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포늪

최근 편집일시 :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svg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 다크.svg

[ 2023~2024 ] 
수도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2021~2022 ]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문화지구 | 인천 차이나타운(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강원권
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
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
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2019~2020 ]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강원권
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
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
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독도 | 불국사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
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파일:external/tong.visitkorea.or.kr/657038_image2_1.jpg

1. 소개
2. 상세
3. 여담
4. 둘러보기


1. 소개[편집]



牛浦늪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이방면, 대합면 즉, 3개면에 걸쳐있는 총면적 2.31㎢의 대한민국 최대의 내륙 습지. 우포늪 권역은 2011년 천연기념물 제524호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유어면 대대리, 세진리 일원에 걸쳐 있는 우포늪(1.28㎢)과 이방면 안리 일원의 목포늪(0.53㎢), 대합면 주매리 일원의 사지포(0.36㎢), 이방면 옥천리 일원의 쪽지벌(0.14㎢)로 나뉜다.[1] 우포늪은 남한 최대의 자연호수다.

형성시기는 암반 형성시기는 백악기 중기인 1억 4000만년전이지만 늪이 형성되는 것은 오래잡아도 신생대 마지막 빙하기 시절 때 홍수가 나면 낙동강물이 우포로 역류하고 평상시에도 배수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이 일대는 물이 고여있는 늪이 됐다.[2][3]

480여종의 식물, 62종의 조류, 28종의 어류, 55종의 곤충류가 서식하고있다. 때문에 람사르 협약에 의해 보호받는 대표적인 습지이며, 우리나라의 얼마 안되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후보다.

각종 야생동물과 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생태학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곳이다.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광활한 늪지에는 수많은 물풀들이 머리를 내밀고 있어서 생태박물관을 보는 것 같으며 호소성 배후습지인 우포늪은 우기나 홍수 때의 과다한 수분을 습지토양 속에 저장하였다가 건기에 지속적으로 주변에 공급하여 지형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수문학적 가치를 지니는 자연환경 보전지역이며, 생태자원, 관광자원으로서도 탁월한 경제성을 지닌 지역으로 평가된다.


2. 상세[편집]


일제강점기1933년에 천연기념물로 이미 지정되었고, 광복 후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자 '창녕 백조 도래지'란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제15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11년 후인 1973년에 철새 감소를 이유로 천연기념물에서 해제되면서 우포늪 주변의 사몰포, 용호 등과 같은 습지들이 농지로 개간되기 시작했고,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 정부 간의 갈등도 본격화되었다.

원래부터 경남지역의 강변(낙동강, 남강)은 신생대 시기[4] 평원을 흐르던 자유곡류였으나 신생대 중반 경상도 지방이 융기하고, 그 결과 차별침식에 의해 우각호로 남으며 늪지로 형성된 지역이 많았다. 창녕군 창녕읍 근방의 우포늪, 함안군 군북면 유전늪과 법수면 일대의 여러 늪지대 등 구릉지 사이에 거대한 늪지대가 끼어 있는 것이 보통인데 특히 유전늪은 우포늪보다도 규모가 훨씬 큰 자연습지대였다. 과학잡지 뉴턴 한국판[5]이 1985년에 창간준비호를 내면서 제일 처음 특집기사로 실은 것이 바로 유전늪의 습지식물이었을 정도. 인근의 가야장, 창녕장, 군북장 등에서는 이들 늪지에서 낚아 올린 팔뚝만한 민물고기들이 장터를 가득 채울 정도였으나, 1980년대 낙동강 수계 정비사업과 농토개간[6] 등으로 함안군 영역의 4개 습지는 죄다 메꿔지고[7] 비교적 접근이 힘든 오지였던 우포늪만 살아남았다. 늪지이다 보니 무엇보다도 모기떼가 창궐했고 지역주민들의 교통편의나 치안 등에도 악영향이 있었기 때문. 위 문단의 지역주민과 환경단체간 갈등은 이것을 말한다.

남해고속도로 개통으로 이미 1990년에 모두 개간되어버린 유전늪과 달리 우포늪은 주변에 구마고속도로가 지나가긴 하지만 몇몇 지방도 외에는 의외로 사람이 접근하기도 쉽지 않은 오지였던 탓에[8][9] 살아남았다. 결국 1997년 환경부 고시에 의해 생태경관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1998년에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하여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2011년에는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이란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524호로 재지정되었다.

우포늪은 현재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후보에 포함되어있다. 한국에서 이토록 큰 내륙습지와 다양한 생물이 분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보존 상태도 나쁘지 않아서 신청하면 등재되는 것은 별 무리가 없지만... 과연 인근의 주민들이 어떻게 반응할지가 문제다.[10] 여담으로 창녕에는 가야시대 고분군 또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 또한 세계문화유산 후보에 포함되어있다. 그리고, 창녕 영산줄다리기는 이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어있다. (정확히는 줄다리기 자체가 등재) 따라서 만에 하나 이 두 장소가 모두 세계유산에 등재될 경우, 창녕은 일개 인데도 세계유산을 무려 세 개나 보유한 엄청난(?) 관광지가 될 수도 있다.[11][12]

우포늪의 위기는 있긴 하다.

아래의 뉴트리아와 부근 주민들의 이기주의에 때문에 습지 부근에서 함부로 농경과 어로활동 탓에 파괴된다고 영어 위키백과에서와 일부 국내외 블로그에도 말이 나오고 있긴 하다.

정부와 지자체가 이걸 방치하면 람사르 협약 위반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신경 쓰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교통상황을 말하자면 중부내륙고속도로 창녕IC 근방에 있어 자가용을 이용하면 어렵지 않게 접근이 가능하다.[13]

하천은 우포늪에서 발원해 마을을 지나 낙동강으로 유출되는 토평천이 있다.
  • 식물: 480여종
    • 부생식물: 생이가래, 개구리밥, 부레옥잠 등
    • 부엽식물: 가시연꽃, 마름, 가래, 수련 등
    • 습지식물: 부들, 줄, 갈대, 억새, 골풀 등

따오기, 물꿩[14]
  • 텃새: 논병아리, 쇠백로, 중대백로, 왜가리, 쇠물닭, 민물가마우지,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물닭, 원앙 등
  • 겨울철새: 고방오리, 알락오리, 넓적부리, 홍머리오리, 청머리오리, 쇠오리, 백조 등

  • 물고기
뱀장어, 피라미, 잉어, 붕어, 메기, 가물치, 버들붕어 등

  • 포유류
두더지, 족제비, 너구리, 삵, 고라니 등

  • 파충류
남생이, 자라, 줄장지뱀, 유혈목이 등

  • 양서류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참개구리, 황소개구리

  • 패류
논우렁이, 물달팽이, 말조개 등

3. 여담[편집]



  • 신종원 작가의 소설 [습지 장례법]의 주 무대로 등장하는 곳이다. 물론 소설의 내용은 현실과 동일하지 않다.

  • 어린 습지식물을 먹이로 삼는 뉴트리아는 과거 90년 대에 '수익성이 좋다'라는 루머로 인해 여러 지역 사람들이 들여왔다가, 훗날 자연방사되어 생태계 교란종이 되었는데, 우포늪의 주민들도 당시에 뉴트리아를 들여왔었다가 방생했었다고 한다. 그래서 아직 우포늪에 많은 뉴트리아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2014년 낙동강유역 환경청에서 뉴트리아 포획 포상금지급 지역에 창녕을 추가했다. 다만 총기, 활, 석궁 등으로 잡은 개체는 포상금 지급 제외 대상이라 실효성은 의문.(뉴트리아에 웅담 성분이 있다는 소문이 퍼지자 급격히 수가 줄어들고 있다.)

  • 기능적으로도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수많은 생명체의 서식처가 되고 이것은 그대로 인간이 식량을 얻을 수 있는 자원이다. 또한 습지가 머금은 물은 홍수를 예방하고 지구 온난화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게다가 차곡차곡 쌓인 생태계의 모습은 우리가 살고 있는 생태계 연구를 위한 훌륭한 교재가 된다.

  • 1962년 12월 3일 창녕백조도래지라는 이름으로 천연기념물에 지정되었다가 1965년 10월 25일에 해제되었다.

우포늪

안개에 덮인
우포늪은
새들의 세상이다.

우웩웩웩 우웩웩웩
퀘퀘퀘퀘 퀘퀘퀘퀘
깨깩깨깩 깨깩깨깩
푸드덕푸드덕푸드덕
애액애액애액애액애액
에엑우웩에엑우웩에엑
엑엑엑엑엑엑엑엑엑엑
깍악악악깍깍악악악깍
뚜두뚜두뚜두뚜두뚜두
삐약삐약삐약삐약삐약
까르까르까르까르까르
우두우두우두우두우두
꿔어억꿔어억꿔어억.||


4. 둘러보기[편집]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호수

[ 펼치기 · 접기 ]
한반도
경포호 · 광포 · 궁남지 · 대청호 · 동궁과 월지 · 만포 · 보령호 · 삼지연 · 상사호 · 석촌호수 · 소양호 · 시화호 · 안동호 · 임하호 · 영랑호 · 우포 · 옥정호 · 영천호 · 운문호 · 용담호 · 의암호 · 진양호 · 주암호 · 탐진호 · 천지(백두산) · 청초호 · 청평호 · 춘천호 · 충주호 · 풍호 · 파로호 · 팔당호 · 합천호
아시아
가오유호 · 갸링호 · 그레이트비터호 · 나마크호 · 달호 · 둥팅호 · 디퍼빌호 · 랜 오브 쿠치호 · 바베호 · 박테간호 · 베히세히르호 · 바이칼호 · 반호 · 발하슈 호 · 밴 사가르호 · 뱀바나드호 · 보잉각호 · 부르두르호 · 부이르호 · 비와호 · 사해 · 사라가미시호 · 세반호 · 슈마리나이호 · 슨타롬호 · 신지호 · 아랄해 · 알라콜호 · 에이르디르호 · 우르미아호 · 우브스호 · 웨이샨호 · 엘링호 · 이나와시로호 · 이식쿨호 · 차오호 · 칭하이호 · 카간호 · 타이호 · 테르타르호 · 토야코호 · 토바호 · 트리안호 · 판공초호 · 포양호 · 하르어스호 · 하문호 · 하말호 · 하바니야호 · 하우저사디야호 · 한카호 · 할라호 · 함마르호 · 해호 · 후룬호 · 훕스굴 호 · 훙쩌호
유럽
네미호 · 네스호 · 노이지들러호 · 뇌샤텔호 · 니이호 · 더그호 · 도이란호 · 데흐 생트코크호 · 라도가호 · 레만호 · 리호 · 마르카르호 · 멜라렌호 · 뮈리츠호 · 벌러톤호 · 부르제호 · 보덴호 · 볼세나호 · 브라치아노호 · 비스토니다호 · 비스툴라석호 · 사이마호 · 슈베린호 · 슈타른베르크호 · 알바노호 · 애그블래트호 · 에이설호 · 오네가호 · 오흐리드호 · 안시호 · 암머호 · 옐마렌호 · 왈헤렌호 · 울스워터호 · 카라차이호 · 코리브호 · 콜핀호 · 킴호 · 트라시메노호 · 펀시나호 · 페이푸스호 · 포고호 · 폰디호 · 프레스파호 · 프스콥스코예호 · 플라우호 · 플레센호 · 헤비츠호
아프리카
게메리호 · 나세르호 · 나트론호 · 누비아호 · 니앙가이호 · 랑가와호 · 룩와호 · 마이은돔베호 · 말라위호 · 므웨루호 · 뱅웨루호 · 볼타호 · 빅토리아호 · 샬라호 · 세인트루시아호 · 아바야호 · 아베호 · 아비자타호 · 아오관도우호 · 아팜보호 · 에드워드호 · 에토샤호 · 엘제리드호 · 월루프호 · 지와이호 · 차드호 · 차모호 · 쵸멘호 · 츄 바히르호 · 카리바호 · 카오라바사호 · 코시호 · 키부호 · 타나호 · 탕가니카호 · 투르카나호 · 툼바호
북아메리카
가우어호 · 골드샌드호 · 구이자호 · 그레이트베어호 · 그레이트솔트 호 · 그레이트슬레이브호 · 니카라과호 · 니피곤호 · 러셀호 · 레인디어호 · 매니토바호 · 모레인호 · 미스타시니호 · 슈스왑호 ·서던 인디언호 · 시더호 · 애서배스카호 · 오대호 · 오파추아나우호 · 월라스톤호 · 웰스호 · 우즈호 · 위니펙호 · 위니피고시스호 · 이던호 · 이사발호 · 줌팡고호 · 카무카위호 · 타호호 · 텍스코코호 · 페텐이트자호 · 폰차트레인호 · 하이락호
남아메리카
가예투예호 · 라코차호 · 리니우에호 · 문다석호 · 발렌시아호 · 부디석호 · 빌러리카호 · 우루우루호 · 카부르과호 · 토타호 · 티티카카호 · 파투스석호 · 푸우푸호 · 헤레라호 · 후닌호
오세아니아
디서포인트먼트호 · 맥케이호 · 블랑쉬호 · 실베스터호 · 아마테우스호 · 에어호 · 카네기호 · 타라불호 · 타우포호 · 토런스호 · 프롬호
남극
보스토크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5:15:26에 나무위키 우포늪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둑이 생기기 전인 일제 강점기 이전에는 전부 하나였다.[2] 근거 1: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D%8F%AC%EB%8A%AA[3] 근거 2:https://www.cng.go.kr/tour/upo/00001081.web[4] 중생대에는 경상 분지 지역 대부분이 바닷속에 있었다.[5] 당시는 '월간 과학', 계몽사에서 라이센스 발간[6] 이미 일제강점기에 늪 범람을 이유로 제방을 여기저기 쌓아 일부 습지대는 개간되어있던 상태였다.[7] 유전늪은 하도 커서 지금도 유현리 동네 옆에 1/2 정도는 남아있으나 바로 옆에 공장부지가 들어와 있는 등 자연습지로서의 기능은 사실상 상실했다.[8] 우포늪 주변에 높은 산은 없지만 죄다 낙동강 연변의 구릉지이기 때문에 민가도 거의 없고 매우 썰렁하다. 해가 지면 지방도 근처의 몇몇 동리 외에는 인적 하나 얼씬하지 않는다. 인근 창원의 배후지역으로 남지, 칠원 등에 소규모 공장들이 경기도급으로 드글거리는 동네인데도...[9] 인근의 창녕, 함안 등에 비교해보면 민가가 많은 지역은 대개 높은 산 아래에 농지를 끼고 있는 배산임수의 지형이 많다. 낙동강, 남강 인근은 여름에 홍수가 나면 물이 안 빠지기로 더럽게 유명한 곳이라서, 안동댐과 남강댐이 건설되기 전에는 큰물이 들었다 하면 안 빠지기 일쑤. 상기한 함안의 늪지들도 인근 창원의 폭발적인 도시화와 남해고속도로로 인한 교통 편의성이 개선되면서 농토로 개간된 것. 한 마디로 도시화의 산물이다. 그나마 그 농토도 이제는 죄다 공장부지가 되어버려서...[10] 주변에는 예전부터 우포늪의 영향을 받고 자란 산골 마을이 있고 아직 여기서 어업에 종사하는 분들도 존재한다. 실질적으로 종사하시는 분들은 이제 8명밖에 없지만...[11] 21년 기준, 창녕 교동 및 송현동 고분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신청이 되었다. 결과는 21년 하반기 내지 22년 상반기에 발표된다.[12] 참고로 22년 기준으로 군 단위로는 고창군이 유일하게 복수의 유네스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고인돌 무리, 갯벌)[13] 창녕읍에서 택시를 타도 되지만 콜택시 번호는 꼭 챙겨가자.[14] 요즘에는 거의 매년 열대조류 물꿩이 방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