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선언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2023년 한미정상회담



[ 펼치기 · 접기 ]
역사
제너럴 셔먼호 사건 · 신미양요 · 조미수호통상조약 · 주한미국공사관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민족자결주의 · 태평양 전쟁 · 카이로 회담 · 미군정 · 6.25 전쟁 · 베트남 전쟁
사건사고
이철수 사건 · 조지아주 한인 여성 살인사건 · 주한미군 윤금이씨 살해사건 · 필라델피아 한인 유학생 강도살인 사건 · 이태원 살인 사건 · 버지니아 공대 총기난사 사건 · 주한미군 독극물 한강 무단 방류 사건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 · 동대구역 초등생 감전 사망사고 · 2008년 촛불집회 ·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피습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미국 정부의 한국 대통령실 도청 사건
외교
한미관계 · 한미관계/2020년대 · 한미일관계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미국대사관 · 동맹대화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연합사 · 주한미군 · 한미자유무역협정 · 한미행정협정 ·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 한미정상회담 · 6자회담 · 한미 원자력 협정 ·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 · 한미 우주협력협정 · 한미 FTA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미외교 · 2021년 한미정상회담 · 2022년 한미정상회담 · IPEF · 2023년 한미정상회담 · 워싱턴 선언 · 핵 협의그룹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기타
한국군 vs 미군 · 친미 · 미빠 · 반미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의 핵·WMD 위협과 대한민국의 대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북한의 핵개발 경과
북미 제네바 합의 | KEDO | 6자회담
     
전술핵 《화산-31》 탑재 무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근거리형 전술유도탄·KN-25·화살-2 등 8종
화성-14 | 화성-15 | 화성-17 | 화성-18 | 대포동 | 광명성
수중발사 핵전략무기
8.24 영웅함(북극성) | 김군옥영웅함(북극성-3, 북극성-4, 화성-11ㅅ) | 원자력 잠수함(북극성-5, 2022년 공개 SLBM) | 해일(수중드론)
핵무력 전략
핵무력정책에 대하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킬체인(Kill Chain)
고정표적: 현무-II, 고위력 현무, KTSSM | 이동표적: F-35, KUS-X, 현무-III, 해성-II, 천룡, KEPD 350 | 북한 잠수함: 백상어, 홍상어, 범상어, 자항기뢰 | 비물리적 공격: 정전탄, 전자기펄스탄, 한국형 전자전기
한국형 미사일 방어(KAMD)
주한미군: THAAD | 종말단계 상층: L-SAM | 종말단계 하층: 천궁-III, 천궁-II, 패트리어트 | 장사정포: LAMD | 그외: 레이저무기, 상승단계 요격 미사일(KF-21)
대량응징보복(KMPR)
핵억제: F-35,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 타격체계: 현무-II, 현무-III, 현무-IV, 지/함/공대지 고위력 현무, 극초음속 미사일
참수작전: 제13특임여단 (C-130, 특수작전용 CH-47) | 개발중:합동화력함
감시정찰
정찰위성:아리랑 위성, 차세대중형위성, 425 위성, 초소형군집위성 | 항공기: RQ-4, KUS-FS, 백두 정찰기, E-737 | 대탄도탄 레이더: 정조대왕급 구축함, 그린파인 레이더, 세종대왕급 구축함 | 대잠: P-8, P-3, MH-60R, AW159, 인천급 호위함, 대구급 호위함, 충남급 호위함, SQR-230K 백룡 ULTASS, 항만감시체계
기타 억제·대응 전략
대북제재 | 대재래전력 킬체인 | 원자력 잠수함 보유 | SM-3 도입 | 사드 추가 배치 | 핵우산
북한 유엔 축출 | 대한민국의 핵무장 | 전술핵 재배치 | 워싱턴 선언 | 핵협의그룹 | 가상 시나리오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미사일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워싱턴 선언
Washington Declaration


일시
2023년 4월 26일 (EST / 공동발표)
장소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워싱턴 D.C. 백악관
당사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 조셉 R. 바이든
1. 개요
2. 내용
2.1. 전문
2.2. 주요내용
2.4. 미국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 정례화
3. 반응
3.1. 긍정적 평가
3.1.1. 대한민국
3.1.2. 미국
3.2. 부정적 평가
3.2.1. 대한민국
3.2.2. 미국
3.3. 북한
3.4. 일본
3.5. 중국
3.6. 러시아
3.7. 언론
4. 여담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23년 4월 26일(현지시간)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70주년을 맞아 한미 정상회담에서 채택한 「워싱턴 선언」(Washington Declaration)은 한미 정상 차원에서 확장억제 운영 방안을 적시한 최초의 합의 문서이다.

「워싱턴 선언」은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내용[편집]



2.1. 전문[편집]


{{{#!wiki style="text-align:right"

(비공식 번역본)}}}
워싱턴 선언

대한민국 윤석열 대통령과 미합중국 조셉 R. 바이든 대통령은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오늘 2023년 4월 26일에 회동하였다. 우리 두 나라의 동맹은 공동의 희생 속에서 주조되고, 항구적인 안보협력을 통해 강화되었으며, 양국의 외교 역량을 활용한 긴요하고 전략적인 대업을 평화롭게 달성 가능케 한 긴밀한 연대를 자양분으로 하여 발전해왔다. 안보 파트너십으로 시작된 한미동맹은 민주주의 원칙을 옹호하고, 경제협력을 강화하며, 기술 발전을 주도하는 진정한 글로벌 동맹으로 성장하고 확장되었다. 우리의 동맹은 연이은 도전에 맞서서도, 언제나 굴하지 않고 일어섰고, 한반도와 인도-태평양에서 변화하는 위협에 대응하였다.

우리 동맹에 역사적인 해를 기념하기 위해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더욱 강화된 상호방위관계를 발전시키기로 약속했으며,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따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겠다는 공약을 가장 강력한 언어로 확인한다. 한미 양국은 인도-태평양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하며, 우리가 함께 취하는 조치들은 이러한 근본적인 목표를 더욱 발전시킬 것이다.

한국은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을 완전히 신뢰하며 한국의 미국 핵억제에 대한 지속적 의존의 중요성, 필요성 및 이점을 인식한다. 미국은 미국 핵태세보고서의 선언적 정책에 따라 한반도에 대한 모든 가능한 핵무기 사용의 경우 한국과 이를 협의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할 것임을 약속하며, 한미동맹은 이러한 협의를 촉진하기 위한 견실한 통신 인프라를 유지해 나갈 것이다. 윤 대통령은 국제비확산체제의 초석인 핵확산금지조약(NPT)상 의무에 대한 한국의 오랜 공약 및 대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 협정 준수를 재확인하였다.

한미동맹은 핵억제에 관해 보다 심화되고 협력적인 정책결정에 관여할 것을 약속하며, 이는 한국과 지역에 대해 증가하는 핵 위협에 대한 소통 및 정보공유 증진을 통하는 것을 포함한다. 양 정상은 확장억제를 강화하고, 핵 및 전략 기획을 토의하며, 비확산체제에 대한 북한의 위협을 관리하기 위해 새로운 핵협의그룹(NCG) 설립을 선언하였다. 아울러, 한미동맹은 유사시 미국 핵 작전에 대한 한국 재래식 지원의 공동 실행 및 기획이 가능하도록 협력하고, 한반도에서의 핵억제 적용에 관한 연합 교육 및 훈련 활동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양 정상의 약속을 이행하는 차원에서, 한미동맹은 핵 유사시 기획에 대한 공동의 접근을 강화하기 위한 양국간 새로운 범정부 도상 시뮬레이션을 도입하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과 한국 국민들에 대한 미국의 확장억제가 항구적이고 철통같으며, 북한의 한국에 대한 모든 핵 공격은 즉각적, 압도적, 결정적 대응에 직면할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에 대한 미국의 확장억제는 핵을 포함한 미국 역량을 총동원하여 지원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미국은 향후 예정된 미국 전략핵잠수함의 한국 기항을 통해 증명되듯, 한국에 대한 미국 전략자산의 정례적 가시성을 한층 증진시킬 것이며, 양국 군 간의 공조를 확대 및 심화시켜 나갈 것이다. 나아가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이 잠재적인 공격과 핵 사용에 대한 방어를 보다 잘 준비할 수 있도록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를 포함해 확장억제에 관한 정부간 상설협의체를 강화하고, 공동 기획 노력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할 것이다.

윤 대통령은 한미동맹의 연합방위태세에 한국의 모든 역량을 기여할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의 새로운 전략사령부와 한미연합사령부 간의 역량 및 기획 활동을 긴밀히 연결하기 위해 견고히 협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활동에는 미국 전략사령부와 함께 수행하는 새로운 도상훈련이 포함된다.

이러한 중요한 발전들의 견지에서,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양국의 공동의 안보에 대한 모든 위협에 맞서 함께 할 것이라는 확고한 메시지를 국제사회에 전하며, 확장억제 강화를 위한 향후 조치들에 대한 긴밀한 협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다. 동시에 양 정상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달성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진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북한과의 전제조건 없는 대화와 외교를 확고히 추구하고 있다.

워싱턴 선언 - 대한민국 대통령실


{{{#!wiki style="text-align:center"

Washington Declaration}}}

President Joseph R. Bide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President Yoon Suk Yeol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met on this 26th day of April, 2023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U.S.-ROK Alliance. The Alliance between our two nations has been forged in shared sacrifice, fortified by enduring security cooperation, and nourished by our close kinship that has enabled both countries to leverage their diplomatic resources to peaceably achieve crucial, strategic outcomes. What began as a security partnership has grown and expanded into a truly global Alliance that champions democratic principles, enriches economic cooperation, and drives technological advancements. Our Alliance has been tested many times, and in every instance we have risen to the occasion and responded to the changing threat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Indo-Pacific.

To commemorate this historic year for our Alliance, President Biden and President Yoon have committed to develop an ever-stronger mutual defense relationship and affirm in the strongest words possible their commitment to the combined defense posture under the U.S.-ROK Mutual Defense Treaty.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are committed to peace and stability in the Indo-Pacific, and the measures we take together are in furtherance of that fundamental goal.

The ROK has full confidence in U.S. extended deterrence commitments and recognizes the importance, necessity, and benefit of its enduring reliance on the U.S. nuclear deterrent. The United States commits to make every effort to consult with the ROK on any possible nuclear weapons employment on the Korean Peninsula, consistent with the U.S. Nuclear Posture Review’s declaratory policy, and the Alliance will maintain robust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o facilitate these consultations. President Yoon reaffirmed the ROK’s longstanding commitment to its obligations under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as the cornerstone of the global nonproliferation regime as well as to the U.S.-ROK Agreement for Cooperation Concerning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The Alliance commits to engage in deeper, cooperative decision-making on nuclear deterrence, including through enhanced dialogue and information sharing regarding growing nuclear threats to the ROK and the region. The two Presidents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Nuclear Consultative Group (NCG) to strengthen extended deterrence, discuss nuclear and strategic planning, and manage the threat to the nonproliferation regime posed b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In addition, the Alliance will work to enable joint execution and planning for ROK conventional support to U.S. nuclear operations in a contingency and improve combined exercises and training activities on the application of nuclear deterren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keeping with the Presidents’ commitments, the Alliance has established a new bilateral, interagency table-top simulation to strengthen our joint approach to planning for nuclear contingencies.

President Biden reaffirmed that the United States’ commitment to the ROK and the Korean people is enduring and ironclad, and that any nuclear attack by the DPRK against the ROK will be met with a swift, overwhelming and decisive response. President Biden highlighted the U.S. commitment to extend deterrence to the ROK is backed by the full range of U.S. capabilities, including nuclear. Going forward, the United States will further enhance the regular visibility of strategic assets to the Korean Peninsula, as evidenced by the upcoming visit of a U.S. nuclear ballistic missile submarine to the ROK, and will expand and deepen coordination between our militaries. Furthermore, the United States and ROK will strengthen standing bodies for consultations on extended deterrence, including the Extended Deterrence Strategy and Consultation Group, to better prepare the Alliance to defend against potential attacks and nuclear use and conduct simulations to inform joint planning efforts.

President Yoon affirmed that the ROK will apply the full range of its capabilities to the Alliance’s combined defense posture. This includes working in lockstep with the United States to closely connect the capabilities and planning activities of the new ROK Strategic Command and the U.S.-ROK Combined Forces Command. Such activities will include a new table-top exercise conducted with U.S. Strategic Command.

In view of these critical developments, President Biden and President Yoon send a firm messag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will stand together in the face of any and all threats to their shared security, and continue their close consultations on further steps to strengthen extended deterrence. In parallel, both Presidents remain steadfast in their pursuit of dialogue and diplomacy with the DPRK, without preconditions, as a means to advance the shared goal of achieving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2.2. 주요내용[편집]


2023년 4월 26일 한미 정상은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70주년을 맞아 확장억제를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워싱턴 선언」을 채택하였다. 한미 정상 차원에서 확장억제 운영 방안을 적시한 최초의 합의문인 「워싱턴 선언」은 양국 최고 리더십의 확장억제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확장억제 실행력을 질적으로 제고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이로써 한미 군사동맹은 핵무기를 포함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군사 동맹으로 진화하게 되었다.
파일:「워싱턴선언」 주요내용.png
「워싱턴 선언」에 따라 창설되는 한미 핵협의그룹(NCG)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동맹 간 정보 공유, 공동 기획, 공동 실행 체계, 협의 체계를 더욱 강화시켜 확장억제의 실행력을 높일 것이다. 한미간 북핵 관련 정보공유 범위를 확대하고, 모든 북핵 위협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맞춤형 억제전략을 가동할 것이다. 또한 정례적으로 확장억제 수단 운용연습(TTX)과 핵 대응 도상연습(TTS)을 실시하고, 한반도 인근 전략자산의 전개 빈도와 강도를 확대하여 상시 배치에 준하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은 향후 예정된 전략핵잠수함의 한국 기항 등 한국에 대한 미국 전략자산의 정례적 가시성을 한층 증진시킬 것이다. 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이 40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에 최대 규모의 오하이오급 전략핵잠수함을 파견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

이에 대한 대가로 국제비확산체제의 초석인 핵확산금지조약(NPT)상 의무에 대한 한국의 오랜 공약을 준수하기로 해, 사실상 자체 핵무기 개발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명문화했다.[1] #

주한미군전술핵 재배치, 한미간 핵공유도 하지 않기로 했다. # 미국 행정부 고위 관계자는 "어떤 종류의 핵무기든 냉전 때처럼 한반도에 재배치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

한편 대한민국 대통령실은 「워싱턴 선언」에 대해 "사실상 미국과의 핵공유"라고 평가했으나 #, 정작 에드 케이건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NSC동아시아·오세아니아 담당 선임 국장은 '워싱턴 선언'에 대해 "직설적으로 말하겠다. '사실상 핵공유'로 보지는 않는다"고 답변했다. #

북한의 핵공격시에 핵보복을 의무화하는 핵우산을 명시하지 않았으며, 북한의 핵공격시에는 한미 정상간에 협의로 대신된다.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보유에 대해선 대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 협정 준수를 재확인하여 사실상 포기했다. 다만 핵무장과는 다르게 직접적으로 명문화된 내용과 충돌되는 부분은 없어서 비효율을 감수하고서라도 원잠을 개발하겠다고 하면 가능은 하다. 20%까지의 저농축은 미국과의 협의를 통해 허가받을 수 있는데, 7% 농축연료를 사용하는 프랑스식 원잠도 있고, 중국의 일부 원잠이 채택한 상용핵연료 방식으로도 개발이 가능은 하다. 다만 고농축이건 저농축이건 핵원료의 폐기와 원자로 수명이 다한 이후 폐로 처리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을 뿐이다. 군사적 활용을 하지 않는다는 내용은 있지만 이게 해석에 따라 말장난이 가능해서 그렇고, 이미 문재인 정부 시절 원잠 개발 자체는 이에 저촉되지 않는다(핵탄두 같은 걸 만들지 말라는 조항일 뿐이다)라고 확인 받은 사항이다. 핵탄두나 더러운 폭탄은 빼도박도 못하나 원자력 잠수함의 핵연료는 동력원일 뿐 이를 사용해서 무언가 공격을 하거나 직접적으로 방사능을 뿜는 무기는 아니기 때문이다.

2.3. 핵협의그룹 신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핵협의그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 미국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 정례화[편집]


미국 오하이오급 핵추진 잠수함(SSGN) 부산작전기지 입항

미국 B-52H 전략폭격기 한반도 전개 및 한미 연합공중훈련 시행

미 전략폭격기(B-52H) 전개 하 한미 연합공중훈련 실시 (2023. 7. 13. 목)

미국 오하이오급 핵추진 탄도유도탄 잠수함(SSBN) 부산작전기지 입항

해군작전사령부 방문 - 대한민국 대통령실

"한미 양국은 앞으로도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압도적이고 결연히 대응해 나아갈 것" - 대한민국 대통령실

尹 대통령 "이번 켄터키함의 전개는 확장억제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한미 양국의 의지를 잘 보여준 것" - 대한민국 대통령실

부산에 정박한 미국의 핵심 전력 SSBN! 외국 정상 중 최초로 시찰한 윤 대통령 [해군작전사령부 방문] - 대한민국 대통령실


3. 반응[편집]



3.1. 긍정적 평가[편집]



3.1.1. 대한민국[편집]


  • 박진 외교부장관4월 30일 저녁 연합뉴스TV에 출연해 「워싱턴 선언」에 대하여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간 협력보다 훨씬 더 심도있고 유연한 핵 억지력 계기가 만들어졌다. 워싱턴 선언은 획기적이다. 미국은 어떤 동맹·우방국과도 이런 문서를 만든 적은 없다"고 말했다. #

  •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핵협의그룹 창설에 대해 "미국이 일방적 수립하는 핵전력 운용에 한국이 따라가기만 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우리나라와 미국이 핵 정보를 사전에 공유하고 핵전력의 기획단계부터 실행단계까지 우리가 참여하도록 하는 한미 핵협의그룹(NCG) 창설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평가했다. # 또한 SSBN 정례적 배치에 대해서도 "핵 무기를 실을 수 있는 전략핵잠수함이 한반도에 전개되는 것은 1980년대 초 이래 없었던 일"이라며 "미 핵 전략자산을 한반도 주변에 사실상 상시 배치해 유사시 한·미가 응징 보복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북한의 핵 도발을 억지하겠다는 것으로 사실상 전술핵 재배치와 같은 효과"이라고 평가했다. #

  •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4월 28일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핵무장에 선을 그은 것에 대해 비판하는 일부 강경 보수세력을 향해 "(자체 핵무장처럼) 가능하지 않은 일을 가능한 것처럼 전제하며 워싱턴 선언을 비판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국민 기만"이라고 말했다. 윤 원내대표는 이어 "북한을 마음 속의 조국으로 여겨 북핵을 대한민국의 핵으로 여기는 게 아니라면, 독자적 핵무장이란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의미할 수밖에 없다"며 "NPT를 탈퇴하면 무슨 일이 일어나겠나. 유엔(UN)으로부터 제재를 받고 대한민국은 전통적 서방 진영에서 쫓겨나게 된다. 이게 우리나라가 택할 수 있는 길인가"라고 덧붙였다. #

  • 넷플릭스로 윤석열 대통령을 비난한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 의원은 "한미정상의 한반도 비핵화선언 유지를 지지합니다. 핵은 공멸입니다. 북한의 핵을 절멸하는 것은 우리도 핵을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종전선언으로 한반도 평화를 앞당기는 것입니다. 평화가 밥입니다."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

  • 이명박 정부 시기 청와대 위기정보상황팀장을 역임했던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은 "지금까지 가장 강한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은 NATO와 했던 핵공유지만, 이는 협의체라고 봐야 한다”며 "이번에 (NCG에) 상설적인 참모 조직이 만들어진다면 나토보다도 강력한 확장억제 방안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

  • 한국중견기업연합회은 "한미 핵협의그룹(NCG) 창설 등의 내용을 담은 '워싱턴 선언'은 한반도를 둘러싼 고도의 긴장을 완화하고 대한민국의 산업과 외국 투자 자본의 불안을 불식할 효과적인 해법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는 한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법 관련 명문화된 추가 조치를 도출하지 못한 것은 아쉽다"고 밝혔다. #

  • 한국자유총연맹은 "우리는 한미 핵협의그룹(NCG) 창설을 환영하며 양국이 북핵 공격 시 즉각적인 정상 간 협의를 갖고 미국의 모든 전력을 사용해 결정적인 대응에 나설 것을 강력한 언어로 표현한 것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낸다"고 성명서를 내놨다. #

3.1.2. 미국[편집]


  • 잭 쿠퍼 미국기업연구소(AEI) 아시아 안보 담당 연구원은 "'워싱턴 선언'은 한국 국민을 안심시킬 뿐 아니라 한국이 핵무기를 만들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고안됐다"며 "독자적으로 핵 개발을 하고자 하는 서울의 외도가 동맹에 위험 요인인데, 이번 선언은 (미국이) 이를 선제적으로 제어한 영리한 노력"이라고 FT에 밝혔다.##

  • 뉴욕 타임스는 "한국이 자체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기로 하는 대가로 핵무기 이용을 위한 전략 계획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핵 전력 이용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발언권을 강화해주면서도 미국의 핵 실행 통제권도 유지했다"고 풀이했다. #

  • 미국이 전략자산 중 하나인 전략핵잠수함(SSBN)의 한국 수시 전개를 결정한 것에 대해서, 북한 핵 위협 억제에 크게 기여하는 것은 물론, 사실상 핵무기를 배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제기되었다. 데이비드 맥스웰 아태전략센터 부대표[2]는 미국 핵전략잠수함이 핵탄두를 탑재하고 ICBM을 발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40년 만의 전략핵잠수함의 추가 전개 결정은 미국의 확장억제력에 대한 한국 내 일각의 의구심을 잠재우는 매우 훌륭한 억제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렌스 코브 전 미국 국방부 차관보는 전략폭격기스텔스 전투기와 마찬가지로 전략핵잠수함은 북한이 위치를 쉽게 탐지할 수 없다는 데서 강력한 억제력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 미국 싱크탱크 허드슨 연구소의 패트릭 크로닌 아시아태평양안보 석좌는 "한국이 미국의 핵무기를 공유하는 것은 아니더라도 미국의 핵 능력을 공유하는 수준이 되게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

3.2. 부정적 평가[편집]



3.2.1. 대한민국[편집]


  • 조선일보는 "한국에 대한 족쇄가 강화됐다"라고 비판했다. 한국민의 불안을 근원적으로 해소할 조치는 이번에도 없었으며, 미국이 워싱턴과 뉴욕이 핵 공격을 당할 위험을 무릅쓰고 서울을 보호해줄 것이냐는 물음[3]에 대한 답이 되지 못한다고 평했다. 또 지난 1월 윤석열 정부한국 자체 핵무장을 거론하자 한국의 NPT(핵 확산 금지 조약) 회원국의 의무를 강조하는 내용을 이례적으로 넣어 대한민국의 핵무장을 억지하는데 중점을 둔 것 같다고 평가했다. #

  • 중앙일보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충분한 안전판이라고 예단하기는 이르다고 해석하며 실무적인 후속대책이 이어져야 한다고 판단했다. 또한 강대강 대결만으로 평화를 담보하기 어려우므로 북한과 대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평했다. #

  •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은 "과거와 무엇이 다른지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언급하며 핵개발 여지를 포기한 것에 실망을 표했다. #

  • 자체 핵무기 보유론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학자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4]은 "한미 간에 협의 횟수가 조금 더 늘어나고 전략자산이 조금 더 오는 것 말고 달라지는 게 없다"며 '양적 변화는 있지만 질적 변화는 없는 것'이라 분석했다. 덧붙여 CBS 노컷뉴스는 '워싱턴 선언'이란 화려한 포장을 얻는 반대급부는 사실상의 자체 핵무장 포기 선언이며 미국이 한국에 거의 아무 것도 주지 않고 손쉽게 핵 비확산 원칙을 관철시켰다고 평가했다. #

  •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통일부장관을 역임했던 정세현은 미국이 한국에 전술핵 배치, 독자적 핵무장 등을 함부로 언급하지 말라고 훈계하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핵 공격에 들어가면 즉각 보복을 해야지, 그때가서 협의를 시작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 #

  • 문재인 정부에서 외교부 제1차관을 역임했던 최종건은 워싱턴 선언은 한국에 자체 핵무장을 그만 언급하라는 것이며, 기존에 한미 간 확장억제를 논의해왔던 확장억제협의체(EDSCG)보다 NCG의 급이 더 낮다고 주장했다. EDSCG는 차관급인데, NCG은 차관보급이다. #


  •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한국의 독자 핵무장이 분명히 부정된 점은 다행"이라면서도 "이번 회담이 불안정한 한반도 상황 변화의 전기를 마련했느냐는 점에서는 낙제점"이라고 평했다. #

  • 전원책은 한미동맹강화 외에는 윤석열이 얻어 낸 것이 전혀 없으며 바이든 역시 재선에만 혈안이 되어 자국 언론에까지 거짓말을 서슴지 않았다고 혹평했다.#[5]

  • 문재인 정부의 국립외교원장을 역임했던 홍현익은 "북한이 핵으로 남한을 공격할 경우 큰 일 나겠구나 무서워 핵을 못쏘는 거고 그게 억제인거지. 한국에 핵 쏘면 한국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과 통화부터 한다? 이러면 시간 여유가 생기는 거다. 오히려 이런게 위험할 수도 있다." 며 "미국이 내키는대로 결정해 우리의 생사가 결정되는 상황이라는 거다" 라고 비판했다.#

3.2.2. 미국[편집]


  • 제프리 루이스 미들베리 국제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센터 교수는 워싱턴 선언이 상징적이라며 미국이 여전히 한국을 지지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 "한국 대중들을 안심시키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고 평가했지만, 동시에 이러한 '약속'이 군사적 가치는 없다(don't have any military value)며 회의적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 #

  •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번 선언이 한국을 안심시키겠지만 북한이 전력을 증강하는 상황에선 장기적으론 안심시키기에 불충분할 것이라는 전문가 발언을 소개했다. #

  • 뉴욕 타임스는 "'미국 국방 전략에서 핵무기의 역할을 줄이겠다'는 오바마 행정부 시절의 약속을 뒤집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라며 바이든 행정부에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미국은 핵을 제외한 재래식 무기의 정밀도와 위력을 향상시켰지만, 확장억제 강화를 강력히 희망한 한국만에게는 예외를 인정했다는 것이 NYT의 분석의 취지이다. #

  • 프랭크 엄 미국 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양국이 확보한 정치적 이익에도 불구하고 이번 회담의 결과는 대북 억제 차원에서 실질적인 안보 효익을 제공하거나 한국 국민을 안심시키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 선언이 “북한의 핵 위협에 실질적인 억제력을 제공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맥락이다. #

  • 미국의 싱크탱크 카토연구소의 더그 밴도우 수석연구원은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 기고문에서 한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대해 "미국의 공허한 승리"라고 평가하고 미국의 대북정책을 무력(핵무기)에 의한 것이 아닌, 협상에 의한 정책으로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 #

  • 미 태평양사령부 합동정보센터 작전처장을 지낸 칼 슈스터 전 해군 대령은 SSBN이 한국 항구를 방문하기 위해 24~48시간 전부터 준비 작업을 하게 된다면 북한 눈에 쉽게 띌 수밖에 없다며 "김정은이 기습공격을 의도할 경우 우리는 그에게 잠수함이 어디에 언제 도착할지를 알려주게 되는 꼴"이라고 말했다. #

  • 존 딜러리 연세대 교수는 한국의 대북 온건파와 강경파가 모두 워싱턴 선언에 실망할 이유가 있다며 “북한과의 대화를 추진하겠다는 신호도 없었고, 한국이 독자적 핵 억제력을 갖도록 약속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 데이비드 실비 코넬대 교수는 미국 전략핵잠수함의 한국 기항을 약속한 것에 대해 “수천 마일 떨어진 수중에서 북한을 공격할 수 있는데 한국 항구에 모습을 나타내면 위치를 노출시킨다”, “심해에 숨는 미사일 잠수함을 상대적으로 얕은 동해에 투입하면 발각되기 쉽다”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

  •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워싱턴 선언'은 아쉽게도 필요한 수준에 훨씬 못 미쳤다고 평가하며 이 신중한 조치가 한반도를 통일하려는 북한의 시도를 늦추지 못할 것이고 "동북아 긴장 고조는 지속 될 게 확실하다"고 덧붙이며## 미국 전술핵의 한반도 재배치를 주장했다.#

  • 브렌트 새들러 헤리티지재단 선임 연구원은 핵잠수함의 한국 방문은 북한이나 중국의 감시에 포착돼 향후 잠수함 순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미국에 불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

3.3. 북한[편집]


김 부부장은 바이든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핵을 사용하면 정권 종말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한 데 대해 김여정은 “자기 앞의 남은 임기 2년만 감당해내자고 해도 부담스러울, 미래가 없는 늙은이의 망언”이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에 대해서도 “미국으로부터 빈껍데기 선언을 배려받고도 감지덕지해하는 그 못난 인간“이라며 ”자기의 무능으로 안보를 도마위에 올려놓고 무슨 배짱을 부리며 어디까지 가는가 두고볼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리고 "워싱턴 선언은 가장 적대적이고 침략적 행동 의지가 반영된 극악한 대조선 적대시 정책의 집약화된 산물"이라며 "우리로 하여금 새로운 안전 환경에 상응한 보다 결정적인 행동에 임해야 할 환경을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 이어 "핵전쟁 억제력 제고와 특히 억제력의 제2의 임무에 더욱 완벽해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신했다"며 "조선반도(한반도) 지역에 더 많은 핵 전략자산을 전개할수록 우리의 자위권 행사도 정비례해 증대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억제력의 제2의 임무"는 상대의 핵 공격 조짐 때 '핵 선제타격'에 나설 수 있다는 위협으로 해석된다.

  • 4월 30일에도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논평을 통해 "위험천만한 핵전쟁책동은 절대 용서할 수 없으며 반드시 비싼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3.4. 일본[편집]


  •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내각관방장관은 한국과 미국이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확장억제를 강화하기로 합의한 것을 두고 "미일의 확장억제 강화 노력과 함께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긍정평가했다. #

  • 국제정치학자 진보 겐 게이오대 교수는 니혼게이자이신문에서 "워싱턴 선언은 한국 내 핵무장론을 진정시키는 것이 최대 목적"이라며 핵 사용에 관한 계획이나 의사 결정에 한국이 관여하게 된 것은 획기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한 억제 방식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진전은 없었다고 지적하며 워싱턴 선언이 북한 핵 개발을 어떻게 막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없었다고 평가했다. #

3.5. 중국[편집]


  • 4월 30일,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GT)는 '윤 대통령의 '압도적' 친미 정책은 한국에 악몽이 될 수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하여 '워싱턴 선언'에 대해 비판하였다. 글로벌타임스는 "윤 대통령이 점점 극단적인 외교 정책으로 균형을 잃었다고 비난하면서 그로인해 손실이 이익보다 더 클 것"이라면서 "미국의 핵 무기를 한반도에서 전개하는 것은 북한·중국·러시아에 대해 극도로 위험하고 도발적인 행위"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GT는 "이로 인해 미국과 한국은 전략적 차원의 보복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면서 "또 다른 역내 핵위기를 촉발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 기사에서 중국 군사전문가인 쑹중핑은 "미국의 '확장억제 전략'은 동맹국인 한국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면서 "북한의 군사 개발을 핑계 삼아 핵무기를 포함한 미국의 전략자산을 전개해 중국과 러시아, 북한에 더 많은 전략적 압박을 가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처럼 미국이 한반도 핵 문제를 이용해 아시아의 또 다른 위기를 자극할 가능성이 크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의 그런 행동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진칸롱 인민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이 기사에서 "이처럼 한국의 국익에 반하는, 현명하지 못한 정책은 지속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3.6. 러시아[편집]


2023년 8월, 한미 핵공조와 핵잠수함 부산항 입항 등이 안보리를 망친다고 주장하였다. #

3.7. 언론[편집]



  • 미국 NBC 뉴스는 제프리 루이스 미들베리 국제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센터 교수를 인용해 워싱턴 선언이 "상징적"이라며 미국이 여전히 한국을 지지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 "한국 대중들을 안심시키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

  • BBC 코리아는 한미정상회담: '워싱턴 선언'… 주어진 상황 속 최선 vs 한국 스스로 '족쇄'라는 의견이 있다고 보도했다.#

  •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는 한국의 자체 핵무기 개발 계획을 '외도'라고 표현하며, 미국이 이를 "선제적으로 잘 제어했다"고 평가했다. # 하지만 여기에서 '외도'라는 번역은 위에 잭 쿠퍼 연구원의 말에서 따온 문구를 번역한것인데, 원문은 'Seoul's dalliance with the idea' (생각를 건드리는 서울) 썼지만 이를 한국기자가 오역한것이다.

  •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핵협의그룹(NCG)을 창설하기로 하면서 한국이 미국의 핵 정책에 발언권을 얻게 됐다"면서 "핵협의그룹은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한 억지력을 높이려는 한국의 요청에 미국이 응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

  • 일본 산케이 신문은 "시종일관 북한 눈치 보기로 일관하며 미국과 거리를 뒀던 문재인 정부과 달리 윤 대통령은 북한의 위협에 현실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미국과의 협력 강화에 나섰다. 미국도 이에 화답하며 한국 방어의 의지를 보였다"면서 "미·한 동맹 체결 70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가 정상궤도에 오른 것을 환영한다"고 이례적으로 한국에 대해 호평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가 행동으로 보여준 핵 위협에 대한 위기감과 문제의식을 기시다 내각은 얼마나 갖고 있을까. 기시다 총리는 윤 대통령을 본받으면 어떨까"라고 기시다 후미오 총리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

4. 여담[편집]


  • 대통령실에 따르면 미국은 ‘워싱턴 선언’을 중국 측에 사전 브리핑했다. 워싱턴 선언은 중국과 충돌 요인이 아니며, 북핵 위기에 대한 대응 차원이므로 문제의식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취지다. #

  • 4월 27일 외교부 임수석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확장억제와 관련된 워싱턴 선언에 대해서는 사전에 유관국들에도 설명했다”고 발표했다. # 그러나 이후 외교부는 임수석 대변인의 '중국측에 통보'했다는 설명은 사실이 아니며, 미국 정부에서 중국에 사전설명을 했을뿐, 대한민국 정부는 사전설명을 하지 않았다고 밝히며 말을 바꾸었다. #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구성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 인사 · 민관합동위원회 · 국민통합위원회 ·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 지방시대위원회
여당
국민의힘
정책 방향
외교 · 적폐청산 · 국방혁신 4.0 · 국민제안 · 청년보좌역 · 2030 자문단 · 규제혁신 ·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 · 주 69시간 근무제 · 과학방역 · 대통령실 용산 이전 · 디지털플랫폼정부 · 행정안전부의 경찰 통제 강화 · 한전 전력판매 독점 폐지 · 빚투 구제 · 경영위기대학 · 청년도약계좌 · 청년형 소득공제장기펀드 · 담대한 구상 · 북한방송 개방 · 대북 독자제재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제3자 변제안 ·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계획 · 워싱턴 선언 · 마약과의 전쟁 · 글로컬대학 30 · 9.19 남북 군사합의 파기 · IPEF 가입 · CHIP4 가입 · 대구경북통합신공항
평가
정치 (인사) · 경제 (노동 · 부동산) · 사회·문화 · 외교 (미국 · 중국 · 일본 · 북한) · 안보·국방
기타
임기 초 지지율 급락 사태 (원인 · 퇴진 운동) · 비상경제민생회의
타임라인
2022년
출범 이전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3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4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5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6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7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윤석열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윤석열 참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06:17:40에 나무위키 워싱턴 선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은 이미 NPT에 가입된 상황이다. 이번 명문화로 인해 그동안 불지펴오던 대한민국의 핵개발론은 일단락시키는 내용이다. NPT에 명문화까지 되어 선언 전까지 유지돼오던 비핵화 상황을 선언 후에는 더욱 변화 없이 유지하는 것이다.[2]한미연합사령부 작전참모[3] 실제로 이것이 샤를 드골 주도의 프랑스의 핵개발의 주된 논리였다.[4] #[5] 진보언론사인 경향신문도 사설에서 '진일보한 면이 없지는 않다'라고 하고, 한겨레도 사설에서 '너무 미국과 친하게 지내자는 쪽에 기울었다' 정도로 우려하는 데 그쳤는데, 전원책은 보수인사인데도 가장 높은 수위의 비판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