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여대

덤프버전 :



파일:대통령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파일:B005-C002-0632-01_L1.jp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width=20%> 강기동 ||<width=20%> 구춘선 ||<width=20%> 권동진 ||<width=20%> 권병덕 || 김경천 ||
|| 김동삼 || 김병조 || 김붕준 || 김상옥 || 김성수[A] ||
|| 김완규 || 김익상 || 김지섭 || 김하락 || 나석주 ||
|| 나용환 || 나인협 || 남상덕 || 남자현 || 노백린 ||
|| 린썬 || 문창범 || 문태수 || 민긍호 || 민종식 ||
|| 박열 || 박승환 || 박용만 || 박은식 || 박준승 ||
|| 백용성 || 신규식 || 신돌석 || 신석구 || 신채호 ||
|| 신홍식 || 쑨커 || 쑹자오런 || 안재홍 || 양기탁 ||
|| 양전백 || 양한묵 || E. T. 베델 || 언더우드 || 여운형 ||
|| 여지이 || 연기우 || 오세창 || 오화영 || 유동열 ||
|| 유여대 || 유인석 || 윤기섭 || 우빈 || 이갑성 ||
|| 이동녕 || 이동휘 || 이명룡 || 이범석 || 이범윤 ||
|| 이봉창 || 이상설 || 이상재 || 이승희 || 이위종 ||
|| 이은찬 || 이인영 || 이재명 || 이종일 || 이종훈 ||
|| 이필주 || 임예환 || 장건상 || 장인환 || 전명운 ||
|| 전해산 || 정환직 || 조성환 || 조완구 || 주시경 ||
|| 주자화 || 지청천 || 채상덕 || 천청 || 최석순 ||
|| 최성모 || 탕지야오 || 편강렬 || 홍기조 || 홍범도 ||
|| 홍병기 || 황싱 || 후한민 ||
||<-5> [A] 친일 행적으로 인한 서훈 취소 ||



3.1 운동의 민족대표 33인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9%><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fff><bgcolor=#d60026> 권동진 ||<width=9%><bgcolor=#d60026> 권병덕 ||<width=9%><bgcolor=#ba4160> 길선주 ||<width=9%><bgcolor=#ba4160> 김병조 ||<width=9%><bgcolor=#d60026> 김완규 ||<width=9%><bgcolor=#ba4160> 김창준 ||<width=9%><bgcolor=#d60026> 나용환 ||<width=9%><bgcolor=#d60026> 나인협 ||<width=9%><bgcolor=#ba4160> 박동완 ||<width=9%><bgcolor=#ba4160> 박희도(日) ||<width=9%><bgcolor=#ff8c00> 백용성 ||
||<bgcolor=#d60026> 박준승 ||<bgcolor=#d60026> 손병희 ||<bgcolor=#ba4160> 신석구 ||<bgcolor=#ba4160> 신홍식 ||<bgcolor=#ba4160> 양전백 ||<bgcolor=#d60026> 양한묵 ||<bgcolor=#d60026> 오세창 ||<bgcolor=#ba4160> 오화영 ||<bgcolor=#ba4160> 유여대 ||<bgcolor=#ba4160> 이갑성 ||<bgcolor=#ba4160> 이명룡 ||
||<bgcolor=#ba4160> 이승훈 ||<bgcolor=#d60026> 이종일 ||<bgcolor=#d60026> 이종훈 ||<bgcolor=#ba4160> 이필주 ||<bgcolor=#d60026> 임예환 ||<bgcolor=#ba4160> 정춘수(日) ||<bgcolor=#d60026> 최린(日) ||<bgcolor=#ba4160> 최성모 ||<bgcolor=#ff8c00> 한용운 ||<bgcolor=#d60026> 홍기조 ||<bgcolor=#d60026> 홍병기 ||
||<-11> ※ 친일반민족행위자 관련 인물은 (日)로 표기.
||





파일:劉如大.jpg


낙포(樂圃)
본관
강릉 유씨
출생
1878년 11월 26일
평안도 의주부 주내면 서호동
(현 평안북도 의주군 서호리)[1]
사망
1937년 1월 13일 (향년 60세)
평안북도 의주군
묘소
평안북도 의주군 고성묘지
직업
독립운동가, 목사
국적
조선대한제국일제강점기
종교
개신교(장로회)
상훈
건국훈장 대통령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한국의 독립운동가, 장로회 목사.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1878년 평안북도 의주군에서 태어난 유여대는 서당에서 한문을 배우면서 어른이 되면서 직접 서당을 운영하였다. 서당을 운영하고 있다 1898년에 미국에서 북장로회 선교사 휘트모어를 만나서 세례를 받고, 의주최초의 근대적 학교 일산학교를 설립하였다. 그후의 의신소학교, 양실학원을 세우고 통합. 양실학원으로 통합하였다. 이후 의주동교회에서 담임목사일을 하다 1919년 이승훈에게서 서울에서 천교도단들의 독립운동을 하자고 제안을하여 양전백,김병조,이명룡과 함께 독립운동의 동참을 약속하였다. 그후의

기미독립선언서를 발표한다는 소식을 듣고난뒤 의주에서도 우리도 같은날에 독립선언서를 가져보자 하여 준비하였다. 하지만 독립선언서가 의주까지 가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서 도착시간이 2월 28일 밤까지이지만 도착하지 않자 2.8독립선언서를 인쇄를 하였다.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자신의 이름을 쓴기미독립선언서가 발표되고 3.1운동이 시작되었지만 가지않고 자신이 있는 의주에서 만세시위를 직접하였다. 이때 만세시위를 할때 드디어 기미독립선언서도 도착하여 낭독하고 그후에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그후에 일본경찰에 당일날 체포당하고 2년의 옥살이를 하게되었다. 이후에는 목사일을 하여 활동하다가 1937년 향년 6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23:29:37에 나무위키 유여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