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석창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유석창
정대위
문희석
곽종원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곽종원
조일문
권영찬
직무대행
제11대
제12대
제13대
직무대행
윤효직
김용한
안용교
정호권
김현용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윤형섭
맹원재
정길생
오명
김진규
제19대
제20대
제21대

송희영
민상기
전영재






파일:유석창.jpg

출생
1900년 3월 17일
대한제국 함경남도 단천
사망
1972년 1월 1일 (향년 71세)
직업
의사, 교육자, 독립운동가
학력
경신학교 (수석졸업 / 17회)[1]
경성의학전문학교 (졸업)
경성제국대학 (의학박사)
약력
민중병원 설립자
조선보건협회장
건국대학교 설립자 겸 초대 총장
국민훈장 모란장 수훈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4. 여담




1. 개요[편집]


한국독립운동가, 민중병원건국대학교를 설립한 의사이자 교육자. 호는 상허(常虛).


2. 생애[편집]


1900년 3월 17일 함경남도 단천군 이중면 돌산리에서 유승균과 홍숙경의 차남으로 태어났다.중농으로 비교적 윤택한 집안이었고 아버지 유승균은 한의사, 개화 지식인, 기독교 신자였으며 독립을 위해 헌신한 우국지사였다.[2]

1912년 유승균이 독립운동을 위해 만주 장백현으로 이주하자 유석창은 그곳에서 아버지가 교장으로 있던 관화학교(官話學校)를 졸업하고 아버지를 도와 독립운동 전선에서 활동하였다. 오랜 망명생활 끝에 직접적 항일무장투쟁보다 지속적인 실력양성운동으로의 전환을 도모, 1921년 고향에 돌아온다. 모국에서 학업을 계속 이어나가고자 중앙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하려 하지만, 당시 중앙고보는 기숙사가 없었기에 기숙사가 잘 갖춰져 숙식을 해결할 수 있는 경신학교에 편입하였다.

경신학교 졸업을 앞두고 경성의학전문학교[3]에 진학하기로 결정하자 에드윈 쿤스(한국명 군예빈) 교장은 경성의전은 총독부 관립학교이고 입학생의 4/5가 일본인이니 조선인이 입학하기 쉬운 세브란스의전에 응시하라고 권유하지만[4], 결국 1924년 경성의전에 합격하여 입학하였고 이에 쿤스 교장은 유석창에게 졸업할 때까지 학비를 지원해주었다.

경성의전 재학중 '기독교 동우회'에서 활동하였는데, 민중병원 설립 시절부터 유석창의 후견인이자 동지 역할을 하는 이대위오화영, 그리고 첫 번째 부인인 한동죽을 그곳에서 만나게 되었다.

1928년 경성의전 졸업 후 함경남도 장진에 공의(公醫)로 부임하였으나 부인 한동죽이 폐결핵에 걸리는 바람에, 아내의 병 치료를 위해 1929년 함경북도 성진의 제동병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동죽은 1929년 11월 2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1930년 상경, 구료사업을 일으키겠다는 결심으로 실비병원 건립을 위해 노력한 끝에 1931년 사회영(社會營)[5] 중앙실비진료원이 개원하게 되었다. 개원 1년 후 화재로 진료원이 몽땅 타버리는 사고를 겪었으나, 새 병원건물을 마련하였고 1933년 '사회영 중앙진료원', 1934년 '사회영 민중의원'으로 개칭, 1949년에는 '사단법인 민중병원'으로 거듭났으며 훗날 건국대학교병원으로 이어진다. 실비병원이 궤도에 오르자 의료계의 새 지식과 동정을 알리는 간행물인 '보건시보'를 1932년 창간하여 발간하였으나 재정난으로 1937년 폐간하였다.

1937년 경성의전 시절의 은사였던 쓰자키(津崎) 교수가 재직 중인 경성제국대학연구생으로 입학하여 박사 과정을 밟게 되었다. 연구 주제는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 관한 것이었는데 민중의원 경영[6]전쟁이라는 사회적 상황 때문에 연구의 진척은 순조롭지 못했다.

1945년 8월 말에서야 의학박사 학위[7]를 받았다. 사실 일제 패망으로 본국으로 귀향하는 일본인 교수들이 떠나는 마당에 고생한 제자들에게 박사학위를 남발한 소위 '해방 박사'에 해당되는데 유석창 본인도 뒷날 '자신의 논문은 미완성품이며, 쓰자키(津崎) 교수가 베풀어준 선물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명예스러운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고 회고했다.

해방 후 1945년 10월 낙원동에 건국의숙을 설립하였고, 건국의숙이 조선정치학관, 정치대학을 거쳐 1959년 종합대학건국대학교로 승격함에 따라 건국대학교 초대 총장에 취임하였다.

1972년 1월 1일에 사망하였다.

3. 가족관계[편집]


  • 장남 : 유일윤 前 건국대 이사장[9] - 며느리 : 김경희 前 건국대 이사장
    • 딸 : 유자은 現 건국대 이사장[8]
  • 차남 : 유승윤 前 건국대 이사장[10]
    • 아들 : 유상현 現 건국대 대학원장

  • 조카 : 유만윤


4. 여담[편집]


  • 1922년 경신학교 편입시험 때 일본어가 미숙하여 입학을 허가받지 못했지만 쿤스 교장의 배려 덕에 청강생 자격으로 수업을 들었다. 이후 일본어 시험에서 100점을 받아 2학기부터는 정규학생으로 수업을 들을 수 있었다.
  • 세종대학교 설립자 주영하 박사와 고향, 출신학교가 같다.
  • 캠퍼스 안에 그의 유택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거짓이다. 그것은 가묘이기 때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0:21:32에 나무위키 유석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경신중·고등학교[2] 아호는 일우(一憂)[3] 아버지가 한의사였던 것과 만주 망명시절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고 고통받던 동포들을 목도한 경험이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진학하는 동기가 되었다.[4] 당시 유석창은 경신학교 수석졸업생이었기에 경성의전에 낙제하면 학교 평판이 떨어질 수 있었던 것도 한 몫했다.[5] 영리업체가 아니라 사회에 봉사하기 위한 비영리 공영기관임을 강조한 명칭.[6] 즉 병원장 신분으로 학위 과정을 진행한 것.[7] 논문 제목은 '췌장 랑게르한스씨 섬에 관한 발생학적 지견보유'[8] 1994년 홍익대학교 금속재료공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MBA)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4년 9월부터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이사로 선임돼 상임이사로 재직해 왔으며, 2017년 4월 26일 이사회에서 새로운 이사장(제26대)으로 선출됐다. 모친 김경희 당시 이사장은 2017년 4월 대법원에서 징역형을 최종 확정함에 따라 이사장직을 상실했다.[9] 1978년 사망[10] 1950년생, 200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