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술관

최근 편집일시 :




한자
德庵流 合氣柔術(덕 암 류 합 기 유 술
파일:external/cafefiles.naver.net/%BF%EB%BC%FA%B0%FC_%B8%B6%C5%A9_ksj03050.jpg

1. 개요
2. 상세
3. 수련 과정
4. 일본 대동류계의 관심



1. 개요[편집]


다케다 소가쿠(武田惣角)의 대동류 합기유술(大東流合氣柔術)로부터 파생된 덕암류 합기유술(德庵流 合氣柔術)을 하는 한국무술 도장.

총본부 합기도 용술관(合氣道龍術館)은 충청남도 금산군에 위치해있다.[1]


2. 상세[편집]


도장명의 유래는 한국 합기도의 시초인 최용술(崔龍述 1899-1986) 도주의 이름이다. 최용술 도주는 자신의 고향 충청도에 위치한 도장인 용술관에 자신의 이름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정도로 특별히 아꼈다. 그가 처음 선 보인 기술, 소위 원형 술기를 계승한다는 점에서 한풀과 비슷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을 듯.

현재는 창시자의 호인 덕암(德庵)에서 따와 덕암류 합기유술(德庵流 合氣柔術)이라는 명칭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유는 최용술 도주가 1950년대 대구에서 처음 가르침을 펼칠 당시의 합기원형술기를 보존하고, 짬뽕 무술이 되어버린 현대 합기도[2] 구별하여 전수하도록 원래의 명칭인 합기유술을 사용하라는 의미에서란다.

합기도 3대 도주였던 김윤상(金潤相)은 죽기 직전까지 스승의 유언에 따라 매일 도복을 입고 수련하며 직접 제자들을 가르쳤다.[3] 용술관 측에 의하면, 김윤상 도주는 세계에 몇 없는 합기(合氣)의 경지에 이른 사람이라고 한다. 과거 고수를 찾아서에 출연해 자신의 술기와 실력을 보여주었다. 건장한 성인을 그것도 십수 년 이상 합기도를 수련한 제자나 타 유파 사범들을[4] 손가락 하나로 무력화하는 믿기 힘든 실력을 보여주었다.[5]

일본에서 온 야와라(柔)라고 한다. 더 정확하겐 과거에 최용술 도주 본인이 다케다 소가쿠에게 대동류 합기유술을 배웠다는 말을 하여 실체 논란이 있었다. 세부적인 내용은 갑론을박이 있지만, 관련 증언이나 증거가 나오면서 어쨌든 대동류를 배웠음 자체는 사실인 듯하다는 분위기로 가는 추세이다. 자세한 내용은 최용술 항목 참조.

3. 수련 과정[편집]


김윤상 도주는 합기도를 목적에 따라 수련용과 시합용으로 나누어 가르쳐야 한다고 말한다. 도장에 따라서는 대련도 한다. 다만 자신들의 원형 술기가 유출되는 것을 은근히 꺼린다고 힌다.

한국의 합기 관련 무술 중에서도 고류 형태의 유술 모습에 근접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간단한 손, 발차기[6] 수련을 제외하면 수련 시간 대부분이 유술 기술을 익히는 훈련의 반복이다.

수련 강도도 쎄고 강한 편으로, 승급, 승단도 쉽지 않다. 분위기도 조금 살벌해서 오래 버티지 못하고 수련을 그만두는 관원생도 상당하다. 수련시 워낙 있는 힘껏 잡아주고 버티기 때문에, 어느 정도 술기의 묘미를 알기 전까지는 손목은 물집이 잡히거나 빨갛게 부어오르는 게 일상이 된다. 그 단계를 거치고 나면 어느새 손목에 굵은 털이 잔뜩 난다.

낙법도 기존 합기도에서 볼 수 있는 낙법이 아니라, 딱 당사자 자신의 머리를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는 수준까지만 한다.[7]

술기의 형(形)을 한풀처럼 김윤상 도주가 다시 분류하고 육갑비축에서 글자를 따와 임술기, 병술기, 투술기, 자술기, 개술기 등으로 이름을 붙였다.[8]

기존 한국식 합기도와 확연히 다른 부분이 있는데, 아이키도처럼 양손을 전부 수련한다는 것이다. 기존 합기도에서는 '발도를 막고자 오른손을 잡았다.'는 주장대로 오른손을 잡는다고 하는데, 용술관에서는 양쪽, 특히 양손을 칼처럼 담금질하기 위해 이렇게 수련한다고 한다.


4. 일본 대동류계의 관심[편집]


2000년대 초 일본 대동류 합기유술 종가 성심관의 관장대리 후쿠오카 마사미가 용술관을 다녀간 후[9], 비전(秘伝)[10]에 용술관을 소개하는 기사를 보냈는데, 내용이 흥미롭다. # 아카이브

1. GM[11]

Kim Yun-sang showed me his techniques.

김윤상 대선생은 나에게 그의 기술을 보여주었다.

2. DR, he had power-release-aiki, Matsuda Toshimi was named for well-teaching it. Now Matsuda DR students are practicing it

대동류다. 김윤상 선생은 힘을 푸는 '합기'를 가지고 있었다. 마츠다 토시미[12]

가 그 기술을 잘하였다고 알려져 있고 지금도 마츠다의 대동류 제자들이 이를 수련하고 있다.[13]

3. Exactly it had DR characteristic in the stem.

정확히 그 줄기에는 대동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4. He had high skill. It can't be denial.

그는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부인할 수 없다.

5. That includes some other techniques of DR.(still unideinfied, probably Youshin-ryu stream)

그 기술은 다른 대동류의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다.(아직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아마도 요신류 스타일)

6. It was special style I never seen.

이는 내가 전혀 보지 못한 스타일이었다.

7. Generally, HKD stemed from DR techs and has developed on their own way.

일반적으로 합기도는 대동류 기술에서 나왔으며 자신들만의 방식을 개발했다.

8. GM Kim Youn-sang's skill is authentic (It can be reliable for Korean students). No need to rely on Takeda Sokaku's myth.

김윤상 대선생의 기술은 진짜다 (한국의 수련생들은 믿음을 가져도 좋다). 다케다 소가쿠의 전설에 의존할 필요없다.


용술관 도장에 있는 최용술 도주가 시연한 대동류 칠리 끌기(七里引技)의 자료를 보도한 일본 비전(秘伝)의 자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3:11:05에 나무위키 용술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충남 금산 본부 도장 외에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등에도 지부가 존재한다.[2] 그런데 사실 오늘날 합기도가 짬뽕 무술이 되어버린건 최용술 책임도 있다. 항목 참조.[3] 처음 스승과 인연이 닿은 것이 40을 넘겼던 1974년이라고 한다. 연로한 나이에도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도복 입고 수련할 정도로 열정이 대단하다고. 여담으로 최용술은 생전에 김윤상 도주와 당시 제자들에게 "내가 죽은 후 자신들(따로 독립해서 합기도 협회를 만든 최용술의 초기 제자들)이 최고라고 말하겠지. 하지만 때가 온다면 가르침을 받으러 자네들을 찾아오는 사람들이 나올 거야."라고 말한 적이 있다고 한다.[4] 당시 무토에서 올린 용술관 특집 3부작에서는 합기도 협회(당시의 진중관) 소속의 도장 사범이 용술관을 방문하여 김윤상 도주와 제자들에게 술기를 받기도 했다.[5] 당시 합기도 협회 소속 사범은 훗날 용술관에서의 경험을 흥미롭게 회고했다.#[6] 두 개 정도를 제외하면 허리 위로 올라가는 상단차기가 없다. 대동류 합기유술 항목에 나오듯이, '상대방의 밸런스를 무너뜨리는 것'을 중요시하는 무술이 상단 발차기를 감행함으로써 자기 밸런스가 붕괴되는 위험을 감수하기란 쉽지 않다. 이 발차기들은 합기유권술 도장 당시에 받아들였다는 증언이 있다.# [7] 원래 최용술은 상대 앞에서 넘어지는 것은 죽여달라는 의미라고 낙법을 따로 가르치지 않았다. 하지만 귀국 후 양조장 2층에 만든 도장에서 수련할 때 부상자가 속출하는 바람에, 첫 제자이자 유도(柔道) 유단자였던 서복섭이 유도식 낙법을 도입했다. 이것이 용술관과 합기도의 낙법이 아이키도식 수신(受身)과 다른 이유이다.[8] 여담으로 다케다 소가쿠는 제자 우에시바 모리헤이 보고 신흥종교 오모토에 심취했다고 힐난했다는 사실이 무색하게, 자신도 불교, 특히 밀교에 빠졌다. 게다가 스승 사이고 다노모(西郷頼母)에게서 영적인 체험을 하며, 정신적인 면에서도 크게 성숙하였다 한다. 최용술 도주의 원형 술기를 충실히 계승한다는 용술관이 술기 분류에 육갑비축을 사용함도 이러한 영향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아닌 게 아니라, 용술관 창관 당시, 대구에서 온 최용술 도주도 도장 현판에 손을 대고 밀교식 축언을 하며 번성하길 기원했다고 한다.[9] 이를 계기로 용술관과 관계를 맺으며, 최용술 도주의 행적과 조사에 많은 도움을 줬다. 아바시리(網走) 성심관 본가에서 보관하던 수만 명 분의 영명록에서 최용술 도주의 행적을 일일이 조사한 것도 후쿠오카 부관장이다. 비록 최용술 도주의 흔적은 찾을 수 없었지만, 일본인 이외에는 가르치지 않았다고 알려졌던 다케다 소가쿠에게 극소수나마 조선인 제자들이 있었고, 추천을 받으면 문하로 두었다는 것을 밝혀낸다. 그 또한 최용술 도주가 누구에게 대동류를 배웠는지 고민했다고 하는데, 이후 다른 사람에 의해 최용술 도주의 영명록이 발견되긴 했다.[10] 일본의 무술 저널로, 2016년에도 세계로 뻗어나간 일본의 유술 특집에서 용술관을 소개하는 등, 용술관에 꾸준히 관심을 보인다.[11] 그랜드 마스터 - 실질적으로는 미국에서 무술 분야의 대원로를 호칭하는 이름. 공식적으로 지정하는 것들도 있지만, 많은 경우는 딱히 조직체의 권위를 가지고 선발한다기보다는 본인의 위상에 의해 자연스럽게 추대되는 경우.[12] 다케다 소가쿠의 직제자. 장인목과 팔광류유술의 창시자 오쿠야마 류호가 그의 제자이기도 하다.[13] 그래서인지 용술관에서도 처음부터 술기를 걸 때는 힘을 빼고, 또한 상대를 잡지 않도록 가르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