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시다 세이지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평가
4. 참조



1. 개요[편집]


吉田 清治. 본명 요시다 유토(吉田 雄兎), 1913년 10월 15일 – 2000년 7월 30일.

일본의 저술가, 활동가. 일본군 위안부 납치 관련 증언을 한 인물로 나름 유명했다. 하지만 그의 증언이 허구성을 의심받으며, 일각에선 위안부 문제에 있어 첫단추를 잘못 끼운 인물이라는 평도 받는다.


2. 상세[편집]


요시다 세이지의 주장에 의하면, 그는 야마구치현 노무보국회 시모노세키 지부에서 동원부장으로 일했는데, 1977년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 1983년 '나의 전쟁범죄'#라는 책을 저술하여 이 책에서 자신이 군부대를 이끌고 제주도의 마을 등에서 200여명의 여성을 강제로 징병하여 위안부로 삼았다고 진술했다. 또한 1982년 9월 아사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를 증언하였다. 이후 아사히신문은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을 바탕으로 다수의 기사를 작성했고, 이는 일본 사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널리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다.

요시다 세이지는 1943년부터 자신이 직접 지휘하여 전남, 경남, 제주 등에서 끌고 간 한국인 징용자의 숫자는 종군위안부 1,000명을 포함하여 6,000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그의 저술에서는 "종군위안부 징용은 한 마디로 노예사냥이었다. 끌려가지 않으려는 여자들을 후려갈겨 트럭에 강제로 태우고, 울며 매달리는 젖먹이를 억지로 떼어냈던 당시의 참혹했던 상황을 한시도 잊어본 적이 없다"고 되어 있다. 1992년 방한하여 한국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하여 사죄하기도 했다.

1989년 8월 17일, 제주도의 향토 사학자는 요시다가 진술한 지역에 가서, 해당 지역 현지 주민들에게 증언을 들었으나 이와 관련한 입증은 할 수 없었다며 이를 제주일보에 발표했다.[1] 당시 제주일보 기사의 요지는 요시다가 상술로 엉터리 체험 수기를 출판했을 확률이 높다는 것.#

때문에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의 사실관계를 입증하기가 상당히 어려웠고 그 중에 일정부분은 사실 관계가 맞지 않는 점이 발견 되어 어느 선까지 믿을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오기도 하였다

하지만 요시다 세이지로 부터 공론화 된 위안부 문제 1991년 8월 40년의 침묵을 깨고 스스로 위안부 임을 밝히는 김학순 할머니의 기자회견까지 이어졌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가 있다고 평가된다

일본 정부 또한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을 참고하여 1991년 12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조사하였고 이 때 발견한 6개의 종류의 자료를 바탕으로 일본군의 관여를 부정할수 없다고 판단하여 아사히 신문을 통해 공표하게 되었고 그 결과 1993년 8월 4일 사과의 뜻을 담은 고노담화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요시다 세이지의 기사를 다수 실은 아사히 신문은 일본 극우세력의 표적되어 힘든 시간을 보내야 했고 특히 이를 최초로 기사화한 우에무라 타카시 전 아사히 신문 기자는 본인뿐 아니라 딸 또한 비방과 협박에 시달려야 했다.

결국 2014년 8월 아사히신문은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을 뒷받침할 증거를 찾지 못했다는 이유로 그와 관련된 기사를 모두 철회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면서 일본은 언론자유지수가 2010년까지만 해도 세계 11위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2016년 72위까지 떨어진다.

일본의 언론자유지수의 하락은 아베 총리의 부임으로 더욱 가속화 된다.(12년 12월 부터 총리직 수행)

3. 평가[편집]


사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하여 요시다 증언에서 묘사하는 바와 같이 군의 '인간사냥' 형식의 강제연행이 존재했는지 여부는 사안의 본질은 아니다. 요시다의 증언이 아니더라도 일본군의 브로커들이 한국의 여성 중 일부를 기만하는 방식으로 위안부를 동원했고, 일본군은 이를 잘 알면서 조장 혹은 묵인했다는 증거와 정황은 차고 넘치기 때문. 또 해당 위안부들은 고향에 돌어가고 싶을 때 돌아갈 수도 없었고, 일본군이 해외 전선에서 퇴각할 때 방치하여 상당 수는 현지에서 사망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한국 뿐만 아니라 여러 해외 위안부들의 강제연행 사례가 이미 보고되었고 심지어 요시다 세이지 외에도 강제연행을 자백한 진술은 많다.#

그리고 일본 우익들의 주장과 달리, 일본 정부는 1993년 고노 담화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요시다 증언을 참조하지 않았으며, 이는 1991년 1월 일본군이 위안소 설치와 위안부 동원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음을 증명하는 일본 정부의 내부 문서를 아사히신문이 공개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그리고 1991년 8월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 할머니가 첫 공개 증언을 하면서, 한국 뿐만 아니라 동남아 등지에서도 인종 가리지 않고 강압을 받은 피해자 증언이 잇따르게 되었다. 양심적 지식인으로 평가받는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또한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은 허위로 판명됐지만,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흐리진 않으며 잘못에 대해선 사과하면 된다"고 밝혔다.

다만 이런 요시다 세이지의 부정확한 발언을 이용해 여전히 위안부 문제 자체를 무력화시키려는 일본 우익들에게 빌미를 줬다는 점에선, 그가 위안부 문제 해결에 오히려 중대한 악영향을 끼쳤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실제 2014년 일본 정부는 요시다 증언이 허위로 드러났다며 (상기했듯 요시다 증언은 참조하지 않았음에도) 고노 담화의 근거가 사라졌다는 둥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호도하기도 했다.# 물론 이후 국제사회에서 욕 한바가지 먹고 한발 물러나긴 했지만 말이다.


4. 참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2:09:14에 나무위키 요시다 세이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많은 일본 우익들과 일본 인터넷, 심지어 학자들까지 제주일보 기사를 1989년 8월 14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은 17일로 14일은 잘못 알려진 날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