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철도역으로서의 용산역을 다룹니다. 철도 업무 이외의 민자역사에 대한 내용은 아이파크몰 문서
3.1번 문단을
아이파크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용산역에 대한 내용은 용산역(대구) 문서
용산역(대구)번 문단을
용산역(대구)# 부분을
, 근처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신용산역 문서
신용산역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신용산역# 부분을
# 부분을
, 북한 득장선의 한자가 같은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룡산역 문서
룡산역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룡산역#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문단 9의 내용을 근접한 위치임에도 자체환승이 불가능한 역 문서의 2.1.1 문단으로 통합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용산역

고속열차 노선 보기
일반열차 노선 보기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운행중단 노선 보기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1호선
(135)


노량진
한강철교 통과 →
2.6 ㎞ →
시종착
1호선

동인천 방면
노량진
한강철교 통과 →
2.6 ㎞ →
1호선

청량리 방면
남 영
← 1.5 ㎞
1호선

신창 방면
노량진
한강철교 통과 →
2.6 ㎞ →
문산 방면
효창공원앞
← 1.5 ㎞
경의·중앙선
(K110)

지평 방면
이 촌
1.9 ㎞ →
시종착
경의·중앙선

용문 방면
문산 방면
공 덕
← 2.5 ㎞
경의·중앙선

용문까지
전역정차

미개통 노선 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인천대입구 방면
여의도

← 4.5 ㎞
GTX-B
(착공 예정)
마석 방면
서울역

3.1 ㎞ →
#!end|| 시종착 ||<bgcolor=#d31145> 신분당선
(D01)
[1]
(미개통) || 광교·호매실 방면
국립박물관
1.3 ㎞ →[추정] ||
}}}}}} ||}}}}}}}}} ||



다국어 표기

[ 펼치기 · 접기 ]
영어
Yongsan
한자
龍山
중국어
龙山
일본어
龍山(ヨンサン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55 (한강로3가 40-999)
관리역 등급
관리역 / 1급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운영 기관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일반 철도
경부선
1900년 7월 8일
용산선
1905년 11월 5일
경원선
1911년 10월 15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2004년 4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새마을호
2004년 4월 1일
무궁화호
1992년 10월 1일
DMZ-train
2014년 5월 4일
서해금빛열차
2015년 2월 5일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2012년 2월 28일
수도권 전철
1호선
1974년 8월 15일
경원선
1978년 12월 9일
중앙선
2005년 12월 16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신분당선
2032년 예정

역사 구조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7면 15선 복합식 승강장(각 승강장으로의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 펼치기 · 접기 ]
서울 방면
남 영
← 1.5 ㎞
경부선
용 산
부산 방면
노량진
2.6 ㎞ →
기점
경원선
용 산
백마고지 방면
이 촌
1.9 ㎞ →
용산선
용 산
가좌 방면
효창공원앞
1.5 ㎞ →
효창선
용 산
효창 방면
효 창[1]
1.8 ㎞ →
경원선용산선은 용산역을 기점으로 서로 이어져 있다.



파일:2019용산역사.jpg

현 민자역사(2004년 2월 29일 준공) 전경
정식명칭
주식회사 에이치디씨아이파크몰
영어명칭
HDC IPARK MALL Co.,LTD.
설립일
1999년 1월 16일
업종명
비주거용 건물 임대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중견기업
홈페이지

1. 개요
2. 역 정보
2.1. 일제강점기
2.2. 20세기 후반
2.3. 민자역사
2.4. 호남/전라/장항선 일반열차의 시종착역
2.5. 경부선 KTX 정차(2016.12.9 ~ 2018.6.30)
2.7. 미래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4.2. 일반·고속철도
5. 승강장
6. 연계 교통
7. 시간표
7.1. 상행
7.2. 하행
8. 기타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용산역(Yongsan station, 龍山驛)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55 (한강로3가 40-999)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135번)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K110번)의 환승역이다.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등의 일반열차와 KTX의 기점이다.

역이 만들어질 당시 1900년의 행정구역이 한성부 용산방이었기 때문에 용산역이 되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상행방향이 이 역부터 강북으로 진입하고 하행방향은 이 역이 강북에서의 마지막 역이다. KTX 개통 전 및 민자역사 건설 전까지는 소박한 선상역사에 평범한 전철역이었으며 종전 비둘기호에 이어 보통/완행열차로의 명맥을 유지하던 통일호와 심야 시간대 편성 극소수 무궁화호만 정차하는 철도역이었으나, 2004년 KTX 개통 후 민자역사 준공과 함께 호남/전라선 KTX 노선의 시종착 역이 되면서 규모가 급격히 커졌다.

서울역이 주로 경상도나 충북(부산, 마산, 진주, 포항, 제천행)으로 가는 열차를 운행한다면, 용산역은 전라도나 서해안(목포, 광주, 여수엑스포, 익산행)으로 가는 열차를 운행한다. 2016년 12월 9일부터 서울역에서도 전라도로 가는 열차가 존재한다. 이와 반대로 용산역에서도 경상도로 가는 열차가 존재했지만 시각표 개정으로 전자만 남아있고 후자는 사라졌다. 더불어 호남선 KTX 편성 중 일부는 행신역에서 시종착 역할을 하는데, 이때도 용산역에서 행신발/행신행 호남선 KTX를 이용할 수 있다.

G-train, 경의선 DMZ-train, 호남/전라/장항선 ITX-새마을새마을호, 무궁화호 열차들이 시/종착하며, 대부분의 호남/전라선 KTX가 시/종착한다. 일부 열차는 서울역이나 행신역까지 연장운행한다. 또한 현재 인천국제공항착발 KTX는 볼 수 없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우 모든 열차가 정차하며[1]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경우 본래 당역을 시종착역으로 운용하였다가 2014년 말 경의·중앙선 직결 후 공덕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거쳐 문산역까지 연장되었다. 또한 과거에는 니가타 동차(비둘기호 시절)도 운행했다.


2. 역 정보[편집]


역(驛), 도시가 되다

1900년 7월 8일 11.5㎡(3.5평)의 작은 목조건물로 시작한 용산역은 경의선의 시발역이 되면서 1906년 11월 서양식 역사로 다시 지어진다. 1932년까지 지어진 이 역사는 당시 일본인들이 덕수궁 석조전 등과 함께 조선의 4대 건축물로 꼽았을 정도로 크고 매력적인 목조건물이었다. 1972년 철도화물운송이 시작되면서 각종 화물과 소화물이 서울 시내로 들어오는 철도물류터미널의 역할을 하였으며, 2004년 KTX 개통에 이어 2012년부터 ITX-청춘의 시종착역으로 역할하고 있다. 2004년 10월 민자역사로 새롭게 태어난 용산역은 쇼핑과 문화 활동의 중심지로 상업, 레저기능이 복합된 도심 속의 도시, 그 자체가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 원래는 민자역사 완공을 기념한 아이파크몰 스탬프였으나 2012년 들어오면서 현재의 스탬프로 바뀌었다. 기존의 것은 제공하지 않고 있다.

철도거리표 상으로는 용산선, 경부선, 경원선의 환승역이다. 서대전, 익산, 정읍, 광주, 광주송정, 목포 등으로 가는 호남선, 전주, 남원, 순천, 여수 등으로 가는 전라선, 대천, 장항, 군산 등으로 가는 장항선 열차는 이곳에서 타면 된다. 춘천으로 가는 경춘선 ITX-청춘 열차도 이곳에서 이용할 수 있다.

수도권 전철 역으로서는 보통 사람들이 보는 노선도 상으로는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 운행계통은 기존 경의선과 용산선 구간을 통합하여 운행하고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운행계통은 중랑~용문 구간의 중앙선경원선의 용산-회기 구간을 통합하여 운행 중이다. 그리고 용산선이 용산역까지 완공되면서 두 노선의 운행계통이 통합되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운행계통 역시 경원선(회기 이북 구간),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등의 전체 혹은 일부를 합쳐 놓은 형태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중 용산역을 지나는 구간은 경부선이다. 자세한 것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참조하자. 또한 구로, 동인천 급행 열차도 이 곳에서 시종착한다. 구로 급행은 급행 선로를 이용할 뿐이고 전역 정차이므로 사실상 급행으로서의 의미는 없다. 천안 급행은 2019년 12월 29일까지 종착역으로 있었다가 청량리역으로 연장되었다.

경부선 급행열차의 시종착역이었다는 특성 때문에 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등지에서 수원시, 천안시 등으로 환승 통학하려는 대학생들도 심심찮게 보였다.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관리역으로, 관리등급은 1급이다. 일반열차를 이용하는 철도역과 수도권 전철역이 분리되어있고, 운영주체도 나뉘어 있는 서울역, 청량리역과 달리 용산역은 모두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고, 하나의 역이다.

이 역과 이촌역 사이에는 절연구간이 있었다. 여기는 열차 운행 최대 난구간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한강대교 교각 밑을 통과하는 구간이라 옛날부터 엄청난 문제가 있었다. 22m가 표준인 교류-교류 절연구간인데도 한강대교 통과구간은 절연구간이 110m로 대한민국 절연구간 최장거리였다. 교류 - 직류 절연구간도 고작 66m이다. 급곡선도 겹쳐있어 속도를 낼 수가 없다. 그래서인지 과거에 가끔씩 이 구간에서 차가 멈췄던 사례가 꽤 있었다.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대비한 경원선 개선 사업을 통해 이 절연구간을 이촌역과 서빙고역 사이로 옮겨 나아졌다. 한강대교 통과구간은 터널용 급전 브래킷으로 교체하고, 한강대교에는 전자기파 차단 보강공사를 했다. 그 후 이촌-서빙고 사이에 25m짜리 교류-교류 절연구간을 신설하여 평범한 절연구간으로 변했다.

중앙선 용문급행 열차는 평일 출.퇴근시간대 정차한다. 문산역부터 용산역까지 각역정차하고 다음 역인 이촌역에서부터 급행으로 운행하기 시작한다. 반대로 용문발 수색급행 열차는 이촌역까지만 급행으로 운행한 뒤 '급행' 표시를 떼고 평범한 수색행이 되어 각역정차하기 때문에 용산역에서는 완행열차와 다를 바 없다.


2.1. 일제강점기[편집]



파일:다운로드용산역.jpg

일제강점기 당시 용산역. 6.25 전쟁 때 소실되었다.

용산역은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여 일본이 경의선을 급속도로 부설하면서 발전하였는데, 본디 대한제국의 경의선 계획은 마포역에서 출발하는 노선이었으나, 일본군이 용산에 주둔하고 있었기에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때문에 경인선은 서대문역, 경의선은 마포역에서 시착하려던 경성의 철도망은 용산 일원화로 변경되었으며 용산역은 명동-용산의 일본인 거주지로 통하는 핵심 관문역이 되었다.

용산역 앞에는 광대한 광장이 조성되었는데, 건축을 담당한 임시군용철도감부가 이런 광장을 설치한 이유는 용산역 앞에서 군대의 사열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추정된다.[2]

그러나 용산역은 도심에서 멀었고, 역 앞에 일본군 사령부(현 용산 미군기지 자리)가 있어 역세권 발달에도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조선총독부는 도심과 가까운 남대문역을 서울(경성부)의 새로운 중앙역으로 삼기로 하고 커다란 역사를 지음과 동시에 남대문역과 경의선을 잇는 철도를 놓았다. 남대문역은 경성역으로 이름을 바꿔 새로운 중앙역이 되었고 용산역의 위상은 낮아졌다.

용산역은 단순히 승객과 화물이 오고가는 역일뿐만 아니라 철도차량을 유치 및 정비하는 곳이기도 했다. 경부선이 개통한 1905년 이래 이곳에는 철도 용산 공작반이라는 기관이 세워지고, 광대한 철도부지에 차량기지를 세워 기관차와 객차, 화차의 정비를 맡았다. 또한 인근에 일본군 기지가 있었기에 군용열차 및 군용화물도 많이 운행했다.


2.2. 20세기 후반[편집]



파일:용산역.png

1978년에 완공된 용산역


파일:67cb6eb5.png
파일:external/file2.instiz.net/16aea5109331373b8d739a524806e5dd.jpg

2001년 무렵 촬영한 용산역


파일:external/www2u.biglobe.ne.jp/ozonephoto-cheong-yongsan-hyou.gif

당시의 1호선 역명판

광복 후에도 용산역의 역할은 일제강점기 말기와 크게 다를 바 없었으나 그 위상은 크게 떨어졌다. 분단으로 대륙으로 향하는 국제열차는 사라졌고, 여객 터미널로서의 위상은 서울역으로 완전히 옮겨갔다.

6.25 전쟁을 전후해 일제강점기 때의 역사는 파괴되었고[3], 여객에서 큰 역할을 하지 못하는 용산역은 단층 역사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이 때의 역사 규모는 현재는 물론 일제강점기의 그것에도 크게 미치지 못했다.

1978년에 수도권 전철 전용 선상역사가 만들어져 기존 1층짜리 역사는 일반열차 역 전용이 되어 전철역이 분리되었으며, 일반열차 역은 1990년에 경부선 서울 - 구로 간 3복선화 부지에 포함됨에 따라 철거되어 일반열차 역무기능까지 전철역사에서 수행하게 되었다. 이 부지는 현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원선) 용산역 승강장으로 쓰이고 있다.

이때 당시 용산역은 일반 여객보다는 군용 수송 및 화물역, 철도차량 정비로써의 역할이 더 많았다. 서울우편집중국의 우편화물 및 신문용지, 특히 과거 각종 잡지 등 간행물 수송 그리고 각종 소화물 등 서울 시내로 들어오는 다양한 화물을 취급하는 철도물류터미널 기능을 했었고, 서울 주변역으로 가는 화물중계 역할을 하는 조차장 기능도 있어 용산을 드나드는 근거리 화물열차가 많았다. 그러나 점차 철도 화물수송이 축소되고 1984년에 오봉역이 만들어지면서 수도권 화물 수송 거점역이 옮겨가 용산역의 역할은 또 축소되었다.

1호선 전철 역중 플랩식 행선기가 마지막으로 설치되어있던 역이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 2호선을 제외한 1,3,4호선 전철 역사에서 플랩식 행선기가 철거되고 모두 LED식으로 교체되었는데, 용산역 하행선 승강장에 남아있던 플랩식 행선기는 민자역사 개업 전인 2003년까지 그대로 남아있었다. 수원~병점간 연장 개통 당시 병점행 행선지를 추가하기까지 했으나 2003년 말 민자역사가 완공되면서 철거되었다.[4]

이곳은 군용 열차가 많이 운행해 군인들이 많았는데, 휴가 나온 군인들과 그들을 꼬드기려는 성매매 여성들이 뒤엉키면서 상당히 어두운 분위기가 감돌았다.

한편 서울이나 청량리에서 착발하는 NDC, DEC, CDC 등의 디젤동차와 새마을호 PP동차의 차고지인 '서울동차사무소'(1999년 용산차량사업소로 변경)가 위치하여 차량의 정비를 담당하였다.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후 철도청 1호선 저항제어 차량의 중정비를 맡기도 했었다.

1980년대까지는 서울역 대신 대전역, 부산진역, 목포역, 장항역까지 오가는 간선 비둘기호의 시종착역 기능을 맡기도 했다. 특히 부산진행 열차는 운행시간 13시간에 달하는 본좌급 근성열차라 할 수 있었다. 부산에서도 부산역이 아닌 옛 부산진역이 시발/종착역이었다.


파일:external/www.e-adpr.com/IMG_20140217_124835.jpg

90년대 용산역에서 바라본 공중보행교와 터미널 상가의 모습

1990년에는 터미널 상가 건물 내부에 서부역사가 완공되었다. 또한 용산역에서 이 서부역사까지 쭉 이어지는 공중보행교도 같이 완공되었다. 이 보행교는 당시에는 Paid Area, 즉 승차권을 개찰기에 넣고 돈을 지불해야 들어갈 수 있는 장소였다. 이는 기존 용산역의 승강장과 전철 역사를 잇는 육교를 단순히 연장한 형태였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쭉 이어진 보행교가 끝나는 터미널 상가 3층에는 개찰구와 매표소, 역무실 등의 간단한 역무시설이 생겼고 이를 서부역사라고 불렀다. 또한 엘리베이터 앞까지는 중간에 가게가 없이 대합실 용도로 쓰였다. 민자역사가 개장하면서 보행교는 그대로 남았지만, Paid Area에서 제외되면서 돈을 내지 않고도 보행교를 건널 수 있게 되었고 서부역사는 사라지게 되었다. 그 후 서부역사 자리는 컴퓨터 관련 가게로 메꿔지며 흔적이 사라졌다. 지금은 터미널 상가가 2017년에 서울 드래곤 시티로 재건축되면서 건물 자체가 없어졌다. 현재 3번 출구에 해당하는 공중보행교는 서울 드래곤 시티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대로 돈을 지불하지 않고 건너갈 수 있다. 형태도 2023년 다른 모습으로 재건축되어 변경되었다.


2.3. 민자역사[편집]



파일:아이파크몰 전경사진(210624)_4.jpg

2004년 완공된 민자역사

2003년 12월까지는 구역사에서 영업했고 그저 별 볼일 없는 기차역이었지만 2004년 4월 1일부로 KTX 개통과 함께 호남선을 포함한 각종 열차의 시발역이 되었다. 이와 함께 현대산업개발 민자역사가 세워지면서 모습이 급변하였다. 아이파크몰, 아이파크 백화점, 이마트 용산점, CGV 용산아이파크몰 등 각종 상업시설이 들어서면서 순식간에 대형 상업 지역으로 변모했다. 온게임넷의 경기장이었던 용산 e-Sports 스타디움도 있었지만 지금은 수색역에 있는 서울 OGN e스타디움으로 옮겼다.

민자역사가 완공되면서 화물중계기능은 폐지되고 화물취급량도 대폭 축소되었다. 이후 2017년 12월 18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7-839호에 의거 여객취급 전용역으로 변경되었다.[5]

서울역보다 용산역의 민자역사가 규모면에서 3배 가까이 더 크며, 시설이 매우 좋고 넓다. 완공 당시에는 동양 최대의 민자역사라고 자랑하였고, 곧 경의·중앙선 등과 환승하는 교통의 요지가 될 것이라는 점 등을 내세워 당시 철도청에서는 시종착역이 용산역으로 옮겨가며 불만에 찬 호남, 전라, 장항선 이용자들에게 어필하려고 했다.

다만 민자역사의 규모가 더 크다는 것일 뿐 역무시설 자체의 규모가 큰 것은 아니다. 선로 수가 15개이고 승강장이 13개로 제법 많긴 하지만 그 중 절반인 6개의 승강장과 7개의 선로는 1호선 전철, 경의·중앙선 전철을 취급하는 선로이며 나머지 7개의 승강장과 8개의 선로도 중간에 서울역까지 올라가는 열차들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이용 가능한 선로는 서울역보다 적은 편이다, 서울역은 21선 15개의 승강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맞이방 규모도 서울역보다는 작다고 할 수 있는데, 서울역은 2층에도 맞이방이 있다. 다만 이렇게 역무시설의 규모가 서울역보다 작은 만큼 구조가 단순하고 직관적이다. 이는 아이파크몰이 서울역과 달리 역무시설과 깔끔하게 분리되어 있는 것도 영향을 미친다. 반면 서울역은 구역사와 역무시설, 민자역사가 교차해 있어 코엑스잠실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상당히 높은 길찾기 난이도를 보인다.

2017년 4월 10일, 한국철도공사에서는 환승동선 단축, 수평 환승 등 편리한 연계환승을 구축하기 위해 도시철도와 여객열차간의 직통환승통로가 개통하였다. 이는 서울역 후 두 번째 역사이다. 다만, 교통카드가 없거나 잔액이 부족할 경우 기존 방식대로 환승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빠른 환승 위치는 1호선 및 경의·중앙선 상행 기준 2-4, 하행 기준 9-1이며 환승 시 약 2분가량 소요된다.


2.4. 호남/전라/장항선 일반열차의 시종착역[편집]


KTX 개통 전 새마을호나 무궁화호 등의 열차는 서울역과 용산역에서 나누어 시종착하였다. 그러다가 2004년 4월 1일 KTX가 개통하면서 KTX 외 등급 열차 중 호남선 대부분 열차와 전라·장항선 열차가 모두 이 역에서 시종착되도록 변경되었다. 때문에 그 지역 주민들로부터 항의가 빗발쳤다.

당시 수도권 지역 외 주민들 상당수는 일단 용산이 어디인지를 모르기도 하였다. 물론 용산역도 서울에 있기 때문에 인지도가 낮지는 않다. 최근에는 대통령 집무실 등으로 자주 언급되고 해서 용산하면 서울에 있는 곳이라는 이미지는 거의 다 알고 있다. 문제는 고양시에서도 교통의 중심지라고 보기 어려운 행신역은 목적지 상관없이 일부 KTX 상하행 열차에서 기종점역 역할을 하는데 이 경우에는 하행시 출발역은 당연히 행신역이므로 용산역보다 더 인지도가 낮다. 그 후 행신역 종착 열차는 서울역을 병기하고 있다. KTX 하행 열차는 서울역만 출발역인 건 아니다. 서울역 외에도 용산역도 출발역이며 일부 열차에 한해서 행신역에서도 출발한다. 하행인데 서울역이 두번째 정차역이라면 100% 행신발 KTX이다.

그리고 알고 있는 주민들의 경우 개발되지 않은 매우 낙후되어 있던 예전 역의 이미지가 가시지 않은 상황이었다. 인지도 부족으로 이원화 직후 지방 철도역에는 용산(서울)이라는 안내가 붙었었고 지금도 간혹 가다 볼 수 있다. 특히 호남지역에서 시내버스급으로 배차되는 버스가 아닌 기차를 타고 서울에 온다는 것은 한강 이남의 고속터미널보다 도심으로 들어와서 일을 보려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 컸다. 용산역은 서울역보다 도심에서 멀고, 버스 환승 등의 접근성 측면에서 현재까지도 서울역에 비해 불편하다. 서울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고 서울을 대표할 만한 역이 서울역이고, 호남선 개통 후 100년 가까이 메이저 역인 서울역을 잘 이용해왔는데, 느닷없이 마이너 역으로 생각되는 용산역을 이용하라고 했으니 반발이 있었다. 용산역과 서울역 이용자가 또 경상도전라도로 갈리기 때문에 두 지역의 미묘한 지역감정 등과 얽혀 지역차별 등으로 비춰질 소지가 있었다.

그래서 호남선 KTX 이용자들에게서 'KTX 생긴 뒤로 돈은 더 받는데, 덜 가서 내려주더라'라는 비아냥이 나오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당시 철도청은 일부 호남선 열차는 서울역까지 운행하였다. 이 경우에도 용산에서 5분 이상 정차한 뒤, 서울에서는 타 역처럼 1 ~ 2분 정차한 적이 많았다. 2004년 4월 1일 당시 호남선 서울역행 열차는 새마을호 #1064(목포발), #1074(광주발), 무궁화호 #1452(광주발), #1432(목포발)이 있었고 전라/장항선은 추가개정 때 서울역행이 잠시 부활한다. 그외의 일부 경부선 열차는 용산역까지만 운행하였으나, 이것도 경부/경전/충북선 이용객이 용산역을 이용하지 못하게 되면서 민원이 나오자 추가개정 때에 급하게 만들어진 것에 가까웠고, 경부선에 비해 열차 운행횟수도 훨씬 적은데 그것마저 서울역과 용산역으로 이원화되어 열차 이용이 상당히 애매한 상태가 되었다. 결국 광주광역시목포시 등에서 먼저 종착역 일원화를 요구하게 되었고, 용산역 민자역사 시설 중 미완공된 일부 시설들이 완공되자 2005년 12월 15일 열차시간표 개정을 통해 모든 경부선 열차는 서울역, 호남선 열차는 용산역으로 일원화하게 된다. 이 와중에 그새 용산역을 이용 못하게 되어 아우성 쳤던 경부선 수요가 있기도 했다고 한다.

한편 KTX의 경우 KTX가 다니지 않는 장항선을 뺀 대다수의 호남선과 전라선 KTX가 대체로 한 번에 용산역도 필수 정차하되, 서울역도 선택 정차하는 것을 보면 현재의 KTX가 개통 전 다른 열차들이 시종착하던 것과 비슷한 상황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상술했듯 둘 다 정차하는 예외도 존재한다. 한편 장항선의 경우 향후 2026 ~ 2028년 즈음에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서해선에서 운영하는 KTX-이음을 홍성역에서 장항선과 직결하여 운행할 계획이다. 이쪽의 경우 일단 개통 직후에는 서화성남양역(가칭)을 시종착역으로 하겠지만, 향후 연결선이 신설되면 서울역 착발이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

호남/전라/장항선 시종착역이라는 특징 때문에 역 내부에는 전라도충청남도의 서해안권 지역 광고들이 많이 걸려 있다.


2.5. 경부선 KTX 정차(2016.12.9 ~ 2018.6.30)[편집]


2016년 12월 9일, SRT 개통과 함께 한국철도공사에서 서울역과 용산역 둘 다 경부선 KTX호남선 KTX 착발을 결정하면서 직통으로 갈 수 있는 선택지도 생겼다.[6] 노선별 전용역이 지되면서 이제 서울역과 용산역에서 모두 경부선, 호남선 KTX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노선의 비중을 따지자면 여전히 경부선은 서울역 착발편(1일 176편 중 152편이 경부선)이, 호남선은 용산역 착발편(1일 88편 중 64편이 호남선)이 압도적으로 많다.

하지만 용산역의 경부선 KTX 확대 정차는 일부 지역 주민들에게는 득이 되었는데, 특히 경의·중앙선 인근의 고양시, 파주시 승객들이 가장 큰 수혜를 봤다. 경의·중앙선 서울역 지선은 선로 포화 때문에 배차간격이 1시간인 데다가 그마저도 대곡역까지만 운행하는 열차가 많아서 서울역까지 가려면 사실상 환승이 필수였다. 환승하지 않으려면 광역버스를 이용해야 하는데 광역버스는 교통 정체나 우회 운행이 많아서 2시간 이상 넉넉하게 여유를 잡아야 한다. 행신역KTX가 정차하기는 하지만, KTX 전용 차량기지 보상 성격이라서 특정 시간대에 편중된 점이 문제이다. 용산역에 경부선 KTX가 정차하게 되면서 고양, 파주 시민들은 선택의 폭이 넓어져 영남 지방으로의 이동이 편리해졌다. 특히 행신 ~ 용산 경의본선 구간은 KTX도 제 속도를 내지 못하기에, 용산역에서 KTX를 이용할 경우 이동 시간은 거의 차이가 없으면서 전철 운임을 포함한 총 운임은 행신역에서 KTX를 이용하는 것보다 저렴하다.

파일:20161223_182800.jpg
한국철도공사에서도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1호선 등에 위 안내문을 부착하여 용산역 출발 KTX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그런데 2018년 7월 1일자로 용산역 착발 경부, 경전, 동해선 KTX 운행이 수요 저조로 인해 서울역 착발로 변경 예정이다. 그럼에도 호남/전라선 KTX 서울역 착발은 용산역으로 단축되지 않았다. 이는 언뜻 보면 모순 같아 보이나 결국 한가지 의미로 압축된다. 사람들은 용산역보다 도심 접근성이 더 좋은 서울역을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애초부터 호남방면 열차들이 용산역에서 발착하게 된 것도 서울역 용량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2011년부터 서울역 환승통로 공사로 인해 부산역을 출발하여 서울역에 도착하는 부산역 21시 25분 출발 무궁화호 1226열차의 임시 종착역으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2015년 3월 28일 환승통로 공사가 마무리되어 개통되었다. 그러나 공사가 끝나도 이 열차는 2016년 12월 8일까지 용산역 종착을 하게 되었고, 나중에 서울역 종착으로 다시 돌아가게 되었다.


2.6. 사전투표소[편집]


파일:wef24f24f24g2g4.jpg
용산역 3층 대합실은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까지 사전투표소로 활용되었다.

용산역이 소재한 행정구역인 용산구 한강로동 사전투표소로 지정되었다. 따라서 한강로동 주민들은 관내사전, 그 외에는 관외사전투표로 처리한다. 인근 국방부 직할부대의 군 장병들의 사전투표까지 이뤄지다보니 서울역, 인천공항과 함께 관외사전투표인이 훨씬 많았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용산구 한강로동 사전투표소가 동주민센터로 지정되어 용산역에 설치되었던 사전투표소가 폐지되었다.


2.7. 미래[편집]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지나가는데, 확정된 계획상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신분당선도 환승 가능할 예정이다. 한편 신분당선 역 위치상 신용산역까지 환승 가능하게 할 가능성이 높고, 만약 역명 통일 및 환승이 실현될 시 수도권 전철 4호선도 환승 가능하게 되어 5개 노선 환승역이 된다.

한편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기지 반환 및 공원화 사업이 완료되면 유동인구가 크게 늘어날 것이므로, 매우 혼잡한 역이 될 전망이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파일:용산역주변.png

집창촌 절거 전 3D 지도


파일:용산역주변1.jpg

집창촌 철거 후 3D 지도


파일:/img/img_link7/188/187514_3.jpg

용산역 앞에 있었던 집창촌

용산역 앞은 성매매업소 집결지었으나, 2012년에 완전히 철거되고 재개발이 한창이다. 일부 자리에는 현재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섰다. 위 사진은 건전한 낮 시간대 사진이다. 위 사진에서 짤린 '용산구청장' 표지판의 윗부분이, 심야시간대 청소년 통행금지를 알리는 표지판이었다.

2010년까지만 해도 한강대로쪽 골목으로 나오면 양 옆으로 불빛 아래 야한 옷을 입은 여자들이 서 있고 아줌마들이 젊은 남자들을 대상으로 호객 행위를 하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 이 골목 입구에는 각종 분식을 파는 노점상들이 있었는데, 이 노점상 거리의 간판인 '종합 먹거리 광장'이 홍등가 입구에 달려 있기까지 했다. 2012년 들어서 용산지구 재개발의 일환으로 홍등가가 모두 철거되고 주상복합 아파트 래미안용산더센트럴이 들어서면서 도시미관이 완전히 개선되었다. 과거에는 포장마차 촌도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고 잔디광장이 조성되었다. 주변에는 대원방송도 있었다. 대원씨아이가 근처에 있어서인 듯 한데 2019년 현재는 상암동 DMC의 디지털드림타워 14층으로 이전한 상태이다.

인근에는 용산 전자상가가 있다. 용산역에 민자역사(구 스페이스9. 현재의 아이파크몰)를 건설할 당시 용산 전자상가에서 상권을 빼앗긴다고 들고 일어난 적이 있었으나, 정작 아이파크몰에서는 비싼 임대료 때문에 싸게 팔 수 없기에 용산 전자상가 내의 상권은 그다지 위협을 받지 않았다. 현재는 전자상가 일대가 재개발될 되어 사라질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용산 전자상가 문서를 보라.

과거부터 군용열차가 주로 운행하는 등 군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역이라서 역 주위 상가에 군장점 등 군대와 관련된 가게들이 많이 있다. 이 중에는 '용사의 집'이라고 해서 1969년 8월에 오픈한 육군 복지 시설도 있다. 특히 이곳에 있는 양식당은 옛날 경양식 스타일을 지금까지도 고수하고 있어서 추억 삼아 오는 사람들도 많다. 이외에도 웨딩홀, 식당, 할인마트, 호텔 등이 함께 있다. 이 중 호텔 등은 현역 장병이 아니면 이용에 제한이 있다. 그런데 용사의 집을 헐고 그 자리에다가 1,300억 원을 들여서 30층짜리 육군 호텔을 짓겠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실효성 때문에 논란이 일고 있었지만 우격다짐으로 2017년에 밀었다. 용사의 집은 고층 호텔로 재건축되어 2023년 4월 7일에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이라는 새 이름으로 개관하여 현재 운영 중이다.[7][8]

용사의집 옆에는 찜질방으로 유명한 사우나 시설 '드래곤 힐스파'가 자리잡고 있지만 영업을 하지 않는 상황이다.

용산역 서쪽에는 1905년부터 내려져오는 역사 깊은 철도차량기지가 있었으나 2007년에 폐쇄되어 철도차량 정비 기능은 사라졌고, 관련 기능은 모두 대전조차장이나 제천조차장으로 이관되었다. 용산차량기지를 재개발하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을 세워 한국철도공사의 적자도 해결하고 서울시 측이 주변 개발도 하면서 제2의 강남처럼 키우려 했으나, 큰손이었던 국민연금이 발을 빼고 그 대안으로 삼성그룹에서 자금을 유치하려 했지만 실패하면서 사업이 사실상 백지화되었다.


3.1. 4호선 신용산역과의 환승 문제[편집]


용산역에서 나와 2~3분만 걸으면 도달할 수 있는 거리에 신용산역이 있지만 수도권 전철 용산역 내부에서는 환승이 불가능하다. 이미 부산의 동해선 광역전철에는 동해선 광역전철을 버스처럼 별도 교통수단으로 취급해서 동해선 동래역4호선 낙민역 간의 간접환승 특례 선례도 있고, 서울역의 경의·중앙선 서울역과 1, 4호선, 공항철도 서울역 간 간접환승이 가능하지만 용산역은 그렇지 않다. 전철-버스-전철 순으로 환승하려고 해도 4호선 신용산역-0017번-1호선 용산역 순의 환승은 가능해도 도로 구조상 반대편으로의 환승은 불가능하다. 한강대로에서 안쪽으로 한 블럭 들어가 있는 용산역의 위치상 초행길일 때는 신용산역 출구를 찾기도 힘들다.

이러한 이유로 서울 지하철 9호선이 개통하기 전까지만 해도 1호선 노량진 이남에서 4호선 사당방면으로 가려면 서울역까지 올라가서 환승하거나, 배차 간격이 나쁜 중앙선을 경유 또는 2호선 신도림역까지 가서 타고 가던 방향 반대로 되돌아와야 했다. 또한 노량진 이남에서 1호선과 직접 환승되지 않는 6호선을 타려면 역시 서울역까지 가서 4호선을 경유해서 내려오거나 중앙선을 경유하여야 해서 지하철+버스 조합을 써서 자유롭게 환승하는 것이 익숙지 않은 시민들의 발목을 잡았다. 사실 이 문제를 해결하던 버스가 영등포에서 노량진을 거쳐 동작, 사당을 거쳐가는 버스였던 363번이었다.

4호선 신용산역과의 환승 문제의 경우, 현재 아이파크몰 지하1층에 신용산역과의 연결 통로를 위한 부지가 마련되어 있지만 당장 '환승'이 되기엔 무리로 보여진다. 현재는 용산역 앞의 재개발과 함께 지하 통로를 건설하거나, 신분당선이 용산역 지하를 동-서로 횡단하는 형태로 지어져 자연스럽게 신용산역과의 환승 통로를 만들게 하는 방법 등이 거론되고 있다. 실제로 신분당선 용산역은 민자역사 전면 용산푸르지오서밋과 래미안용산 사이에 있는 광장(구 용산포장마차촌)에 위치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이렇게 될 경우 'H'자 형태의 환승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두 역 사이의 거리가 직선거리로 230m 정도 되기 때문에 1호선과 4호선을 어떻게든 잇는다고 해도 그 사이의 동선은 종로3가역이나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등과 같이 신분당선 승강장을 사이에 낀 막장환승이 된다. 또한 용산역과 신용산역의 명칭 통합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에는 이수역-총신대입구역 사례에 이어 이름이 다른 환승역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신용산역이라는 이름 자체가 용산과 다른 역임을 알리기 위해 생긴 역명이기도 하고, 이수역의 역명 문제총신대학교에겐 가까운 비환승역 남성역보다는 멀지만 환승역인 이수역에다가 자기 이름을 넣는게 더 이득이라 발생한 일이지만 신용산역 인근 주민들에게는 오히려 KTX와 각종 일반열차의 시종착역인 용산역으로 역명을 변경하는 것이 부동산에 더욱 이득이므로 명칭 통합이 반려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용산역 앞 래미안 더 센트럴 지하 상가 내에 신용산역으로 바로 들어가는 길이 생겼으며 용산역에서 한 번만 길을 건너면 들어갈 수 있도록 길과 안내판을 설치한 상태이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4.1. 수도권 전철[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비고

[ 1974년~2009년 ]
1974년
12,443명

1975년
12,315명

1976년
13,891명

1977년
18,609명

1978년
26,095명

1979년
36,764명

1980년
35,945명

1981년
38,424명

1982년
41,459명

1983년
46,050명

1984년
50,643명

1985년
49,689명

1986년
46,249명

1987년
49,768명

1988년
38,777명

1989년
39,143명

1990년
39,600명

1991년
41,471명

1992년
45,560명

1993년
48,111명

1994년
49,165명

1995년
52,616명

1996년
55,136명

1997년
56,228명

1998년
54,931명

1999년
57,518명

2000년
51,271명
비고
2001년
58,949명

2002년
57,338명

2003년
56,067명

2004년
52,666명
[1]
2005년
68,608명
[2]
2006년
73,643명

2007년
75,029명

2008년
73,220명

2009년
69,263명


2010년
68,093명

2011년
66,949명

2012년
66,823명

2013년
66,194명

2014년
65,906명

2015년
74,378명

2016년
79,413명

2017년
80,141명

2018년
84,360명

2019년
86,313명

2020년
55,676명

2021년
58,173명

2022년
72,209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1호선과 경의·중앙선이 개찰구를 공동으로 사용하므로 모든 이용객은 1호선의 것으로 집계된다.
  • 2017년까지만 해도 이용객이 1호선 전구간에서 서울역, 영등포역, 종각역, 부천역 다음으로 많았으나 2018년에 부천역을 이기더니 2019년에는 종각역도 이기면서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체 3위를 거머쥐게 되었다.
  • 용산역 민자역사가 완공된 2004년 4월부터 이용객이 급격하게 상승해 일평균 이용객이 50,000명대에서 70,000명대로 뛰었지만, 2000년대 후반 용산 전자상가의 몰락으로 이용객이 차츰 감소하여 2009년 60,000명대로 하락하였다.
  • 그러나 호남고속철도가 2015년 개통되어 광주광역시, 전주시, 목포시, 익산시, 여수시, 순천시, 공주시 등으로의 접근이 훨씬 빨라지면서 2015년부터 다시 급격하게 이용객이 상승해 2017년 기준으로 일평균 8만 명을 돌파하였다.
  • ITX-청춘이 정차하는 모든 역들 중에서 ITX-청춘의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다. 심지어 경춘선 ITX-청춘의 전신이라고 볼 수 있는 경춘선 무궁화호 시절의 종착역이었던 청량리역보다도 이용객이 1.6배 가량 더 많아 ITX-청춘의 정차역들 중 유일하게 일평균 10,000명이 넘는다.
  • 향후 신분당선이 개통될 경우 서울역~분당, 용인 간의 직행좌석 버스의 수요를 가져올 전망이다. 특히 신분당선은 정시성이 뛰어나 직행좌석버스의 수요를 많이 가져올 것이다.
  • 용산역 바로 동쪽에 수도권 전철 4호선 신용산역이 위치해 있다. 용산역에서 도보 3분여만에 갈 수 있을 정도로 가깝다.
  • 용산구 관내에서 가장 많은 승객이 이용하는 도시철도역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도시철도 서울역도 1호선, 4호선, 공항철도가 용산구에 포함되나 가장 많은 승객이 이용하는 1호선 서울역은 천안급행B 승강장만 걸쳐있고 공항철도/4호선 승객은 용산역에 미치지 못한다. 그리고 경의·중앙선을 포함하고 있다고는 하나 용산구 관내의 다른 역들은 4호선 서울역과 이태원역을 제외하면 용산역 이용객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4.2. 일반·고속철도[편집]


연도
파일:KTX BI.svg

파일:ITX-청춘 BI.svg

[[새마을호|

새마을호
]]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총합
비고
2004년
9,123명

1,387명
6,907명
17,417명
[9]
2005년
10,951명
2,037명
8,992명
21,980명

2006년
12,133명
2,144명
8,554명
22,831명

2007년
11,768명
2,749명
7,736명
22,253명

2008년
11,827명
2,485명
7,703명
22,015명

2009년
11,638명
2,430명
7,303명
21,371명

2010년
12,118명
2,531명
7,753명
22,402명

2011년
12,835명
2,534명
8,149명
23,518명

2012년
13,676명
6,386명
2,260명
8,459명
30,781명
[10]
2013년
13,800명
7,735명
2,165명
8,199명
31,899명

2014년
13,845명
8,794명
2,102명
8,192명
32,933명

2015년
19,749명
10,116명
2,255명
7,816명
39,936명

2016년
24,436명
10,411명
2,272명
8,246명
45,365명

2017년
28,431명
10,042명
2,681명
8,115명
49,269명

2018년
27,561명
9,526명
2,846명
8,481명
48,414명

2019년
25,764명
9,186명
3,113명
8,882명
46,945명

2020년
15,988명
5,688명
1,758명
5,156명
28,590명

2021년
17,883명
5,927명
1,993명
4,792명
30,595명

2022년
24,835명
7,524명
2,865명
5,611명
40,835명

출처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철도통계연보
파일:ITX-청춘 BI.svg: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5. 승강장[편집]




파일:15868427995_62baeac312_5k.jpg

1992년경의 경부선 승강장과 무궁화호


5.1. 지상역사(경부선, 1호선, 경의·중앙선)[편집]




파일:용산역1.jpg

1호선 승강장


파일:attachment/Yongsanj.jpg

경의·중앙선(중앙선 시절) 승강장


파일:경의중앙선용산역.jpg

경의·중앙선 역명판

서울·행신
남영
종착역
효창공원앞

13
12



10
9


8
7


6


5
4


3
2



1
영등포·광명
노량진
이촌·옥수

빨간색 화살표서울역 착발 경부선 계통 열차들의 통과선, 파란색 화살표강릉선 KTX의 통과선이다.

1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완행·급행
왕십리·덕소·용문·지평 방면
경춘선
파일:ITX-청춘 BI.svg
평내호평·가평·춘천 방면
2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완행·급행
홍대입구·일산·문산 방면
경춘선
파일:ITX-청춘 BI.svg
당역 종착
3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급행·특급
부천·부평·동인천 방면
4
당역 종착
5
완행·경부선 A급행
구로·인천·천안·신창 방면
6
완행·경원선 급행
청량리·광운대·의정부·소요산 방면
7
~
10

호남고속선
파일:KTX BI.svg
익산·광주송정·목포 방면
호남선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서대전·광주·목포 방면
전라선
서대전·전주·여수EXPO 방면
장항선
[[새마을호|

새마을호
]]·[[무궁화호|

무궁화호
]]
[[서해금빛열차|

G-train
]]
홍성·장항·익산 방면
12
~
13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파일:KTX BI.svg
서울·행신 방면
당역 종착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
[[새마을호|

새마을호
]]·[[무궁화호|

무궁화호
]]
[[서해금빛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9em"
G-train]]
당역 종착

노선 및 방면
출입문
비고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소요산 방면)
→ 출구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 여객열차
3-1, 6-3, 10-2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 신창 방면)
→ 출구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 여객열차
1-1, 4-4, 6-1, 9-2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용산역 종착 급행 열차
→ 출구
파일:GJLine_icon.svg경의중앙선(용문 방면)
→ 여객열차
2-4, 5-4, 9-4

파일:GJLine_icon.svg경의중앙선(문산 방면)
1-1부터 8-4까지 모든 문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 출구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완행
→ 여객열차
1-4, 4-4, 8-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동인천

모든 문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용문 방면)
→ 출구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 여객열차
1-1, 5-1, 8-1

→ ITX-청춘
내린 승강장에서 환승


수도권 전철 승강장에는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 4번 승강장의 스크린도어는 2015년 6월 완공해 7월부터 가동 중이다. 1, 4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없던 시절, 2014년 9월 20일 오전 10시 45분에 4번 승강장에서 시각장애인이 선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있었다.[a]

용산역 10번 승강장은 새마을호 마지막 운행을 마치며 들어온 역사적인 장소이다. 원래 23시 11분에 13번홈으로 들어올 예정이었으나, 2분 지연되고 승강장이 변경되어 23시 13분에 10번홈으로 들어왔다.

급행열차에서 내리는 승강장과 타는 승강장이 다르다. 간혹 내리는 승강장에서 전철을 타면 자리에 앉아가기 편하다는 이유로 내리는 승강장에서 급행전철을 타는 경우가 있는데, 따지고 보면 철도안전법에 저촉하는 범죄 행위이다. 정상적으로 전철을 타는 승객들에 대해 공중도덕적인 문제도 있지만, 내리는 승강장에서 전철이 승객들을 모두 내리면 행선지를 바꾸고, 청소도 하는 등의 약간의 정비를 하게 된다. 회차선에 들어간다고 해도 엄연히 업무시설에 무단침입하는 것이고, 잘못하면 차량기지에서 내려야 할 수도 있다.[11] 대개 동인천에서 올라온 급행열차가 구로차량사업소로 입고하기 위하여 불 끄고 바로 회송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천안급행도 있었지만 현재는 청량리역에서 출발하고 5번 승강장에서 정차한다. 위와 같은 얌체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행선판에 '회송' 이라고 적은 뒤 출발 직전에 '동인천급행'으로 행선지를 바꾼다. 평상시에는 3번 타는 곳에 도착 후 되돌림 운행으로 동인천으로 출발하고 있다. 옛날에는 그런 얌체승객이 많았으나 지금은 확실히 줄어들었다.

가끔씩 급행 타는 곳 승강장으로 용산 종착 열차가 들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회차선을 가지 않고 바로 그 자리에서 행선지를 바꾸므로 이 때는 타면 된다.

문산 방면 열차와 동인천 급행은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승강장 배선 구조상 경원선 용산-청량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는 서울역 쪽으로 직결 운행하든 간에 용산선으로 직결운행하는 용산역의 저상 승강장에 정차할 수 없고, 고상 승강장만 지나갈 수 있게 되어 있어서 경강선-인천국제공항철도 직결 KTX 운행에 지장이 된다. 용산역을 지나가게 되면 가끔 일부 용산역 출발 전동차 및 ITX-청춘 열차가 고가 회차 선로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고가 선로는 용산선과 서울역 방면으로 이어지는 경원선 직결선이었는데, 이용 빈도가 낮아서 주로 회차선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용산선은 1호선 급행 회차선, 경원선 직결선은 수도권 전철 중앙선 회차선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용산선이 지하화되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편입되고 직결운행이 시작되자 용산선 고가선로를 더 이상 회차선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결국 용산선 옆 철둑 경사면에 옹벽을 세워 공간을 확보한 후, 별도의 회차선을 부설하여 1호선 급행 회차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ITX-청춘 및 일부 용산 종착 중앙선 전동차는 기존의 경원선 직결선을 회차선으로 계속 이용하고 있다.

인천 · 신창 방면 승강장은 경부선용산선의 분기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남영역 방향으로 가면 갈수록 두 승강장의 높이 차이가 나고 단차가 생긴다. 이는 6량 기준으로 지어진 승강장을 10량으로 늘리면서 벌어진 일인데, 인천·신창 방향 승강장의 폭이 매우 좁다. 스크린도어가 없었을 때는 상당히 위험했었는데, 현재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문제가 해결되었다. 그러나 승강장 폭이 좁고 동선이 복잡해 여기에서 하차하게 될 경우 대단히 복잡하므로, 1호선 하행 열차를 타고 용산역에 내려야 할 경우 최대한 앞쪽에 승차하거나 위의 최단환승 위치를 골라 타는 것이 편리하다. 4번 승강장과 높이 차이가 크며 4번 승강장이 오히려 조금 더 넓고, 5번 승강장이 오히려 좁다.

전체 7면 15선, 승강장 7면 13선의 역으로 광역전철이 4면 6선, 간선철도가 3면 6선을 사용하며 6번과 7번 승강장 사이의 저상홈은 쓰지 않으며 11번 승강장이 없다.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옆 선로로 서울발 경부선 열차가 통과한다.

스크린도어 개폐음이 승강장 마다 다른데 1,4번 승강장은 '안전문이 열립니다/닫힙니다' 개폐음이고 2,3번 승강장은 '스크린도어가 열립니다/닫힙니다' 개폐음이고 5,6번 승강장은 '문이 열립니다/닫힙니다'를 송출한다.

KTX 같은 경우 용산 착발열차는 9,10번 승강장에서 출발하고 행신/서울발 열차는 7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5.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편집]


여의도

1
2


3
4

서울역


이 역부터 상봉역까지는 다른 GTX 노선과는 다르게 국가재정 약 2조 2천억 여 원을 들여 지을 예정이며, 상당히 혼잡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선로 용량을 늘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5.3. 신분당선[편집]


종착역




국립박물관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당역종착

신사·강남·판교·호매실·광교 방면



6. 연계 교통[편집]


인근 교통의 핵심축에 해당하는 한강대로에서 조금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 한강대로를 제대로 경유하는 노선들은 용산역 앞까지 들어오지 않고 인근을 회차점으로 삼거나 용산역을 지나서 좌회전해야 해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타지 못하는 노선을 포함 0017번, 0411번, 400번, 502번, 5012번만 용산역 바로 앞에 들어오고, 나머지 노선들은 전부 다 한강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질주한다. 502번은 월암동 방향에만 정차한다. 신용산역에서 용산공고 쪽으로 좌회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좌회전이 가능해졌지만 여전히 용산역 바로 앞에 서고 있다. 시청/한국은행본부 방향으로는 신용산역에 정차한다. 그다지 먼 거리는 아니지만 일단 용산역에 도착한 기차에서 내리면 용산역 안에서만 상당히 걸어야 하기 때문에 짐을 든 경우 거리가 버거울 수 있다. 게다가 한강대로까지 나와도 정류장은 중앙차로에 있고, 그나마 서울역 방향 정류소는 한참 걸어가야 있다.

용산역에서 나와 한 블록 건너면 한강대로가 보이지만, 기차역이라는 특성상 상대방이 지방에서 막 올라왔다면 전화 등으로 버스정류장을 설명해 주기도 어렵다. 상대방이 지리를 잘 모른다면 큰길까지 나오라는 말을 용산역 바로 앞을 지나는 4차선 도로를 큰길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과거에는 밤 늦은 때 용산역에 도착하면 옷깃이나 가방 끈 붙잡고 늘어지며 들러붙는 홍등가 호객꾼 아주머니들의 손길도 뿌리쳐야 했다. 심지어 그 버스 정류장의 이름마저 용산역이 아닌 4호선 신용산역이다. 그래서 한강대로를 지나는 버스를 타고 가다 보면 이 정류소 즈음해서 "아저씨? 용산역은 안 가요?" 등을 물어보는 승객들이 있다. 대부분의 친절한 기사들은 "신용산역에서 내리시면 바로 앞입니다."라고 안내하지만 일부 불친절한 기사의 경우 "안 가요."라고 하고 만다.

대중교통이 끊기는 한밤중에 기차를 타고 용산역에 도착했을 경우 역 광장에서 택시기사들이 'OO 지역 ~원!'식으로 호객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택시가 부담스럽다면 용산역 근처(신용산역)를 지나는 심야버스 N15번을 이용하면 된다.

신용산역(중)(03003)
신용산역(중)(03004)
용산역(03255)
간선

지선


용산역광장앞(03258)
간선

지선


서울드래곤시티(03120)
지선


용산역3번출구.용산차고지(03121)
지선


용산전자상가12동(03135)
간선

지선


용산전자상가10동(03134)
간선

지선



7. 시간표[편집]



7.1. 상행[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8:16
KTX-산천
404+502
행신
08:35
KTX_산천
474
행신
09:26
KTX
472
서울
10:22
KTX
504
행신
11:05
KTX-산천
408+542
행신
12:23
KTX
412
서울
13:28
KTX-산천
414+508
서울
15:31
KTX
418
서울
16:05
KTX
512
행신
17:05
KTX-산천
422+514
서울
18:06
KTX
516
서울
18:43
KTX-산천
424[월~목]
424+4052[금~일]
행신
20:13
KTX
428
서울
20:17
KTX-산천
482[월~목]
488+4054[금~일]
행신
21:15
KTX
520
행신
22:36
KTX-산천
434[12]
434+544[13]
행신
00:19
KTX
440
행신
00:45
KTX-산천
524
행신


7.2. 하행[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07
KTX_산천
401
목포
KTX-산천
501
여수엑스포
05:47
KTX-산천
403
목포
06:09
KTX-산천
471[서대전]
익산
06:28
KTX
405
목포
06:53
KTX
473
서대전
07:09
KTX
503
여수엑스포
07:37
KTX
491[금~일]
광주송정
07:42
KTX
581[서대전]
여수엑스포
07:46
KTX_산천
407
목포
4051[금~일]
여수엑스포
08:19
KTX
409
목포
08:39
KTX
505
여수엑스포
09:18
KTX
411
광주송정
09:43
KTX-산천
475[서대전,김제]
목포
09:52
KTX-산천
507[월~목]
507+9507[금~일]
여수엑스포
10:03
KTX
585[서대전]
전주
10:39
KTX
413
목포
10:52
KTX
509
여수엑스포
12:10
KTX-산천
587[서대전]
전주
12:17
KTX_산천
415
목포
511
여수엑스포
12:44
KTX-산천
417
목포
KTX_산천
543
여수엑스포
13:14
KTX
589[서대전][금~일]
전주
13:29
KTX-산천
419+9419[월~목]
419[금~일]
목포
14:09
KTX
513
여수엑스포
14:37
KTX-산천
583[서대전][월~목]
593[서대전][금~일]
여수엑스포
4041[서대전][금~일]
목포
14:47
KTX
421
목포
15:34
KTX
423
목포
16:08
KTX
425
광주송정
16:42
KTX-산천
427
목포
KTX_산천
515
여수엑스포
17:09
KTX
481[서대전,김제]
목포
17:43
KTX-산천
429
목포
517
여수엑스포
17:47
KTX
483
서대전
18:31
KTX
431
광주송정
18:47
KTX-산천
519
여수엑스포
19:40
KTX
433
목포
20:07
KTX
521
여수엑스포
20:32
KTX-산천
435
목포
541
여수엑스포
21:08
KTX_산천
485[서대전]
익산
21:17
KTX
437
목포
21:47
KTX-산천
523
여수엑스포
22:22
KTX
439
광주송정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새마을호|

새마을호
]]
[[무궁화호|

무궁화호
]]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34
무궁화
1551[장항선]
익산
05:43
무궁화
1501
여수엑스포
06:14
무궁화
1553[장항선]
익산
06:24
무궁화
1421
광주
07:13
ITX-새마을
1081
여수엑스포
07:24
무궁화
1555[장항선]
익산
07:33
무궁화
1401
목포
08:27
ITX-새마을
1071
광주
09:14
새마을
1051[장항선]
익산
09:37
무궁화
1441
익산
09:46
ITX-마음
1161
목포
1181
여수엑스포
10:32
무궁화
1557[장항선]
익산
12:02
ITX-새마을
1061
목포
12:06
무궁화
1503
여수엑스포
12:32
새마을
1053
익산
12:52
무궁화
1559[장항선]
익산
13:33
ITX-새마을
1073
광주
13:42
새마을
1055[장항선]
익산
14:24
무궁화
1561[장항선]
익산
15:06
ITX-새마을
1075
광주
15:15
무궁화
1505
여수엑스포
15:19
새마을
1057[장항선]
익산
16:15
무궁화
1423
광주
16:25
무궁화
1563[장항선]
익산
16:37
ITX-새마을
1083
여수엑스포
16:54
무궁화
1403
목포
17:17
ITX-마음
1163
목포
1183
여수엑스포
17:51
새마을
1059[장항선]
익산
18:17
무궁화
1565[장항선]
익산
19:10
ITX-새마을
1063
목포
19:14
무궁화
1507
여수엑스포
20:02
ITX-새마을
1077
광주
20:42
무궁화
1567[장항선]
익산
21:21
무궁화
1443
익산

[[서해금빛열차|

서해금빛열차
]]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8:31
서해금빛열차
2551[관광]
익산


8. 기타[편집]


  • 군장병을 위한 TMO가 존재한다. 용산역 4층 서관 입구 바로 옆에 위치한다.
  • 2014년 9월 20일 오전 10시 45분에 이 역 4번 승강장에서 시각장애인이 선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a]
  • 2012년 개봉한 영화 화차의 마지막 결말이 바로 이 곳에서 촬영되었다.
  • 용산역은 민자역사 완공 전까지 한국철도공사 수도권 전철 역사 가운데 가장 마지막까지 플랩식 행선표시기를 사용했다. 민자역사 완공으로 철거되고 평범한 LED 행선표시기로 대체했다.
  • 버스 터미널이나 역 근처의 식당은 맛이 없다는 속설이 있지만, 용산역에 방문했을 때 식사를 할 필요가 있다면 민자역사 내 아이파크몰의 식당을 이용하는 편이 좋고, 지하 1층의 이마트 푸드코트를 이용해도 된다. 용산역은 단순한 역이 아닌 극장, 쇼핑몰, 백화점을 아우르는 곳이기에 젊은 인구의 유동인구가 많아 갖가지 메뉴의 프랜차이즈 매장이 많다. 참고로 주변의 다른 식당가는 용산 전자상가 주변뿐인데 이 곳의 음식 수준은 그 밥을 매일 먹는 일명 용팔이조차 고개를 젓는다.
  • 이마트 용산점, CGV 용산아이파크몰도 있으니 간단한 쇼핑이나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다. CGV 용산아이파크몰은 간단한 레벨이 아니고 CGV의 플래그십 스토어라 각종 놀거리가 다 있다.
  • 용산역 바로 앞 도로의 차량 정체가 정말로 심하다. 용산역 내 주차장도 항상 포화 상태다.
  • 맞이방의 한켠에 코레일 멤버십 라운지가 있다. 코레일 맴버십 카드가 있어야만 입장이 가능하다. 2015년 5월 1일부터 운영 주체가 KT에서 우리은행으로 바뀌면서 리뉴얼 공사에 들어갔다가 현재는 라운지 정상 이용이 가능하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기준으로 봤을 때, 급곡선이 앞뒤로 2개가 있다. 용산-이촌 구간의 급곡선+절연구간과 효창공원앞-용산 구간의 급곡선은 열차가 서행한다. 경의·중앙선이 동서를 가로질러가고 경부선이 남북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생각하면 +자 모양으로 교차해야 자연스러우나 경부선과 나란하게 들어오기 때문에 앞뒤로 급곡선이 생겼다. 위성지도를 켜고 용산역을 축소해서 보면 경의·중앙선이 Z자를 그리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용산역 아이파크몰의 주차장의 주차요금이 매우 비싸다.[14][15] KTX 승객은 50% 할인되지만, 그래도 타 주차장에 비하면 매우 비싸다. 이 주차장은 처음 30분 무료 외에는 무조건 15분당 1,250원 (=1시간당 5,000원)씩 부과된다. 별도의 1일 정기주차는 없기 때문에 매 24시간마다 12만원씩 부과된다. 한국철도공사 측은 용산역이 민자역사라서 어쩔 수 없다는 이야기만 하고 있으며, 아이파크몰 측은 한국철도공사 측에 엄청난 점용료를 내고 있기 때문에 결코 폭리가 아니라고 항변 중이다.
  • 2017년 들어 통일성 없이 중구난방이던 안내판이 용산역 경부선 KTX 정차에 맞춰 신형으로 교체되었다.[16]
  • 이봉창 의사가 일본에 건너가기 전까지 근무하던 곳이기도 하다. 4년 동안 용산역에서 화차를 연결하는 연결수 및 역무원으로 근무했다. 하지만 일본인 직원들에게 밀리는 진급속도 같은 차별 대우와 특히 쇼와 덴노 즉위식 당시 한글 편지를 소지했다는 이유로 일주일간 유치장에 갇혀 있었던 일 때문에 회의감을 느끼고 사직했다. 이후 임시정부에 들어갔고 후일 사쿠라다몬 의거를 일으킨다.
  • 이 역도 서울역 못지않게 거지, 노숙자들이 많다. 하지만 지금은 연이은 개발로 인해 노숙자들은 사실상 용산역과 용산전자상가 중간쯤 위치한 지역의 급조 거주지로 점차 영역이 좁혀지고 있다. 용산전자상가 방향으로 가는 통로 창밖을 보면 나무로 울창한 곳이 보이는데, 나무들에 가려져 있지만 안쪽으로 가면 쓰레기와 널어놓은 옷가지들이 가득하고 노숙자들이 급조한 텐트 거주지가 보였으며[17][18], 이 통로에도 노숙자들이 간간이 보였으나 2017년부터는 그런 풍경이 많이 사라진 편이다.
  • 2017년 1월에 개찰구를 신형으로 교체하면서 부정 승차를 방지하기 위해 특정 승차권 사용 시 음성안내가 나온다. 이 역을 시범 역으로 지정했다고 한다. 가령 시니어패스(우대권)은 "경로입니다." 라고 음성안내가 나온다.
  • 2018년 개봉한 영화 독전에서는 용산역 어느 한켠이 마약공장으로 되어 있는 모습이 나왔으나 실제로 그러한 공간은 없다.
  • 1박 2일 시즌 1 광양편에서 멤버들이 용산발 여수행 새마을호를 타고 이동하기 위해 용산역에서 오프닝을 했는데, 강호동이 영어를 한답시고 "Dragon Mountain Station"이라고 재치있게 번역했다.
  • 혹한기와 혹서기에 광역전철 승강장에서의 체감온도가 서울시내의 통상적인 수준보다도 더 올라간다. 혹한기에는 더 춥게, 혹서기에는 더 덥게 느껴진다.
  • 2010년대 중후반 화장실 리모델링 공사를 거친 후 변기 갯수가 감소하여 전철 여러 대가 몰려오는 출퇴근 시간대에 대기줄이 더 길어졌다.
  • 전라도로 가는 철도 노선 호남선전라선의 시종착역이라는 점 때문에 전라도를 전통적 지지 기반으로 삼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 매번 명절 연휴 초반에 귀성길 인사를 할 때 이 역으로 온다. 반대로 경상도를 전통적 지지 기반으로 삼는 국민의힘서울역으로 간다.
  • 마지막 서울의 고속/일반열차역 중 유일하게 야간열차가 출발하는 역이었다. 당시 시각표로 전라선 #1515, #1517 무궁화호가 각각 21:25, 22:45에 용산역을 출발해 여수엑스포역에 각각 02:37, 03:58에 도착했었다. 물론 #1515 열차 후에도 서울의 각 역에서 출발하는 KTX, SRT가 있지만 대부분 01:15분 까지 운행을 모두 종료한다.
  • 《서문탁 - 사랑 결코 시들지 않는...》의 뮤직비디오의 배경이 이 역이다.
  • 민자역사 건물 때문에 위가 덮여있는 구조인데 무궁화호 일부 편성을 끄는 디젤 기관차 EMD GT26CW의 매연이 2층 환승 통로에 거의 그대로 올라와 플랫폼에서 올라오면 매연 냄새를 맡을 수 있다. 넓은 대합실로 나오는 도중 유리문을 두어 번 정도 지나가야 한다.
  • 한강대로 방향 용산역 앞은 위에서 언급한 대로 우중충하고 어두운 오래된 골목과 건물들이 즐비했는데,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용산 푸르지오 서밋 등 대규모 건물들이 거의 빠짐없이 들어서고 역 앞 도로도 바둑판 형태로 바뀌었다. 재개발 전 당시 모습이 남아있는 곳은 LS용산타워와 센트럴파크 타워 사이의 아주 조그만 구역과 용산역 바로 옆 드래곤 힐스파 뿐이다. 2008년 당시 항공사진을 볼 수 있는 카카오맵에서 그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반대편인 용산전자상가는 이미 철거되어 호텔이 들어선 터미널상가를 시작으로 2020~30년대에 전면 재개발될 예정이라고 한다.
  • 2022년 8월 7일 오후 3시경 1호선 천안행 급행 열차쪽에서 불꽃이 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열차 운행이 15분간 지연됐으며 승객 약 100명이 뒤따라 오는 열차에 옮겨탔다.[19]
  • 2023년 7월 11일 폭우로 지붕이 뚫려 대합실이 일부 침수되었다.
  • 디시인사이드돈지랄 갤러리에서 서울역에서 이 역까지 KTX-산천 특실을 구매해 잠시 화제가 되었다.
[1] 단 서울~천안 간 초록급행은 용산역을 통과한다.[2] 김종헌(1998), 한국철도역사(1899년 ~ 1945년) 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4 n.1 (1998-01)[3] 김태우. 「한국전쟁기 미 공군에 의한 서울 폭격의 목적과 양상」. 서울학연구 제35호, 2009년. pp.273-304.[4]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5]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7-839호[6] 「서울역·용산역에서 경부·호남선 KTX 골라 타세요」, 연합뉴스, 2016-10-26[7] 「육군 '용사의 집' 4성급 호텔로 변신…용산에 로카우스 개관」, 연합뉴스, 2023-04-07[8]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 홈페이지[9] KTX의 자료는 개통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0] ITX-청춘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a] A B 「지하철 선로로 추락한 시각장애인, 보상은 누가?」, 헤럴드용산동작, 2015-02-02[11] 「조금 편하려다가 차량기지까지 가시렵니까?」, 오마이뉴스, 2007-11-28[월~목] A B C D E 월~목에만 운행한다.[금~일] A B C D E F G H I 금~일에만 운행한다.[12] 금 운행[13] 금 제외[서대전] A B C D E F G H I 서대전 경유[서대전,김제] A B 서대전,김제 경유[장항선] A B C D E F G H I J K L M 장항선 경유[관광] 목 ~ 월요일만 운행[14] 「1박2일 KTX역 주차료 '20만원'…'요금폭탄' 주의」, 머니투데이, 2015-10-27[15] 「'용산역'에 주차하고 고향 다녀온 남성이 낸 '요금 폭탄'」, 인사이트, 2016-09-22[16]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인프라 마이너 갤러리[17] 「노숙인촌에 텐트를 치다…용산역 뒤편 작은 공원에 그들이 산다」, 한겨레, 2015-07-17[18] 「'용산역 텐트촌' 집 없는 홈리스가 하나 둘 모인지 10여 년, 생존을 넘어 '노숙자' 라는 편견과 싸우는 사람들ㅣ다큐 잇it - 여기 사람 있어요」, EBS, 2023-06-26[19] 「[영상] 1호선 천안행 급행열차, 용산역에서 '스파크'로 정차…승객 100명 불편」, SBS, 2022-08-07


9. 둘러보기[편집]












>#!end||<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20> 시종착 ||<width=120><height=75><bgcolor=#003873> 경의선
DMZ-Train
[1] ||<width=120> 도라산 방면
서 울
3.2 ㎞ →
||
}}}}}} ||}}}}}}}}} ||

>행신 방면
서 울
← 3.2 ㎞
목포 방면
광 명
18.8 ㎞ →
여수엑스포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