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억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에이비슨
오긍선
이영준
최동
이용설
제6대
1957년 연세대학교로 통합
김명선
연희전문학교 교장 · 연희대학교 총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언더우드
에이비슨
원한경
윤치호
유억겸
제6대
연희대학교 초대 총장
1957년 연세대학교로 통합
백낙준
연세대학교 총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백낙준
고병간
윤인구
박대선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박대선
이우주
안세희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박영식
송자
김병수
김우식
정창영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김한중
정갑영
김용학
서승환




}}}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장두현
고원훈
최린
박창하
이동식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김규면
신흥우
유억겸
윤치호
유억겸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여운형
유억겸
정환범
신익희
신흥우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조병옥
이기붕
이철승
김동하
이주일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이효
민관식
김용우
김택수
박종규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조상호
정주영
노태우
김종하
김종열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김운용
이연택
김정길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이연택
박용성
김정행
강영중
이기흥

제41대

이기흥





연희전문학교 제5대 교장
유억겸
兪億兼 | Yoo Eok-gyeom


파일:유억겸.jpg

본관
기계 유씨 자산공파[1]
출생
1896년 10월 23일
한성부 북서 가회방 재동계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2]
사망
1947년 11월 8일 오후 10시 30분
(향년 51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자택
가족
부친 유길준, 빙부 윤택영
아내 윤희섭, 아들 유병덕
학력
계산보흥학교[3] (졸업)
황성기독교청년학관 중등과 (졸업)
도시샤대학 부속중학교 보통부 (졸업)
제3고등학교 (졸업)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법률학 / 학사)
도쿄제국대학 대학원 (법률학 / 석사)
경력
중앙고등보통학교 교사
연희전문학교 상과 법학 교수
연희전문학교 상과 학감
연희전문학교 부교장
신간회 경성지회 간사
조선기독교청년회 경성대표
사상보국연맹 경성지부 제3분회장
흥아보국단 경기도위원
한국민주당 창당 발기인
미군정 문교부장관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교육자,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2. 생애[편집]


유억겸은 1896년 10월 23일 한성부 북서 가회방 재동계(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에서 유길준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내가 윤택영의 둘째 딸이자, 순정효황후의 동생이기에 순종황제와는 동서 지간이다. 경성부 사립 계산보흥학교(桂山普興學校)를 졸업하고 황성기독교청년학관 중등과를 다니다가 1912년 일본에 유학, 교토 도시샤(同志社)중학교 보통부, 교토 관립 제3고등학교를 거쳐 1922년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법률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법률학을 연구했다.

1923년 중앙고등보통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같은 해 4월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상과에서 법학을 강의하였다. 조교수, 학감을 거쳐 1934년에 부교장을 맡았다. 특히 체육에 관심이 깊어 그의 주선으로 연희전문학교 주최 전국중학교 체육대회를 매년 개최하기도 하였다.

한편, 1924년 소년운동협회 의연금 모집위원으로 있었고 1927년 신간회 경성지회 간사로도 활동하였으며, 1929년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 정기대회 신임장 조사위원, 1930년 소년척후단 조선총연맹·중앙기독교청년회 등 한때 기독교계열 민족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1929년부터 1942년까지 기독교 관련 서적을 출판·판매하는 조선기독교창문사(朝鮮基督敎彰文社)[4] 이사로 취임했다. 친일로 전향한 직후인 1938년 10월 14일에는 윤치호와 함께 조선기독교청년회 경성대표로서 일본기독교청년회 산하에 가맹하여 일본기독교청년회 조선연합회위원회에 참석했다.

그러던 중 1938년 연희전문학교 부교장 재직 중에 '연희전문학교 적화(赤化) 사건'에 연루되어 자택 수색을 당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흥업구락부(興業俱樂部)와 관련된 문서가 발견되어 비밀결사의 실체가 드러나게 되었다[5]. 이에 경찰은 같은 해 5월 20일부터 유억겸을 비롯해 신흥우·최두선·정춘수 등 54명을 검거하기에 이르렀다. 유억겸은 이 때문에 3개월 간 옥고를 치른 뒤 전향성명서를 발표하고 기소유예로 석방되었다.

직후에 연희전문학교 교수직을 사임하였으며, 1937년부터 변호사업을 시작하였다. 1937년부터 합자회사 천은광업사(天銀鑛業社)에 입사하여 중역으로 근무했고, 1939년부터는 주식회사 남포수산(南圃水産)에서 감사, 이화토지경영(梨花土地經營)에서 이사 등으로 재직하였다재직했다.

한편, 흥업구락부 사건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1939년 7월 사상보국연맹 경성지부 제3분회장에 취임하였고# 1941년 2월 윤치호가 연희전문학교 교장이 되면서 서무부장으로 복직하였다[6]. 그 해 8월 윤치호가 위원장을 맡은 친일 단체 흥아보국단(興亞報國團)에 가입하여 경기도위원이 되었고 임전대책협의회(臨戰對策協議會)에 참여하여 위원으로 있었다. 같은 해 9월 7일에는 박영희 등과 함께 광화문 앞에서 전쟁 채권을 들고 "銃後奉公(총후봉공)은 채권으로부터"라는 구호를 외치며 대중들에게 전쟁 협력을 독려했다. 같은 해 10월 친일 단체 조선임전보국단이 설립되자 이사가 되어 조선신궁참배했다.

1942년에는 친일 잡지 《조광(朝光)》에 戰必勝 功必取(전필승 공필취)라는 태평양전쟁을 옹호하는 논설을 게재했다. 그 밖에 친일 단체 대화숙(大和塾)에서 활동했고, 1943년 학도병 종로익찬회 강연대원, 1945년 6월 조선언론보국회 명예회원 등을 역임하며 8.15 광복 직전까지도 친일 행적을 드러냈다. 이러한 행적들로 그는 사후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기에 이른다.

1948년 11월 민족정경연구소(民族政經硏究所)에서 간행한 《친일파군상(親日派群像)》에서는 유억겸을 김성수와 함께 거론하면서, '피동적으로 끌려서 활동하는 체한 자'면서 '경찰의 박해를 면하고 신변의 안전 또는 지위, 사업 등의 유지를 위하여 부득이 끌려 다닌 자'로 분류하였다.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1945년 10월 연희전문학교의 제5대 교장에 취임하여 학교의 기틀을 마련하고 이어 기독교청년회 회장을 지냈다. 1946년에는 미군정의 문교부장(지금의 교육부장관)에 취임하였다. 당시 문교차장 오천석이 제안한 국대안을 실현시키는 등 대한민국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작업을 하였다. 또한 1927~1947년까지 제8대·12대 대한체육회 회장을 지냈으며, 각종 국제회의에 우리나라 대표로 참석하였다.

1947년 11월 8일 밤 10시 30분에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자택에서 뇌일혈별세했다.

정부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려 1962년 제17회 광복절을 맞아 교육부문의 대한민국장을 수여하였다. 연세대학교에 유억겸기념관이 있다. 묘는 하남시 덕풍동에 있다가 그 지역의 도시개발로 인해 현재는 창우동에 이장되어 있다.

장로회 사회운동가 유각경이 그의 사촌 누나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3:43:13에 나무위키 유억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시조 27세손 '兼'자 항렬.[2] #[3] 이후 폐교되었는데, 당시 위치에 1925년 대동상업고등학교가 개교하여 현재 대동세무고등학교로 역사가 내려오고 있다.[4] 이후 1939년경 창문인쇄(彰文印刷)로 상호명이 변경되었다.[5] 양현혜(대학교수) 저, 《근대 한·일 관계사 속 의 기독교》,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p. 147[6] 1942년 9월 일제의 사립학교 탄압이 가중되자 다시 사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