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유식

덤프버전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장성급 장교

[ 펼치기 · 접기 ]
대장
大將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육군
陸軍

우가키 가즈시게 | 미나미 지로 | 아베 노부유키 | 야마나시 한조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도이하라 겐지 | 마쓰이 이와네 | 야마시타 도모유키 | 이타가키 세이시로 | 이마무라 히토시 | 기무라 헤이타로 |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 | 오카무라 야스지 | 쿠리바야시 타다미치 | 다치바나 요시오 | 아나미 고레치카 | 가와베 마사카즈 |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해군
海軍

야마모토 곤노효에 | 스즈키 간타로 | 사이토 마코토 | 나구모 주이치 | 요나이 미쓰마사 | 이노우에 시게요시 | 오카다 게이스케 | 시마다 시게타로
중장
中將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육군
陸軍

창덕궁 이왕 은 | 홍사익 | 무토 아키라 | 이시이 시로 | 스즈키 데이이치 | 도미나가 교지 | 무타구치 렌야 | 이시와라 간지 | 사토 겐료 | 사토 고토쿠 | 미야자키 시게사부로 | 히구치 기이치로 | 이병무 | 조동윤 | 혼마 마사하루 | 오시마 히로시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해군
海軍

야마구치 다몬 | 오자와 지사부로 | 우가키 마토메 | 모리 쿠니조 | 기무라 마사토미
소장
少將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육군
陸軍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 | 이희두 | 조성근 | 왕유식 | 김응선 | 어담 | 이치키 기요나오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해군
海軍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사후 추서


※ 둘러보기 | 파일:일본 황실.svg 일본군의 원수





왕유식(王瑜植)
1870년[1] 2월 20일 ~ 1930년
(향년 60세)

복무
조선군대한제국군
일본군
기간
1895년 ~ 1930년
임관
무과 급제
최종계급
대한제국군 부령(중령)
일본군 소장
최종보직
불명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의 군인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제남(濟南)[2].


2. 생애[편집]


1870년 2월 20일 태어났다. 1886년(고종 23) 부사용(副司勇:종9품)에 제수되면서 관직생활을 시작했다.#

1895년에 조선군 훈련대 소속 무관으로 임관했다. 참위(소위) 시절에 일본 유학을 보냈다. 고종이 군부 내의 박영효 같은 친일 장교들을 견제하기 위해 그를 보냈다는 설도 있다. 일본육군사관학교 8기를 특별과정으로 졸업했고 친일파가 되어 돌아왔다.

복귀해 1898년에 육군무관학교 교관을 지냈고 1899년에 부위(중위)로 진급했다. 1901년에 정위(대위)로 진급, 1904년에 참령(소령)으로 계속 진급했다. 군부 교육국 교육과장으로 근무했고 보병과 포병 부대에서도 근무했다. 군사법원 판사도 지냈다. 군대 해산 후에는 근위보병대대(조선보병대)의 대대장으로 근무했고 당시 계급은 부령(중령)이었다.

조선보병대가 일본군 소속의 조선주차군으로 귀속되면서 그도 따라 이동했다. 1920년에 일본군과 계급이 합쳐지면서 보병대좌로 진급했다. 그후 소장까지 진급했고 1930년에 사망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8:17:12에 나무위키 왕유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869년생 설도 있다.[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