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가리

최근 편집일시 :

왜가리(으악새)
鴃 | Grey heron, Common Heron


파일:Ardea cinerea.jpg

학명
Ardea cinerea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Neoaves)

사다새목(Pelecaniformes)
아목
왜가리아목(Ardei)

왜가리과(Ardeidae)
아과
왜가리아과(Ardeinae)

왜가리속(Ardea)

왜가리(A. cinerea)

파일:왜가리.jpg
파일:왜가리1.jpg
[1]

Grey heron, Ardea cinerea

1. 개요
2. 생태
3. 종류
4. 기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사다새목 왜가리과에 속하는 물새의 일종. 좁은 의미로는 'Ardea cinerea' 종을 일컽는다. 몸길이 80~100cm, 날개폭 155~195cm, 몸무게 1.1~2kg 정도의 중대형 조류이다. 회색 등과 긴 목이 특징으로 단독 내지 소규모 무리 생활을 한다. 한국, 일본, 중국, 몽골동아시아 일대와 미얀마 등의 하천이나 습지 등 물가에 분포한다.

사실상 대한민국의 하천과 논바닥을 지배하고 있는 조류로서 두루미, 황새, 따오기 등 왜가리와 생태지위가 비슷한 다른 새들은 서식지 파괴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국내를 포함하여 전세계적으로 거의 멸종 위기에 놓인 것과는 달리, 이 녀석과 친척인 백로만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비교적 높아 인간과 공존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2. 생태[편집]


논이 많은 시골에 가면 꽤나 흔하게 볼 수 있으며, 서울을 포함한 도심의 하천에서도 흔히 발견된다. 원래는 철새였으나, 기후변화와 강한 적응력 덕분에 현재는 완전히 텃새가 되었다.

수달과 함께 현 국내 하천의 최상위 포식자로 먹이를 물어서 잡는 두루미와는 달리 가만히 서 있다가 긴 목을 작살 발사하듯 뻗어서 뾰족한 부리로 먹이의 아가미나 두개골을 관통시켜 잡는다. 미꾸라지피라미 같은 작은 물고기들은 물어서 잡는다. 먹성이 굉장히 좋아서 뭐든 잘 먹는 편이다. 특히 식도가 잘 늘어나 작은 어류들만이 아니라 중대형 어류인 잉어붕어, 메기, 가물치 등도 먹을 수 있고, 시궁쥐, 다람쥐, 도마뱀, 유혈목이, 족제비 등 육상동물도 기회가 된다면 거리낌없이 사냥한다. 당연히 통째로 삼키기 때문에 가시가 많아서 먹기 불편해 인간들이 먹지 않는 강준치, 황어 같은 잡고기들도 왜가리에겐 한 끼 식사. 심지어 참새, 비둘기는 물론 오리도 잡아 삼키는 장면도 포착된 바 있다 영상. 덕분에 외래종인 황소개구리블루길, 큰입배스, 미국가재 등 외래 생물들도 왜가리 앞에서는 그저 한 끼 영양가 높은 단백질 공급원일 뿐이다.

다 자란 왜가리는 대형 맹금류인 수리부엉이검독수리, 흰꼬리수리, 흰머리수리나 대형 파충류인 버마비단뱀, 악어가 천적이다. 고양이가 천적이라는 근거 없는 이야기가 있는데 실제로는 경계만 하는 수준이다. 물론 체급이 비슷한 지라 어지간하면 서로 피한다.

어린 개체들의 경우 온갖 맹금류와 고양잇과 동물들, 너구리, 까마귀 등의 위협을 받는다. 생후 1년 이하의 왜가리들 중 67%가 포식자의 공격으로 죽는다. 완전히 성체가 되면 5 ~ 15년 가량 살고 야생에서 가장 오래 산 왜가리가 23년을 살았다고 한다. # 다만 조류는 사육시 야생에서보다 훨씬 오래 살기 때문에 최대 진짜 수명은 확실하지 않다.

일부일처제이지만 두루미황새와는 달리 매년 다른 개체와 번식한다. 평소 혼자 생활하기도 하고, 다른 백로 종류나 가마우지들과 섞여 무리를 짓기도 한다. 번식기에는 수십에서 수백마리가 모여 번식하고 한 번에 3개에서 5개까지 을 낳는다. 약 25일간 품으면 새끼가 부화하는데 50일이 지나면 이소한다. 왜가리는 백로에 비해 형제간 싸움이 적은 편이지만 새끼 중 하나가 생존이 불가능할 정도로 약하면 형제에게 쪼여 죽기도 한다.

여러가지 소리를 내지만 하나같이 우는 소리가 영 곱지 못하다. 그래서 마구 소리를 질러대는 사람을 옛날 책에서는 '왜가리마냥 소리를 지른다'라고 주로 표현했으며, 우는 소리가 '으악-으악'하는 것처럼 들려 으악새라고 불리기도 한다.


3. 종류[편집]


  • 대백로[2](Ardea alba)
  • 중백로(Ardea intermedia)
  • 왜가리(Ardea cinerea)
  • 큰왜가리(Ardea herodias)
  • 붉은왜가리(Ardea purpurea)
  • 코코이왜가리(Ardea cocoi)
  • 흰목왜가리(Ardea pacifica)
  • 검은머리왜가리(Ardea melanocephala)
  • 훔볼트왜가리(Ardea humbloti)
  • 흰배왜가리(Ardea insignis)
  • 골리앗왜가리(Ardea goliath)
  • 큰부리왜가리(Ardea sumatrana)


4. 기타[편집]


프로게이머 강민에 의해 카리스마 대빵큰오리란 특이한 이름이 붙어버리면서 유명해졌다. 리그베다 위키 시절엔 이 문서보다도 카리스마 대빵큰오리 문서가 먼저 생성됐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새로 알려져 있지만 그렇지는 않고, 사실은 이 왜가리가 많이 살고 있는 서식지가 천연기념물인 경우가 있다. 현재는 전국의 거의 모든 하천과 논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여의도공원이나 청계천에서도 종종 볼 수 있다. 심지어는 동물원의 해양동물 사육장에서도 나타나며 물개바다사자에게 먹이 주는 시간에 날아와서 먹이를 가로채가는 일도 드물지 않다. 외국(특히 유럽)의 동물원에서는 사자호랑이 우리에 발을 잘못 들였다 잡아먹히기도 한다.

왜가리를 아는 사람들 사이에선 무려 '킹가리'로 불리면서, 간간히 사이트에 왜가리의 식성 글이 올라온다.

백로대백로중대백로, 중백로는 왜가리와 같은 Ardea 속에 속한다. 즉, 이들은 백로가 아니라 왜가리다. 이름에만 백로가 붙은 왜가리인 것이다. 학명은 「Ardea alba」. 심지어 왜가리와 대백로의 교배종까지 발견된 적도 있다.

파일:왜가리 하마.jpg

간혹 하마의 등 위에 올라탄 모습이 발견된다.#

서울의 청계천, 경기도 분당의 탄천 등과 같은 도심하천에서는 다른 맹금류가 거의 없으니 큰 몸집과 왕성한 식욕으로 물고기나 양서류들을 마음껏 포식하며 말 그대로 제왕으로 군림하고 있다.## 영상에서처럼 덩치도 크고 생긴 게 우아하다 보니 인기도 꽤 많은 편이며 사람들에 대한 경계심도 상당히 약화된 편이다.

매우 흔한 새이고 딱히 포획금지종으로 지정된 것도 아니지만, 덩치가 크고 성질이 사나운데다 육식성이라 먹이를 엄청 먹어댄다. 때문에 애완동물로는 부적합하며 동물원이 아니면 키우는 사람도 거의 없다. 그마저도 어쩌다가 물새장에 야생 왜가리가 들어와서 같이 살게 되는 정도.

서울대공원에 하도 왜가리가 너무 날아온 나머지 '왜가리는 동물원에서 전시하는 동물이 아닙니다'라는 표지판까지 있을 정도. 현재는 야생 조류의 침입을 막기 위해 그물을 설치해두었는데[3] 건물 위에 왜가리들이 잔뜩 모여있는 모습을 볼수 있다.

지방의 동물원도 사정이 다를바가 없어서 광주 우치공원동물원이나, 대구 달성공원 동물원 역시 물새 전시장에서 전시한 물새 외에 야생 왜가리가 들어와서 먹이를 스틸해가는 경우가 많다.[4]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희곡 "The Herne's Egg"는 왜가리의 알 때문에 벌어지는 사건을 줄거리로 한다.

중대백로가 왜가리 둥지를 습격하여 왜가리 새끼를 제거하는 사례가 포착되었다.#


5. 관련 문서[편집]


  • 백로[5]
  • 해오라기
  • 피닉스: 이집트 신화의 불사조이자 불사조의 원형인 베누는 푸른 왜가리의 형상을 띄고 있다. 소설 람세스 2권에도 푸른 왜가리라고 나온다.
  • 깨비드릴조: 왜가리를 모티브로 한 포켓몬이다.
  • 카리스마 대빵큰오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7:43:46에 나무위키 왜가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From National Geographic's Photography Contest 2010/Great Blue Heron with fish. The largest and most widespread heron in North America. When foraging, they stand silently along riverbanks, lake shores, or in wet meadows, waiting for prey to come by, which they then strike with their bills. (Photo and caption by Linh Dinh).」 다만 두번째 사진에 나온 종은 본문에 나온 왜가리와는 다른 종이다. 두번째 사진의 종은 Great blue heron(Ardea herodias)(큰왜가리, 푸른가슴왜가리). 본문에 첨부된 짤에도 이 종이 있다.[2] 아종인 중대백로 따위도 포함. '기타' 참조[3] 그물을 설치해도 큰까마귀나 까치, 참새 같은 중소형 조류들도 계속 먹이를 먹을려고 들어온다.[4] 두 동물원 모두 먹이용으로 수조를 만들어놓고 살아있는 미꾸라지를 풀어놨는데, 그걸 노리고 들어와 먹고 가는 경우가 많다.[5] 참고로 미국 왜가리인 큰왜가리는 사는 곳에 따라 흰색을 띄는 게 백로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