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츠가나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
3. 지역별 차이
4. 현행 표기


四つ仮名(よつがな(네 개의 가나)

1. 개요[편집]


일본어에서 ざ행과 だ행 중 い단과 う단에 속하는 4글자(じ, ず, ぢ, づ)를 부르는 말임과 동시에, 시대에 따라 이 4글자의 음가가 오늘날과 같이 비슷한 발음으로 변화했던 과정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이러한 혼란이 생기게 된 원인은 유성음파찰음의 음성학적 특성에서 기인한다. 유성음은 파열을 듣기 어렵기 때문에 마찰음인 /z/, /ʑ/와 파찰음인 /d͡z/, /d͡ʑ/를 청각적으로 변별하기가 쉽지 않다. 같은 마찰음과 파찰음의 대립 관계라도 무성음인 /s/와 /t͡s/, /ɕ/와 /t͡ɕ/는 쉽게 구별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じ와 ぢ, ず와 づ의 구별이 서서히 무너지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혼란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한국어의 (유성음화된) '자'([d͡ʑɐ])가 일본어 화자에게는 じゃ가 아닌 ぢゃ로 인식됐을 것이다.

2. 역사[편집]


이 4글자의 옛 음가는 [zi~ʑi], [zɯ], [di], [dɯ]였던 것으로 여겨지나, 이들 음가가 더럽게 불안정해서 세월이 갈수록 혼란이 생기기 시작했다. 무로마치 말기를 기점으로 본래 た, て, と와 함께 파열음에 속했던 ち와 つ의 본래 음가가 서서히 붕괴하고 파찰음으로 변해가면서 이런 혼란이 생긴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じ의 경우는 구개음화가 일어나 [ʑi]로 변하고, ぢ의 경우는 역시 구개음화가 일어나 [ȡi]로 바뀌는데 이 음가도 불안정해서 한국어의 (유성음화된) '지'([d͡ʑi])와 비슷한 발음으로 바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기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 4글자는 표기와 발음의 괴리가 있었다. 실제로 역사적 가나 표기법을 보면 연탁이 적용되지 않을 때에도 ぢ와 づ가 쓰이고 있었다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러한 혼란은 에도 시대 초까지도 계속되어, 이들 4글자의 음가는 각각 [ʑi], [zɯ], [d͡ʑi], [d͡zɯ]로 변했다.

이 현상을 시대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교토 방언을 기준으로, 가마쿠라 시대남북조 시대를 거쳐 무로마치 시대 전기까지는 일단 さ행과 た행 모두 본래 음가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 시기 교토 방언에서 し, す, ち, つ의 음가는 다음과 같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구분




청음
[si~ɕi]
[ti]
[sɯ]
[tɯ]
탁음
[zi~ʑi]
[di]
[zɯ]
[dɯ]
  • 무로마치 말기로 가게 되자 본래 파열음에 속했던 た행에서 ち와 つ의 파찰음화가 진행되었다. 즉, ち는 t+し로 발음되었고, つ는 t+す로 발음되었다. 이는 탁음인 ぢ와 づ에도 나타났다.[1] 그래도 이 때까지는 아직 じ와 ぢ, ず와 づ의 발음이 변별되고 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시기 변한 것으로 여겨지는 음가는 다음과 같다.
구분




청음
[ɕi]
[t͡ɕi]
[sɯ]
[t͡sɯ]
탁음
[ʑi]
[d͡ʑi]
[zɯ]
[d͡zɯ]
  • 에도 시대로 접어들자 d의 첨가 유무(파찰음이냐 마찰음이냐)로 구분되었던 じ와 ぢ, ず와 づ의 발음은 시코쿠와 큐슈 방언을 제외하고는 앞서 말한 이유로 그 구분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d͡ʑi]와 [d͡zɯ]로 발음되어야 할 ぢ와 づ가 은연중에 [ʑi]와 [zɯ]로 발음되고 있었으며, 반대로 [ʑi]와 [zɯ]로 발음되어야 할 じ와 ず도 은연중에 [d͡ʑi]와 [d͡zɯ]로 발음되고 있었다.
구분




청음
[ɕi]
[t͡ɕi]
[sɯ]
[t͡sɯ]
탁음
[ʑi~d͡ʑi]
[zɯ~d͡zɯ]
  • 이러한 혼란이 고착화되자 오늘날의 표준 일본어 표기는 じ와 ぢ를 じ로, ず와 づ를 ず로 통일했다. 단, ぢ와 づ가 변별되는 일부 방언을 표기하거나 연탁이 적용되는 경우 등은 여전히 ぢ와 づ를 쓰는 것이 허용된다.
    • 예를 들어, 한국 한자음으로 '장'([t͡ɕɐŋ~d͡ʑɐŋ])으로 읽히는 場의 원음은 '댱'([diaŋ])으로 이 글자의 일본어 음독을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표기하자면 ヂヤウ이다. 표기를 보면 diyau([di.ja.ɯ])로 읽어야 할 것 같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dyō([djoː])로 읽었고, ぢ와 づ의 고유 음가가 붕괴한 뒤로는 jō([d͡ʑoː~ʑoː])로 읽게 되었다. 이것이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 ぢ는 じ로 바뀌고 あ단 + う/ふ로 표기되던 -oウ 장음이 お단 + う로 바뀌게 되어 場의 음독은 발음 그대로 ジョウ(jō)로 표기된다.


3. 지역별 차이[편집]


이 현상은 지방마다 혼란의 정도가 달랐다. 요츠가나를 기준으로 일본어 사투리를 분류하기도 한다.
  • 이 현상이 가장 약하게 나타났던 규슈 지방에서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이 4개의 음가가 전부 변별된다.
    • 가고시마현에서는 じ와 ぢ를 [ʑi]와 [d͡ʑi]로, ず와 づ를 [zɯ]와 [d͡zɯ]로 구분한다. 가고시마 방언을 쓰는 사람에게는 한국어의 (유성음화된) '자'가 ぢゃ(문화어의 (유성음화된) '자'의 경우는 づぁ)로 인식될 것이다.
    • 오이타현에서는 じ와 ぢ의 구분이 무너졌지만 ず와 づ의 구분은 아직 살아있다.
  • 시코쿠고치현에서 사용되는 방언인 토사벤도 이 4글자의 음가가 모두 변별되는데, 특이하게도 ぢ와 づ의 옛 음가로 여겨지는 [di], [dɯ] 발음이 보존되어 있다. 안울림소리도 마찬가지로 ち와 つ의 옛 음가로 여겨지는 [ti], [tɯ] 발음이 보존되어 있다.
  • 혼슈에서는 드물게 야마나시현의 나라다 마을에서 사용되는 방언이 이 4글자의 음가를 모두 변별한다. 특이하게도 이 지역에서는 じ와 ず를 [ði]와 [ðɯ]로, し와 す를 [θi]와 [θɯ]로 발음하며 노홍철?, ぢ와 づ를 [ɖ͡ʐi]와 [ɖɯ]로, ち와 つ를 [ʈ͡ʂi]와 [ʈɯ]로 발음한다.[2] 참고로 앞의 두 음은 치 마찰음[3]이고 뒤의 두 음은 권설 파찰음권설 파열음이다.
  • 하지만 간토·주부·간사이·주고쿠[4] 등에서는 한 술 더 떠서 じ-ぢ와 ず-づ의 발음 구분이 무너지면서 단이 같은 한 쌍의 음가가 서로 혼합되었다. 그래서 じ가 [d͡ʑi]로도 발음되고 ぢ가 [ʑi]로도 발음된다. 덕분에 표준 일본어 발음 기준으로 じ가 한국어의 (유성음화된) '지'에 더 가까워진다. 그래서 한국어의 (유성음화된) '자'([d͡ʑɐ])를 じゃ에 대응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ず가[d͡zɯ]로도 발음되고 づ가 [zɯ]로도 발음된다.
  • 이 혼란이 가장 심한 도호쿠홋카이도에서는 아예 이 4글자의 음가가 전부 하나로 합쳐져 어떤 지방에서는 전부 [d͡ʑi]로만 발음되고 또 어떤 지방에서는 전부 [d͡zɯ]로만 발음된다. 이런 현상은 이즈모 지역과 오키나와에서도 나타난다.
    • 도호쿠 북부 지방과 이즈모등에서는 전부 [d͡ʑi]로만 발음된다. 오키나와에서 써오던 류큐어는 본토 일본어와 차이가 커서 분류하기 힘들지만 연관성 있는 어휘들을 고려할 때 이쪽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다.
    • 도호쿠 남부 지방에서는 이 4글자가 [d͡zɯ]로만 발음된다. 중세 한국어와 문화어의 (유성음화된) '즈'와 거의 비슷한 발음이다.[5]

아래는 지역별로 요츠가나의 음가가 어떻게 변별되는지를 나타낸 지도이다.[6]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39px-Yotsugana.png
지도설명
연두 (1)
요츠가나 4글자의 음가가 모두 변별되지 않음
じ = ぢ = ず = づ
노랑 (2)
じ와 ぢ, ず와 づ의 음가는 변별되지 않으나 두 쌍의 음가는 변별됨(표준 일본어)
(じ = ぢ) ≠ (ず = づ)
주황 (3)
じ와 ぢ의 음가는 변별되지 않으나 나머지 음가는 변별됨
(じ = ぢ) ≠ ず ≠ づ
보라 (4)
요츠가나 4글자의 음가가 모두 변별됨
じ ≠ ぢ ≠ ず ≠ づ


4. 현행 표기[편집]


현재 표준 일본어에서 이러한 혼란으로 인해 じ와 ぢ, ず와 づ의 발음이 같아졌기 때문에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 ぢ와 づ로 표기됐던 발음은 연탁 등 ぢ와 づ를 쓸 근거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부 じ와 ず로 표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あぢさゐ는 あじさい로, みづ(水)는 みず로 바뀌었다. 연탁이 적용되는지 아닌지 애매한 경우도 있는데 いかづち(雷), いなづま(稲妻)가 그 예. 이들은 각각 '맹렬한(厳/いか)+つ+영령(霊/ち)'와 '벼(稲/いな)의 배우자(妻/つま)'(이나즈마 참조)라는 뜻으로써 연탁이 적용되어 づ를 쓸 근거가 있는데, 현재는 저런 어원 의식이 희박하므로 한 단어로 취급되어 いかずち, いなずま로 쓰는 게 원칙이지만 いかづち, いなづま도 허용한다. 또, ち나 つ 바로 뒤에 올 때에도 바꾸지 않고 ぢ나 づ를 쓴다. 続く(つづく), 鼓(つづみ) 등이 이의 예이다.

같은 이유로 일반적으로 외래어에서는 ヂ와 ヅ를 쓰지 않고 ジ와 ズ만을 쓰므로 ヂ와 ヅ는 철자로는 존재하지만 실제로 보기는 힘들다. 외래어 중에서 ヂ(ぢ)가 쓰인 예는 チヂミ(치지미, 부침개)이다. '기름에 지진 음식' 또는 '국물을 적게 넣어 짭짤하게 끓인 음식'을 뜻하는 한국어 단어 '찌짐'에서 유래한 단어인데, '오그라듦'을 뜻하는 縮み(ちぢみ)와 뜻이 통하기 때문에 チジミ로 바꾸지 않고 그대로 놔둔 듯하다. 다른 사례로는 에스페란토에서는 /ʒ/ 발음과 /d͡ʒ/ 발음을 구별하는데,[7] 이를 구별해서 표기하기 위해 /ʒ/ 발음이 나는 Ĵ(ĵ)에는 ジ를 쓰고 /d͡ʒ/ 발음이 나는 Ĝ(ĝ)에는 ヂ를 쓴다. 에스페란토는 글자와 발음이 1:1로 대응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에스페란토를 가나로 표기할 때 이를 반영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8]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じ와 ぢ를 ji로, ず와 づ를 zu로 통일하였다. 훈령식 로마자 표기법 역시 じ와 ぢ가 zi로, ず와 づ가 zu로 통일되어 있다. 일본식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ぢ와 づ를 di와 du로 표기하고 있기 때문에(じ와 ず는 zi와 zu로 표기한다) じ와 ぢ, ず와 づ가 로마자 표기상으로는 변별된다.
로마자 표기법




헵번식
ji
zu
일본식
zi
di
zu
du
훈령식
zi
zu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1:59:15에 나무위키 요츠가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토사벤을 쓰는 시코쿠 남부에서는 이게 덜 진행되어 ぢ와 づ가 [di~d͡ʑi\]와 [dɯ~d͡zɯ\]로 발음된다. 안울림소리도 마찬가지로 ち와 つ가 [ti~t͡ɕi\]와 [tɯ~t͡sɯ\]로 발음된다.[2] 덕분에 2ch등의 커뮤니티에서 나라다 마을 출신 주민들이 일본인들중에서 영어발음을 가장 잘 하는 사람들이라는 농담도 있다.[3] 'The' 할 때 th 발음[4] 시마네현 일부 지역 제외. 시마네현 동부 지역에서는 도호쿠벤처럼 네 발음이 모두 무너져서 똑같이 발음된다.[5] 대한민국 표준어의 (유성음화된) '즈'[d͡ʑɯ\]로 발음된다. 그래서 일본인은 표준어의 \(유성음화된) '즈' 발음을 じゅ와 비슷한 발음으로 인식한다.[6] 이런 특성 때문에 위도와 기후에 따라 변별력이 달라진다는 가설도 제기되었다. 다만 오키나와는 예외적으로 최남단인데도 홋카이도처럼 변별력이 없다.[7] 페르시아어, 다리어, 타지크어도 /ʒ/ 발음과 /d͡ʒ/ 발음을 구별한다.[8] /ʒ/ 발음이 나는 페르시아어, 다리어의 ژ 그리고 타지크어의 ж에는 ジ를 쓰고 /d͡ʒ/ 발음이 나는 페르시아어, 다리어의 ج 그리고 타지크어의 ҷ에는 ヂ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