 살다 이주하여 복간수 유역의 완안부에 정착해 이후 일부 여진족 세력의 추장 자리까지 오른 나름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100여년 이상의 세월이 흘러 금나라가 세워지자 이후 1136년 금의 시조(始祖) 경원황제(景元皇帝)로 추존되었고, 1142년에는 그의 묘가 광릉(光陵)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이듬해인 1143년에는 시조(始祖) 의헌경원황제(懿憲景元皇帝)로 증시되었다. 이렇게 보면 이성계 여진족설의 반대 버전 인물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이성계 여진족설은 뇌피셜급으로 증거가 전무한데 반해 이쪽은 한국, 중국측 사서 모두에 그 내막이 뚜렷히 적혀있다는 차이가 있다.


2. 생애[편집]


이름이 《대금국지》,《송막기문》에는 감복(龕福), 《흠정만주원류고》에는 합부(哈富)또는 함보(函普), 《신록기》에서는 긍포(掯浦)로 기술하고 있다.

완안 함보의 국적에 관련된 기록은 신라고려, 이렇게 두 가지의 이설로 나뉘는데 대표적으로 《금사》에서는 여진에 정착한 고려인, 《송막기문》에서는 성이 완안씨인 신라인이라고 기록되어있다. 이 당시 여진어로 성은 모우무거(moumugə, 謀克)였고, 명대에는 무쿤(mukūn, 穆昆)으로 음이 변했다. 하라(hala)는 무쿤(mukūn)보다 넓은 씨족의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대표적으로 대청 제국의 황성인 아이신기오로에서 '아이신'이 '무쿤'이었고, '기오로'가 '하라'였다.

국적이 신라 혹은 고려로 기록이 나뉘는 이유는 그가 신라-고려 교체기라고도 할 수 있는 후삼국시대에 가까운 시기의 인물이었는데 기록이 주로 고려 시대에 남았기 때문에 대충 한반도 출신임을 가리키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이다. 결국 한반도 출신이라는 걸 가리키고자 한 것이었으므로 큰 의미는 없다. 일단 함보가 금 태조 완안아골타의 9대조이므로 1세대 30년으로 추산하면 대략 800년대[1]이고, 이 때 한반도의 왕조는 통일신라였지만, 기록이 남은 시기는 이미 고려 시대였고 특히 《금사》가 기록된 건 원간섭기의 고려로 한참 후대였다.

함보가 한반도에서 여진으로 나아갈 때 이미 나이가 60살이었다고 한다. 형 아고내는 불교를 좋아해 고려에 남았다.《금사》와 《고려사》는 기록이 조금씩 다르지만 금나라 시조 기록에서 불교, 승려 관련 기록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연계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함보는 동생 보활리와 함께 한반도를 떠나 완안부에 정착했는데, 《금사》에 의하면 당시 완안부는 총 태신특보수(泰神忒保水), 신은수(神隱水), 복간수(僕幹水), 야라로(耶懶路)의 4개의 소부족으로 나뉘어져 있었고, 함보는 복간수 완안부에, 보활리는 야라로 완안부에 정착했다고 한다.

여기서 함보는 당시 싸움이 그치지 않았던 완안부에서 법과 질서를 세우고 싸움을 중재해 추장이 되었고, 나이 60살이 되도록 아직 시집 가지 않은 여자[2]에게 장가들어 오로(烏魯)와 알로(斡魯) 두 아들과 딸 주사판을 낳아 마침내 완안부 사람이 되었다고 한다. 보활리 역시 야라로 완안부의 추장이 되었다. 다만 이 이야기는 설화적 요소가 강하다는 의견이 많다.

금나라의 시조가 한반도 출신이라는 것은 여러 기록에서 공통적으로 명시된 내용이므로 이 기록들이 거짓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금사》는 원나라 치하의 한족계 관료가, 《송막기문》은 남송 사람 홍호가 금나라에 억류되었던 시기를 기록한 당대 기록이며, 《고려사》는 고려의 역사 인식을 기록한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관점의 기록이 모두 비슷한 내용을 공통적으로 기록하고 있으므로, 즉 교차검증이 가능하고 조작되거나 편향된 기록으로 간주할 수는 없는 것이다. 허나 금나라 완안씨 황실의 원류만을 가지고 종족 집단 전체를 한민족계로 끌어오는 여진족 신라인설을 주장하는 건 무리가 있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일본위키에선 혐한이 작성해놨는지 "완안함보는 고려인"이라는 구절을 "완안함보는 고구려인"(?)이라고 해석하며# 《금사》의 구절은 금나라가 고구려와 발해를 계승한 것을 증명한다는 별소리를 적어놓기도 했다. 혐한들은 고구려의 역사를 만주사로 보고 한국인이 아닌 여진/만주족이 고구려와 발해를 계승했다고 무리한 주장을 한다.

물론 과거 한국 환빠 수준 일본 넷우익들이 떠드는 폄하성 멘트라 진지하게 받아들일 주장은 아니다. 애초 에 항목에 청나라의 국성 '애신각라'(愛新覺羅)는 '신라를 사랑하고 기억한다'는 의미라고 주장하는 과거 환빠식 기술이 한국 모 교수의 견해라고 버젓이 적혀있는걸 보면 환빠와 넷우익의 서로간 뻘소리 콜라보 문서일지도 모른다.

함보가 살았던 기간만 봐도 고구려가 멸망한지 몇백년 뒤일 뿐더러 기록에선 신라, 고려란 말만 나올 뿐 함보랑 발해를 엮는 기록은 나오지도 않는다. 이러다보니 양식있는 일본인 유저가 고쳐놨지만 다시 롤백시키기를 반복해 일본인마저 학을 땐다는 말도 있다.


3. 함보의 성은 김씨인가?[편집]


금(金) 시조의 휘는 함보(函普)이며 처음에 고려(高麗)에서 왔는데, 나이가 이미 60여 살이었다...(후략)

《금사》 권1 본기1 <세기>(世紀)


여진(女真)의 추장은 곧 신라인인데, 완안씨(完顏氏)라 호칭하였다. 완안(完顏)은 한어(漢言)로 「왕(王)」과 같다.

다."

문정창, 《한국고대사》, 인간사, 1988년, 449쪽 참조.


《고려사》에서 큰 줄기가 같은 동일한 이야기를 전하며 김씨 전승을 언급하고 있으므로 함보 김씨설이 옛 기록에서 전혀 근거를 찾을 수 없는 현대에 만들어진 주장까지는 아니다. 물론 편찬 시기가 늦은 《고려사》의 기록이므로 완안씨라 언급한 《송막기문》보다 아무래도 신뢰성이 떨어지고, 그나마도 '혹왈'(或曰)이란 표현을 써서 편찬자조차도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고 있다는게 문제지만. 게다가 《고려사절요》에서도 《고려사》와 비슷한 전승을 전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따로 성씨에 대한 언급은 없다.

청나라 시기 서적 《만주원류고》에선 금나라의 '금'이 신라 김씨와 연관이 있는 것 아니냐고 추측하기도 했다. 다만 갑론을박이 많은 주제일 뿐더러, 다 떠나서 이 문단에서 다루는 함보의 성이 무엇이냐를 판가름낼 수 있는 자료는 아니다.《만주원류고》에서도 금나라 국호의 유래가 신라 왕성인 김씨일지 모른다고 추측한 것일뿐 함보의 성은 완안이라고 적고 있다.

후손격인 금나라 황족들이 완안씨를 사용하긴 했으니 함보 또한 완안씨였을 가능성이 가장 유력하긴 한데 애초에 함보는 완안부에 정착해 추장이 된 인물이므로 이전에 무슨 성씨를 썼던지 간에 나중에 쓰게 된 성씨가 완안씨였던 걸로 보인다. 사실 당대 한국인들은 삼국부터 남북국을 통틀어서 중앙귀족들을 제외하곤 성씨를 거의 쓰지 않았기 때문에 함보 또한 당대인들과 마찬가지로 원래 성씨는 그냥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4. 둘러보기(계보)[편집]





완안부의 추장
(초임)

시조 경원제 완안함보

현덕제 완안오로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4 10:36:23에 나무위키 시조(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3:32:04에 나무위키 시조(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시대가 시대인 만큼 1세대 20년이 적당하다는 시각도 있다.[2] 《신록기》에서는 그녀의 성씨가 결도고단(結徒姑丹)씨로 60세가 아닌 40세였다고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