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경쟁시장

덤프버전 :

[[미시경제학|미시경제학
'''{{{#fff

Microeconomics
''']]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설명
3. 한계
4. 그나마 완전경쟁시장과 가까운 현실 시장
4.1. 독점적 경쟁시장(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1]


1. 개요[편집]


완전경쟁시장( / perfectly competitive market, purely competitive market)은 효율성의 관점에 국한하면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시장의 형태이다.


2. 설명[편집]


완전 경쟁 시장의 조건들을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다.
  • 시장 참여자는 모두 완전한 정보력을 갖추고 있다.
  • 시장에서 거래되는 재화는 모두 동질적이다.
  • 진입과 탈퇴가 자유롭다.
  • 충분히 많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존재하여 수요자, 공급자 모두 가격을 수용한다.(가격수용자, price taker)

완전경쟁시장 아래에서 모든 기업의 시장 지배력은 0이고 모든 기업은 가격 수용자가 되며, 모든 재화의 품질이 같기 때문에 오직 가격만이 경쟁력을 가진다. 시장의 모든 참여자가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품의 시장 가격은 최저 가격에서 형성된다. 또한 완전경쟁시장에서 개별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의 가격 탄력성은 수평선이 되며 따라서 무한대가 된다. 시장 전체의 수요곡선의 탄력성이 무한대라는 게 절대 아니다!

완전경쟁시장에서는 가격과 한계비용이 동일해지므로 최적의 효율성이 달성된다. 가격이 한계비용보다 높다면 상품을 한 단위 더 생산하면 가격에서 한계비용을 뺀 만큼 후생이 증가하고, 가격이 한계비용보다 낮다면 상품을 한 단위 덜 생산하면 한계비용에서 가격을 뺀 만큼 후생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의 시장 가격이 1,000원인데 하나 만드는 데에 드는 비용이 500원이라면 아이스크림 하나 더 만들 때 500원만큼 후생이 증가하며, 비용이 1,500원이라면 아이스크림 생산을 한 단위 줄일 때 500원만큼 후생이 증가한다. 따라서 최적의 효율성은 한계비용과 가격이 같아야 한다.


3. 한계[편집]


그럼에도 완전경쟁시장이 이론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은 현재보다 더 효율적인 시장을 만들기 위해 어떤 정책을 고안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주기 때문이다. 비유하자면 물리학의 마치 이상 기체(ideal gas), 강체(rigid body)와 비슷한 것이라 할 수 있다.


4. 그나마 완전경쟁시장과 가까운 현실 시장[편집]


현실에서 완전경쟁시장은 찾을 수 없지만, 근사한 것의 후보군을 찾을 수는 있다.
  • 치킨 시장
업계 1위 교촌의 점유율이 10% 남짓 밖에 되지 않는다. 한국에서 치킨 브랜드만 20가지는 그냥 넘어간다. 거기다가 동네 치킨집도 이들의 경쟁 상대이다. 웃기게도 치킨 회사의 경쟁상대에는 동네 치킨집, 호프집도 있는 것이다.
  • 커피 시장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나서 여기저기 커피전문점이 난립을 했다. 외국계 브랜드의 진출 및 한국산 브랜드의 창업으로 커피점은 그야말로 길에 채이게 되었다. 게다가 개인 카페의 창업까지. 그리하여 10년 넘게 커피값은 거의 변동이 없다.
우선 완전경쟁시장의 조건 중 하나인 동질적인 재화여야 한다는 조건은 충족한다.[2] 또한 대부분의 기업들은 재무제표를 통해 회사의 경제적인 상황을 모든 사람에게 공시하기 때문에 완전한 정보까지는 아니지만 상당한 수준의 정보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수많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존재하긴 한다. 하지만 수많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존재하여도 가격수용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현실에서도 작전주 세력이나 기관 투자자들이 가격을 수용하지 않고 설정할 수 있으므로 역시 완전경쟁시장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 또한 진출입에 제한도 어느정도 존재한다.
  • 농산물 시장
특히 한국의 경우 쌀 시장이 이에 가장 가까운 편이다.
  • 저숙련 노동시장
특히 수요자 측이 자영업자, 소기업 등에 해당할 경우 완전경쟁시장에 그나마 가깝다.
  • 외환시장
현재로서는 완전경쟁시장과 가장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외환은 주식처럼 투기세력들이 개입할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낮고 외환은 모두 동질적이며 진입과 탈퇴도 자유롭다. 또한 외환의 가격에 대한 정보 역시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만 각국 중앙은행의 개입이 가능하다.
  • 전자상거래(e-commerce)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다수라는 점에서 다소 근접한 측면이 있다.
  • 온라인 RPG 게임 내 아이템 거래시장
온라인 게임 내에서 거래되는 일부 퀘스트 아이템, 강화재료 등에 대한 거래는 위의 완전경쟁시장의 조건을 모두 만족한다. 무차별한 동질의 제품을 거래하며 수요와 공급이 충분하고 정보가 모두 공개되어있다고 볼 수있으며 시장에 진입 탈퇴가 자유롭다. 메이플스토리의 경매장을 하나의 예로 들 수 있다.


4.1. 독점적 경쟁시장(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3][편집]


독점적 경쟁시장이라는 것은 완전경쟁시장의 성격과 독점시장의 성격을 모두 띠는 시장이다. 즉 기업들의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고, 다수의 기업이 존재하는 것은 똑같으나,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경제학계에서는 193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사실 대부분의 상품시장은 단기적으로 보면 독점적 경쟁시장이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마트에 가서 초콜릿을 산다고 할 때 다크 초콜릿, 화이트 초콜릿, 딸기 초콜릿 등의 다양한 상품들이 팔리고 있다면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둘 이상을 살 수도 있다. 이때 한 기업이 한 종류의 초콜릿만 생산한다고 하자. 그러면 다크 초콜릿이 많이 팔린다면 그것을 생산하는 기업이 초과이윤을 얻고, 화이트 초콜릿이 많이 팔리면 역시 그것을 생산하는 기업이 초과이윤을 얻는다. 이렇듯 차별화된 상품 생산을 통해 기업이 제한적인 독점적 우위를 가지게 되면 초과이윤을 얻는데 이것이 바로 독점적 경쟁시장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다른 기업들이 이걸 보고 비슷한 품질의 제품 생산을 시작하면 그전까지 독점적 우위를 가지던 기업의 이윤은 점차 줄어들다가 결국 무이윤 상태가 되는데 이것이 바로 장기균형 상태로서 이론상의 완전경쟁시장이라 볼 수 있다. 그러면 기업들은 다시 이윤을 얻기 위하여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그럼 또 기업들이 이걸 보고 따라하고, 또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고... 이것이 반복된다. 이 과정에서 기업들의 R&D도 활발해진다.

대표적인 독점적 경쟁시장을 꼽자면 치약, 비누, 샴푸 등과 같은 경공업제품 시장,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데스크톱과 같은 IT제품 시장, 에어컨, 냉장고와 같은 백색 가전제품 시장 등 많은 예시들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6:27:44에 나무위키 완전경쟁시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책에 따라 '독점경쟁시장'으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독점시장'과 '완전경쟁시장'의 특성을 동등한 본위에서 바라보는 관점이다.[2] 다만 요즈음은 우선주, 전환사채, 복합금융사채와 여러가지 파생상품의 존재로 주식들이 동질적 재화라는 가정에 과거보다 무리가 커졌다.[3] 책에 따라 '독점경쟁시장'으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독점시장'과 '완전경쟁시장'의 특성을 동등한 본위에서 바라보는 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