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축구

덤프버전 : r20230302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외국인 선수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K리그/시즌별 외국인 선수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합의사항[email protected](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토론 합의사항

[ 펼치기 · 접기 ]
* 기존에 분류되어 있던 국가에서 이중국적/복수국적자를 모두 복수국적자 문단을 만들어 이동한다. * 복수국적자의 국적은 국가 가나다순으로 나열하며, 협회에 등록한 국적, 대중에 알려진 국적 또는 (유소년) 국가대표팀 국적 등의 국적 형태 분류의 경우 굵게 또는 색상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1. 개요
2. 아시아(AFC)[1]
2.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조선적[2]




1. 개요[편집]


K리그1K리그2에서 활동한 역대 외국인 선수들을 국적별로 정리해 놓은 문서다. 현역 K리그 선수는 이름을 굵게 표시하였으며, 사망이 확인된 선수는 이름 앞에 †를 표시하였다. 역대 외국인 선수들을 시즌별로 정리한 내용은 K리그/시즌별 외국인 선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아시아(AFC)[3][편집]



2.1.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편집]


  • 왕건명[4] - 제주 유나이티드(2016년), 광주 FC (2018년~2019년)


2.2.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편집]




2.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편집]



2.4.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편집]



2.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조선적[5][편집]





2.6.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편집]




2.7.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편집]




2.8.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편집]




2.9.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편집]


  • 칼레드 샤피에이 - 칼레드 - FC 서울(2017년)
  • 샤하브 자헤디[7] - 자헤디 -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9년)


2.1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편집]




2.1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편집]



2.12.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편집]




2.13.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편집]


  • 발레리 사리체프/신의손 - 사리체프/신의손[11] - 천안 일화 천마(1992년~1999년), 안양 LG 치타스(2000년~2003년), FC 서울(2004년)


2.14.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편집]




2.15.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편집]




3. 아프리카(CAF)[편집]



3.1.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편집]




3.2.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편집]




3.3.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편집]




3.4.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편집]




3.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편집]




3.6.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편집]




3.7.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편집]




3.8.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편집]




3.9.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편집]




3.10.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편집]




3.11.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편집]


  • 귀스타브 볼란가 프리소 - 볼랑가 - 전북 현대 다이노스(1996년)
  • 질베르 마소크 - 질베르 - 안양 LG 치타스(1997년)
  • 베르탱 투무 - 투무 - 포항 스틸러스(1997년)
  • 미첼 펜세 - 미첼 - 천안 일화 천마(1997년~1999년)
  • 클로드 파르페 은곤 아젬 - 클라우디 - 천안 일화 천마(1999년)
  • 니콜라스 알랭[12] - 알랭 - 전북 현대 모터스(2000년)
  • 샴 은퀠레 코렌틴 - 샴 - 대전 시티즌(2002년)
  • 펠릭스 은제이나[13] - 펠릭스 - 부산 아이파크(2005년)
  • 에밀 음밤바 - 음밤바 - 대구 FC(2009년)
  • 니옴니옴 알로이스 - 뇸뇸 - 고양 Hi FC(2015년)


3.12.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편집]




3.13.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편집]



3.14.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편집]




3.15.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편집]




4. 유럽(UEFA)[편집]



4.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편집]





4.2.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편집]




4.3.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편집]




4.4.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편집]




4.5.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편집]




4.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편집]




4.7.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편집]




4.8.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편집]




4.9.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편집]




4.10.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편집]




4.11.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편집]




4.12.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편집]




4.13.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편집]




4.14.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편집]




4.15.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편집]




4.16.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편집]




4.17.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편집]




4.18.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편집]




4.19.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편집]




4.20.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편집]




4.21.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편집]




4.22.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편집]




4.23.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편집]




4.24.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편집]




4.25.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편집]




4.2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편집]




4.2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편집]




4.28.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편집]




4.29.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편집]




4.3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편집]




4.31.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편집]




4.32.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편집]




4.3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편집]




4.3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편집]




4.35.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편집]




4.36.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편집]





4.37.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편집]




4.38.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편집]




5. 북아메리카(CONCACAF)[편집]



5.1. 파일:external/www.worldmapfinder.com/Martinique.gif 마르티니크[편집]




5.2.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편집]




5.3.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편집]


  • 제프 유 - 제프유/유지영[23] - 울산 현대 호랑이(2000년), 부천 SK(2001년)
  • 오스틴 베리 - 베리 - FC 안양(2015년)
  • 세스 모지스 - 모세스 - FC 안양(2015년)


5.4.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편집]




5.5.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편집]




5.6.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편집]




5.7.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편집]




5.8.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편집]




6. 남아메리카(CONMEBOL)[편집]



6.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편집]




6.2.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편집]




6.3.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편집]



6.4.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편집]




6.5.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편집]




6.6.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편집]




6.7.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편집]




6.8.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편집]




6.9.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편집]




7. 복수국적[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15 12:55:27에 나무위키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축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9년 아시아 쿼터제를 도입한 후부터 AFC에 가입된 국가의 외국인 선수는 기존 외국인 쿼터뿐만 아니라 아시아 쿼터를 사용해 외국인 선수 등록을 할 수 있다.[2] K리그에서 북한 및 조선적 출신 축구선수는 외국인 쿼터 선수 제한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한민국 헌법상 북한도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북한 사람들도 대한민국 시민권자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아시아 쿼터로 간주되었다가 이제는 외국인 쿼터에 포함되지 않는다. 즉 외국인 선수 문서에 있지만 외국인 선수들은 아닌것이며 단지 여기에선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및 각급 북한 대표로 뛰었던 선수들을 편의상 따로 분류한 것의 일종에 지나지 않는다.[3] 2009년 아시아 쿼터제를 도입한 후부터 AFC에 가입된 국가의 외국인 선수는 기존 외국인 쿼터뿐만 아니라 아시아 쿼터를 사용해 외국인 선수 등록을 할 수 있다.[4] 제주 태생의 화교로서 대한민국대만의 이중국적이다.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을 선택했지만, 일상 언어는 한국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내국인으로 봐도 무방하다.[5] K리그에서 북한 및 조선적 출신 축구선수는 외국인 쿼터 선수 제한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한민국 헌법상 북한도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북한 사람들도 대한민국 시민권자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아시아 쿼터로 간주되었다가 이제는 외국인 쿼터에 포함되지 않는다. 즉 외국인 선수 문서에 있지만 외국인 선수들은 아닌것이며 단지 여기에선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및 각급 북한 대표로 뛰었던 선수들을 편의상 따로 분류한 것의 일종에 지나지 않는다.[6] 2018년엔 등록명이 뚜르스노프 였으나 2019년엔 구단직원의 실수로 산자르로 바뀌었다.[7] 도핑 논란으로 5시간만에 계약해지 [8] 재일교포 3세로 일본국적. 한국명 강일성[9] 아버지가 아일랜드인. 2005년 J리그 신인왕.[10] 서울 이랜드로 이적하면서 형인 아츠키와 같이 뛰기 때문에 혼동을 방지하고자 이름인 토모키로 바꿨다.[11] 2000년 대한민국 국적 취득. 이후 신의손으로 등록명 변경.[12] 통칭 Nicolas Noudjeu로 활동했다. 99년 세군다에 있던 CD 로그로녜스 출신이다.[13] 카메룬 국가대표 공격수 출신[14] 소련 출신의 독일 국적이다[15] 2003년 대한민국 국적 취득. 이후 이성남으로 등록명을 변경했다가 2006년 수원 이적 이후 다시 데니스라는 등록명 사용.[16] 참고로 연맹에는 Archire(아르레)으로 기록되어있다...[17] 광주 FC 소속 당시 복이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수원 FC 이적 이후 보그단으로 등록명 변경. 여담으로 역대 K리거 중 최장신이다.[18] 인천 유나이티드 소속 당시 바조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강원 FC 이적 이후 바제로 등록명 변경.[19] 1년간 32경기 42실점을 기록했다. 외국인 골키퍼 제한에 엄청난 불만을 드러내며 한국을 떴다. 자신은 유고에 유명한 선수를 많이 안다면서 이적에 큰 자신감을 보이기도.[20] 2005년 대한민국 국적을 얻었지만 그해 9월 포기했다.[21] 전북 현대 모터스 소속 당시 알렉스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전남 드래곤즈 이적 이후 알렉산더로 등록명 변경.[22] 2004년 대한민국 국적 취득. 이후 이싸빅으로 등록명 변경.[23] 재미교포. 한국명 유지영[24] http://news.joins.com/article/1984413[25] 현재 연맹에는 베리발두로 기록되어 있으나 당시 등록명도 페리발두였음[26] 당초 산드로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전남 드래곤즈 이적 이후 같은 팀에 동명의 선수가 있었던 관계로 구분을 위해 산드로C로 등록명 변경.[27]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 당시 에니오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대구 FC 이적 이후 에닝요로 등록명 변경.[28] 울산 현대 호랑이 소속 당시 카르로스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전북 현대 모터스 이적 이후 제칼로로 등록명 변경.[29] 일본계 3세[30]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뛰었던 파비우와 동명이인.[31] 2021년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사망.[32] 폴란드계[33]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 당시 호세모따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부산 아이파크 이적 이후 모따로 등록명 변경.[34] 대전 시티즌 소속 당시 박은호라는 등록명을 사용했으며, FC 안양 이적 이후 바그너로 등록명 변경.[35] 일본계 2세.[36] 브라질 태생의 브라질인이나 조상이 시리아인이라 시리아 여권도 받았다며 시리아 국적으로 등록해 아시아 쿼터 혜택을 누렸지만 가짜로 드러나 추방되었다.[37] 영입당시 팔레스타인 국적으로 등록했으나 2018년부터 브라질 국적으로 등록함[38] 경남시절에서는 등록명을 프랭크 안산에서는 파우벨을 사용한다[39] 등록명을 광주에서는완델손 전남에서는 마쎄도를 썼다[40] 2019년 여름 방출 후 2020년 겨울 재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