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태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놀면 뭐하니? 속 유재석의 부캐에 대한 내용은 유인태(놀면 뭐하니?) 문서
유인태(놀면 뭐하니?)번 문단을
유인태(놀면 뭐하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도봉구 갑)
제13대
신오철

제14대
유인태


제15-17대
김근태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도봉구 을)
제15-16대
설훈

제17대
유인태


제18대
김선동
제18대
김선동

제19대
유인태


제20대
김선동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행정자치위원장
제17대 전반기
이용희

제17대 후반기
유인태


제18대 전반기
조진형





대한민국 제32대 국회사무총장
유인태
柳寅泰 | Ryu In-tae

출생
1948년 9월 5일 (75세)
충청북도 제천군
(현 충청북도 제천시)
본관
문화 류씨
현직
사단법인 민주화추진협의회 자문위원
재임기간
참여정부 초대 정무수석비서관
2003년 2월 25일 ~ 2004년 2월 13일
제32대 국회사무총장 (장관급)
2018년 7월 16일 ~ 2020년 6월 28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
이혜경
자녀
장남 유동렬, 차남 유웅렬
학력
서울혜화국민학교 (졸업)
경기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 63회)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사회학 / 학사)
병역
면제 (수형)
소속 정당

의원 선수
3
의원 대수
14, 17, 19
약력
한겨레민주당 노원구 갑 지구당위원장
제14대 국회의원 (서울 도봉구 갑 / 민주당)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참여정부)
열린우리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제17대 국회의원 (서울 도봉구 을 / 열린우리당)
제17대 국회 후반기 행정자치위원회 위원장
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
통합민주당 최고위원
제19대 국회의원 (서울 도봉구 을 / 민주통합당)
새정치민주연합 당무위원 겸 인재영입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전임고문 겸 당무위원
제32대 국회사무총장 (문희상 의장)
제21대 국회 국민통합위원회 정치분과위원장

1. 개요
2. 생애
2.1. 정계 활동
3. 기타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이자 제32대 국회사무총장.


2. 생애[편집]


1948년 충청북도 제천군(현 제천시)에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였다.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모진 고문을 받고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국제적인 압력으로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이후 4년 5개월 동안 복역하였다가 1978년 석방되었다. 석방 뒤 기업체를 경영하였다.


2.1. 정계 활동[편집]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겨레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노원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통일민주당 백남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국회의원민주자유당 신오철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95년 김대중이 정계 복귀하여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할 때 김대중을 따라가지 않았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정치국민회의 설훈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 노무현, 원혜영, 김원기 등과 국민통합추진회의 결성에 참여하였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였다가 공천에서 배제되는 푸대접을 받자 국민회의를 탈당 한나라당에 입당했다. 그리고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도봉구 을 한나라당 공천자가 되었다는 뉴스가 있었으나[1] 결국 출마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이후 새천년민주당으로 복당한다.[2]

2002년 재보궐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박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을 역임하였다. 이때 튀는 언행으로 "엽기수석"이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3]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김선동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컷오프 대상에 포함되었는데, 순순히 승복하고 불출마 선언을 했다. 승복 인터뷰에서 물러나야 할 때를 아는 것이 삶의 소중한 가치라고 생각했으며, 그 동안 당이 어려워서 물러나지 못했다는 변을 밝혔는데, 사실상 정계 은퇴 선언으로 봐도 무방할 듯.

정계은퇴 후로는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에서 정치 평론을 하고 있는데, 민주당 출신이었으나 민주당에도 따끔하게 지적을 하면서 중립을 지키려고 하는 패널이라는 평이다. 2018년 1월부터는 CBS 뉴스쇼의 꼭지 '월간 아무개'[4]에 고정출연하고 있다.

2018년 고향인 제천시가 포함된 제천시·단양군 선거구의 자유한국당 권석창 전 의원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2018년 재보궐선거 출마설이 나왔으나 본인이 부인했다.[5]

2018년 7월 16일, 문희상국회의장의 제안으로 제32대 국회사무총장으로 취임하였다.

국회 특수활동비의 전면 투명화나 폐지에 반대하는 입장으로, 이러한 입장은 보수정당에 대해 타협적인 태도를 보인 것과 같이 기존의 질서를 옹호하는 입장의 연장선상으로 보인다.#

제21대 국회 개원 이후 2020년 6월 29일, 박병석국회의장의 지명을 받은 김영춘 국회사무총장 후보자 임명 동의안이 가결되면서 퇴임해 원소속이었던 더불어민주당으로 자동 복당하였다.

다가오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김부겸 후보 캠프에 상임고문으로 합류하였다.# 아마 한겨레민주당 창당에 함께했던 인연 때문인 듯 하다.

윤석열 사태에 대해서, 추미애 전 장관과 더불어민주당의 행보가 검찰개혁의 본질을 흐리고 정권에 부담을 줬다고 주장했다. # 유 전 사무총장은 지난 8월에도 추 장관이 아들의 군 복무 관련 논란에서 '소설 쓰시네' 발언을 한 것과 민주당이 상임위를 독식한 것을 우려한 바 있다.#[6]

2021년 재보궐선거가 여당의 대패로 끝나자 다양한 목소리를 듣지 않고 오만에 빠진 당이 강성 지지층만 챙기다가 중도층을 잃고 쪼그라들었기에 대패한 것이며, 박영선과 김영춘도 선거를 피하고 싶었을 것이라고 발언을 했다. 노컷뉴스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김영춘이 본인에게 당헌 고치지 말고 후보 내지 말라고 당에 좀 말해달라고, 그래야 자신이 선거를 피할 수 있다고 부탁했었다고 한다.[7]

2021년 6월에는 대선 출마를 발표한 추미애법무부장관을 놓고 윤석열에게 을 쏴주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

8월 말 민주당이 언론개혁법안 처리를 강행하려는 모습을 보이자 자충수가 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2023년 10월 CBS 라디오에 출연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두고 "가결을 호소하고 기각됐어야 당당하게 나올 텐데 부결을 호소하는 통에 스타일 다 구겼다"며 가결파에 큰절이라도 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강경하게 가결파를 징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계속 내는 정청래 의원에 대해서는 "그런 모자란 애 말 들었으면 당이 어떻게 됐겠냐"고 비판했다.#

3. 기타[편집]


  • 민청학련 사건에 대해서 재심을 청구해서 2012년 2월 7일 무려 38년만에 무죄를 선고받았다. # 그 때문에, 사형제 폐지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 2004년 17대 국회와 2015년 19대 국회에서 모두 사형제 폐지 법안을 제출했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 못했다. 19대 국회에선 유인태 의원의 주도아래 새누리당, 민주당, 정의당 합쳐서 무려 171명이 공동발의했지만 결국 국회 본회의에 상정되지 못하고 회기 종료로 자동폐기되었다. 이후에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사형제 폐지를 주장한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노원 갑

[[한겨레민주당|
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

7,575 (8.39%)
낙선 (5위)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도봉 갑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48,603 (40.88%)
당선 (1위)
초선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도봉 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21,376 (25.91%)
낙선 (3위)

2002
상반기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서울 종로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8,953 (22.18%)
[8]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도봉 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42,564 (47.37%)
당선(1위)
재선
2008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32,777 (45.94%)
낙선 (2위)

201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43,784 (51.06%)
당선 (1위)
3선



5.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한겨레민주당|
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

1988 - 1991
창당
정계 입문

[[무소속|
무소속
]]

1991
정당 해산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991 - 1995
입당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995 - 1997
합당[9]

[[무소속|
무소속
]]

1997
탈당[10]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7 - 1999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99 - 2000
탈당[11]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0
입당

[[무소속|
무소속
]]

2000
탈당[12]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 - 2003
복당

[[무소속|
무소속
]]

2003
탈당[13]

2003 - 2007
창당

2007 - 2008
합당[14]

2008
합당[15]

2008 - 2011
당명 변경

2011 - 2013
합당[16]

2013 - 2014
당명 변경

2014 - 2015
합당[17]

2015 - 2018
당명 변경

2018 - 2020
탈당[18]

2020 - 현재
복당[19]
정계 은퇴


6. 둘러보기[편집]












[1] 2000년 2월 18일 mbc 뉴스데스크[2] 같은 민주당 동지였던 설훈의원의 출마를 부담스러워 했다는 후문.[3] 이 당시 이 지역구 현역이었던 설훈의원은 새천년민주당에 잔류하면서 17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4] 이전에는 민주당계 인사로 정청래가 패널로 나왔었는데 2017년 이후 팟캐스트 쪽으로 넘어갔다.[5] "만일 민주당이 어려운 상황이고 마땅한 인물도 없어서 나라도 나가야 한다면 나가겠지만 지금은 전반적으로 좋은 분위기고 선거에 나올 인물(이후삼)도 엄연히 있는데, "늙은이가 젊은이 자리를 뺏으면 안 된다."는 말로 출마설에 선을 그었다. 그리고 그의 생각대로 되었다.[6] 상임위를 독식할 때야 아무런 제약없이 법안이나 정책을 밀어부칠 수 있었지만, 성과가 나오지 않거나 심각한 비리가 터질 경우 야당 탓을 아예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독이 될 수 있다.[7] 김영춘이 유인태의 후임 국회사무총장이었다.[8] 전임자 정인봉 전 의원직 상실.[9] 개혁신당과 신설 합당.[10]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신한국당-통합민주당 합당 반대)
[11] 공천 불복으로 인한 탈당.[12] 새천년민주당 복당을 위한 탈당.[13]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14]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15] 민주당과 신설 합당.[16]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7]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18] 국회사무총장 임명으로 인한 자동 탈당.[19] 국회사무총장 퇴임으로 인한 자동 복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