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LG U+가 자회사로 두고있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 및 MVNO 사업자에 대한 내용은 LG헬로비전 문서
LG헬로비전번 문단을
LG헬로비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LG U+ 로고 화이트.sv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LG U+
LG 유플러스

파일:LG U+ 로고.svg


기업명
법인명: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문명: LG Uplus Corp.
설립일
1996년 7월 11일 (27주년)
업종명
무선 및 위성 통신업
대표이사
황현식
기업규모
대기업
상장여부
상장기업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2008년 ~ 현재)
종목코드
KS:032640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2 (한강로3가)[1]

네트워크
4세대 LTE-FDD, 5세대 NR-TDD
시장 점유율
이동전화 26.65% 20,832,157명 3위[2] 23년 5월 기준
시내전화 3.88% 485,792명 3위 21년 6월 기준
인터넷전화 36.21% 4,003,864명 1위[3] 21년 6월 기준
초고속 인터넷 20.46% 3위 21년 6월 기준
유료방송 25.16% 2위[4] 20년 하반기 기준
링크
파일:LG U+ 브랜드 로고 (2022).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지배 구조
3. 역대 로고
4. 역대 대표이사
5. 마케팅
5.2. 역대 슬로건
5.3. WHY NOT 캠페인
7. 주요 서비스
7.2. 유쓰
7.3. 유독
8. 상품
9. 계열사
10. 대리점과의 관계
11. 통신 장애
11.2. 2021년 9월 반복적 통신장애
11.3. 2021년 12월 간헐적 통신장애
11.4. 2023년 1월 29일 간헐적 통신장애
11.5. 2023년 2월 4일 간헐적 통신장애
13. 여담
13.1. 통신 장비
13.2. 기업 관련
13.3. 근무 환경 관련
13.4. 서비스 관련
13.5. 제휴카드
13.6. 그 외
14. 관련 문헌




1. 개요[편집]


LG 산하의 통신회사. 유선통신사 LG데이콤,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였던 LG파워콤2010년 1월 1일자로 LG텔레콤에 합병한 뒤 만들어진 회사다.

LG데이콤LG파워콤 이 두 회사가 LG텔레콤에 합병되는 방식으로 통합하였고, 초기에는 '통합LG텔레콤'이라는 명칭을 사용[5]했다. 2010년 5월 13일 새 사명인 LG U+(엘지유플러스)를 발표하였고, 동년 7월 1일자로 공식 개칭하였다.


2. 지배 구조[편집]


2023년 10월 7일 기준.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LG
37.66%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국민연금공단
6.35%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자기주식
1.55%


3. 역대 로고[편집]


분류

파일:LG텔레콤 로고.svg
파일:LG텔레콤_2009-2010_로고.webp
파일:LG U+ 로고(2010-2014).svg
파일:LG U+ 로고.svg
1996 ~ 2009
2009 ~ 2010
2010 ~ 2014
2015 ~ 현재
[1] 원래 서울특별시 중구 소월로2길 30 (남대문로5가)에 있었지만 2015년 4월 6일에 용산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 용산 사옥은 옛 LG데이콤 본사가 있던 곳이다.[2] 알뜰폰 포함[3] LG U+ + LG헬로비전[4] LG U+ IPTV + LG헬로비전[5] 법인명은 그대로 'LG텔레콤'이었으나, 합병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보도자료 등에 사용하는 대외용 명칭을 통합LG텔레콤으로 정했다. 이동통신 브랜드는 통합 이전 LG텔레콤이 사용했던 OZ를 그대로 사용했다.


4. 역대 대표이사[편집]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장호
(1996~1998)
제2대
남용
(1998~2006)
제3대
정일재
(2006~2010)
제4대
이상철
(2010~2015)
제5대
권영수
(2015~2018)
제6대
하현회
(2018~2020)
제7대
황현식
(2021~ )






5. 마케팅[편집]


분류

파일:LG텔레콤 기분좋은변화 로고.svg
파일:OZ(LG U+) 로고.jpg
파일:LG U+ 브랜드 로고 (2010).svg
파일:LG U+ 브랜드 로고 (2022).svg
2005 ~ 2008
2008 ~ 2010
2010 ~ 2022
2022 ~ 현재


5.1. 광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G U+/광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역대 슬로건[편집]


  • 사랑과 사업 (1997)
  • 사랑과 사업의 동반자 (1998 ~ 1999)
  • 사랑을 나누는 새로운 방법 (2000)
  • 처음 사랑 끝까지 (2001 ~ 2004)
  • 당신의 상식에서 배우겠습니다 (2004 ~ 2005)
  • LaLaLa (2005 ~ 2006)
  • 기분좋은변화 (2006 ~ 2009)
  • Beyond Telecom (2010 ~ 2016)
  • Lte는 유플러스가 진리다 (2012)
  • LTE의 진리 (2013)
  • 새로운 날을 만나다 (2015)
  • 늘곁에 있는 것처럼 그마음을 전합니다 (2015 ~ 2016)
  • 고객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2016 ~ )
  • 고객도 LG가족입니다 (2016)
  • 오직 유플러스에서만 (2017 ~ 2018)
  • 사랑더하기 LG U+ (2019 ~ 2020)
  • 일상을 바꿉니다 (2019 ~ )


5.3. WHY NOT 캠페인[편집]


{{{#ffffff

유플러스의
WHY NOT?

일상의 편견을 깨는 과감한 생각과 도전,
고객의 일상에 즐거운 변화를 만들어 가는
LG유플러스만의 실천 캠페인 WHY NOT을 소개합니다.
파일:whynot_slogan.jpg}}}}}}

LG U+의 실천 캠페인

일상의 편견을 깨는 과감한 생각과 도전을 통해, 고객 중심으로 고객이 원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이런 서비스는 WHY NOT?(왜 안돼?)"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면서 경쟁사는 가지 않는 길을 우리가 먼저 과감하게 나아가겠다는 LG U+만의 실천 캠페인이다.


6. 이동통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G U+/이동통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주요 서비스[편집]



7.1. U+멤버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U+멤버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2. 유쓰[편집]


파일:유플유쓰.png

20대 전용 브랜드

하고 싶은게 많은 20대를 위한 LG U+의 20대 전용 브랜드
LG U+ 모바일 고객이라면 누구나 별도 가입이나 조건 없이
매달 20일 유쓰만의 특별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과거 LG텔레콤 시절 전개하던 카이의 정신적 후속으로도 볼 수 있다.

7.3. 유독[편집]


파일:유플유독.jpg

'유독' 필요한 것만 모은 나를 위한 구독 서비스

'유독'은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유튜브 등 OTT부터 요기요, 일리커피, 올리브영 등 배달·여가·쇼핑·뷰티·유아·반려동물까지 31종 가운데 원하는 서비스를 골라 구독 가능한 서비스다.


8. 상품[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LG U+의 휴대폰 요금제에 대한 내용은 LG U+/요금제 문서
LG U+/요금제번 문단을
LG U+/요금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LG U+의 인터넷 상품에 대한 내용은 U+인터넷 문서
U+인터넷번 문단을
U+인터넷#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계열사[편집]




10. 대리점과의 관계[편집]


직영 대리점(유통)이외의 개인 대리점들에 대한 불공정 계약문제로 많은 개인 대리점들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리점은 가입자유치 수수료 및 사용 요율(매달 사용한 요금)을 목적으로 지속적인 투자를 하는데 대부분의 대리점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목표를 세운다. 때문에 받아가야할 돈은 이자까지 물려가며 칼 같이 받아가는데 비해 대리점에 줘야 할 금액에 대해서는 갖은 핑계를 대며 미루거나 안주는 일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피해카페까지 등장하고 있다. 몇년간에 걸친 소송끝에 약 60%인 26억원을 손해배상하라고 나왔는데 그 후의 이야기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기사내용을 보면 2005년경 계약한 대리점이라고 나오며 피해카페의 글을 보면 2007년에 계약했다가 2009년경에 계약해지되었다고 나온다.



11. 통신 장애[편집]



11.1. 2017년 9월 20일 부울경 통신장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2, #.3, #.4, #YTN 뉴스

2017년 9월 20일 5시경부터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에서 통신장애로 인해 이용자들이 통화, 문자, 데이터 네트워크를 아예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많은 불편함을 겪었다. 허나 다른 경상도 지역이나, 수도권에서까지 통신장애가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오로지 와이파이 상태에서만 이용이 가능했으니 사실상 이 시간 동안은 공장초기화가 진행된 공기계 상태와 다름없었던 셈. 18시 08분부터 시작된 통신장애는 19시 40분경 복구되었으며, 아직 모든 사태가 수습이 덜 된 상태인지 유플러스 사측은 홈페이지에 안내문 또는 사과문 조차 없는 상황이다. 더군다나 퇴근시간과 겹쳐서 많은 유플러스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었으며 큰 대란이 발생하였다.

허나 유플러스측의 안일한 대응[6]과 원인파악 불명[7], 많은 사람들에게 동시다발적인 피해를 입힘으로 인하여[8] 결코 지울 수 없는 큰 실책을 남겼으며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애꿎은 고객 서비스 상담원들만 이용객들의 화풀이와 항의전화로 인한 쌍욕을 들어먹고 있다고 한다. 특히 전화로 먹고사는 생업을 하는 택배 기사배달 아르바이트, 화물차 기사 등의 경우 전화가 모두 불통되어 일하는데 큰 지장이 생겼다고 한다. 이 날 부산지방경찰청과 부산소방안전본부는 오후 7시 전후로 전화 통화와 메시지 송수신 등 LG유플러스 서비스가 되지 않는다는 내용으로 500건 이상의 신고가 접수됐다고 전했다.

상담원 연결에만 무려 38분이 걸렸다는 제보도 있다. 허나 이 경우 "전화 불통으로부터 3시간 미만은 보상 규정이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고 한다.

해명도 고작 SNS에 글 하나 떡하니 올려는 것이 끝이며 유플러스 이용자 개개인에게 카톡이나 문자로 사과 메세지 하나 없었으며 홈페이지에 사과문은 뒤늦게나마 올라왔다.

더더욱 심각한건 많은 사람들이 퇴근하는 18시 기준으로 통신장애가 발생하여 불편함과 피해가 최고조에 달한 것으로 보이며, ‘갤럭시 노트8’, ‘V30’, ‘아이폰 X’, ‘아이폰 8’ 등 하반기 프리미엄스마트폰들이 속속 등장하며 이용자들의 대거 번호이동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번호이동이 2년 주기로 이뤄지는 것을 고려할 때 이 날 서비스장애는 향후 2년간의 LG유플러스의 매출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된다.

고객님 안녕하세요,

우선 금일 (9/20) LG유플러스 통신 장애로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오늘 저녁 시간에 부산광역시, 경상남도울산광역시 지역에 음성데이터 장애가 발생하였습니다.

장애원인은 과부하로 추정되며 자세한 원인은 파악 중에 있습니다.

해당 지역 고객 여러분께 불편을 드린 점 깊이 사과드리며, 향후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더욱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또한 아주 형식적이고 간결한 사과문이 통신장애 복구 이후 홈페이지에 짤막하게 올라왔다. 허나 홈페이지 화면에 배너 형식으로 바로 창으로 뜨는 것이 아닌 고객지원▶공지사항 항목으로 직접 들어가서 확인하는 방식이라 큰 논란이 일었으며[9] 정작 중요한 보상에 관한 내용은 단 한 줄도 없었기에 불만이 더더욱 극에 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통신장애를 겪은 사람들이 KT와 SKT로 대거 이동했다. LG유플러스의 자폭인 셈.

11.2. 2021년 9월 반복적 통신장애[편집]


2021년 9월 경 디스코드와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 실행 시 통신장애로 클라이언트가 반복적 재실행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일어나 이용자들의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디스코드 갤러리 등에서 LG U+ 이용자들의 하소연 글들이 계속적으로 올라오는 중이며, 컴퓨터 문제가 아닌 통신사 문제였다는 것에 대해 많은 이용자들이 분노하고 있는 상황. 특히 사용자들이 많이 몰릴 시간인 오후 8시 경부터 시작해서 저녁대에 더욱 자주 통신장애가 일어나고 있다.

리그 오브 레전드와 디스코드에서 일어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 LoL 실행 시
    • "로그인 대기열 접속에 실패했습니다. 해당 플랫폼이 점검 중일 수 있습니다." 라는 문구로 시작하는 경고 메시지와 함께 종료 버튼이 나타난다.
    • 친구 목록에 오류가 생겨 일시적으로 친구 목록이 사라진다.
    • 챔피언 픽창에서 강제 닷지가 나거나, 게임 매칭 수락 후 챔피언 픽창으로 넘어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10]
  • 디스코드 실행 시
    • 통화방 연결이 끊기며 디스코드 클라이언트가 문제 시 알려달라는 문구와 함께 재실행을 시도한다. 서버 상태를 클릭해보면 정상적이고 쾌적한 상태를 볼 수 있다.

특히 이 문제는 상담사나 수리 기사가 휴가 중인 추석 연휴에 일어나 더더욱 이용자들의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U+ 고객센터 쪽에서는 이 문제들을 처음 들어보는 상황이며 계속되는 피해 접수 시 연휴가 끝나는 대로 문제 파악을 해보겠다고는 하는 상황.


11.3. 2021년 12월 간헐적 통신장애[편집]


2021년 12월 10일 새벽쯤부터 몇몇 커뮤니티가 잘 안된다는 LG U+ 이용자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12월 11일 정오 기준 하루넘게 어떠한 공지 및 공식기사가 없어 다들 이유도 모른 채 답답해하고 있다. #1 #2 #3 #4 #5 #6


11.4. 2023년 1월 29일 간헐적 통신장애[편집]


2023년 1월 29일 오전 3시, 오전 5~6시, 오후 6시경 통신장애가 일어났다는 LG U+ 이용자들의 글이 올라왔다. #1 #2 #3

회사 내에서는 디도스 공격#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중국쪽은 아니라고 밝혔다.#1 #2 #3 #4 #5 일단은 DNS 서버장애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해당 장애 여파로 아프리카TV에서의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중계가 약 25분간 중단되는 사고가 있었다. #. 고속버스 KOBUS 전산망도 같이 영향을 받아 20분가량 고속버스 전 업무가 마비되었다.

우회(예비) 경로를 통해 회선을 복구했다고 밝혔다. # 정확한 원인은 파악 중이라고 한다.


11.5. 2023년 2월 4일 간헐적 통신장애[편집]


2023년 2월 4일 일부 사용자들에게 빠르면 오후 5시 가량, 늦으면 오후 5시 20분경부터 또 통신 장애가 일어났다. #1 #2 #3 #4 #5 오후 5시 35분경부터 일부 사용자들은 인터넷이 정상적으로 복구되었다.

이후 오후 6시 5분 가량 에서 6시 10분경 전후로 부터 약 15분 동안, 다시 통신 장애가 발생했다.

회사 측은 이번에도 디도스 공격으로 추정하고 있다. #1 #2 #3 #4

2월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회사 측에 기본적인 대응 체계가 미흡하다며 강력 경고했으며 정부 특별조사점검단이 현장 실사에 나섰다. 2월 9일 국회에서 회사 측의 허술한 보안 문제를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1 #2 #3 #4

12.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G U+/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여담[편집]



13.1. 통신 장비[편집]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지역별 이동통신 기지국 제조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Clean Network 인증
Clean Network 미인증
파일:SK텔레콤 로고.svg
파일:KT 로고.svg[[파일:KT 로고 화이트.svg
파일:LG U+ 로고.svg
파일:삼성 워드마크.svg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충청도 일부, 광주광역시, 전라도 일부, 경기도 남부 일부[1], 제주도
파일:에릭슨 로고.svg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도
강원도, 세종특별자치시, 경상도[2]
충청도 일부, 전라도 일부, 강원도 일부
파일:nokia_new_logo.svg
광주광역시, 전라도, 강원도, 제주도
대전광역시[3], 충청도[4], 광주광역시[5] 전라도[6], 제주도[7]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도, 경기도 남부 일부[8]
파일:화웨이 로고.svg
X
X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일부, 강원도 일부, 경기도 북부, 경기도 남부 일부[9]

[ 각주 펼치기 · 접기 ]
[각주]






  • CDMA망[11] 통신 기지국 장비로 노텔 네트웍스삼성전자 장비를 사용했었다. 2021년 6월 30일 서비스 종료.


  •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Clean Network가 인증되지 않은 통신사이다.

13.2. 기업 관련[편집]


  • 2018년 들어서 계속해서 LG U+가 CJ헬로를 인수할 것이라는 소문이 많이 나오고 있었다. 前 LG U+ 권영수 부회장은 CJ헬로 인수를 위해 CJ그룹 측과 협상을 마치고, 공식 발표만을 남겨두고 있었다. 두 기업간의 합병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고, 이 두 기업이 합병되면 SK브로드밴드를 뛰어넘고 KT+KT스카이라이프 다음으로 2위에 올라서게 된다. 2019년 2월 8일, LG U+가 CJ헬로 인수를 확정지었고, 2019년 2월 14일, CJ ENM, LG U+ 양측은 이사회를 열고, LG U+가 CJ헬로를 인수하는 것을 최종 결정하였다. 다만 인수합병 과정에서 MVNO 사업자인 헬로모바일이 쟁점이 되고 있는데,# 공정거래위원회는 SKT가 CJ헬로를 인수한다는 이야기가 나왔을 때도 헬로모바일을 독행기업[12]으로 해석하였으며 이러한 입장은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인수합병 승인 조건으로 헬로모바일을 분리매각하는 것을 제시할 가능이 매우 높다. 다만 현재 알뜰폰 시장이 전체적으로 침체기에 빠져 있는 상황인지라 실제로 분리매각이 이루어질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선이 많았고, 과기부 심의 결과 헬로모바일을 포함한 CJ헬로 전체 인수가 승인되었다.[13] 2019년 12월 24일, CJ헬로 지분 50%를 인수하고 LG헬로비전으로 개명시켰다.


13.3. 근무 환경 관련[편집]


  • 2022년 11월, 비혼을 선택한 직원에게도 결혼 축하금 및 휴가 혜택을 제공한다고 밝혀서 화제가 되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가구 구성이 다양해지고 있고 MZ세대도 늘어나면서 비혼주의자를 위한 복리후생 제도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 기사


13.4. 서비스 관련[편집]


  • 의외로 화웨이 스마트폰과 LG전자 스마트폰 한정으로 추노마크를 포기했다. 다만 LG전자 스마트폰은 같은 LG그룹 산하라 LG 로고가 추노마크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예외적으로 LG 스마트 폴더는 LG텔레콤 시절마냥 LG U+ 로고를 배터리 커버에 넣었으며, LG 로고가 졸지에 3개로 늘어났다. 또한 상단바의 추노마크는 여전히 존재한다. 2018년 이후로 기존 육각형 형태의 U+ SQUARE 로고를 서서히 버리고 텍스트 형태의 LG U+ 로고로 대체하는 중이다.

  • LG U+의 휴대전화 국번은 22xx, 23xx, 24xx, 39xx, 55xx, 56xx, 57xx, 58xx, 75xx, 76xx, 77xx, 79xx, 80xx, 81xx, 82xx, 83xx, 84xx국이다.


13.5. 제휴카드[편집]


  • SK텔레콤KT가 각각 하나카드, 비씨카드에 투자하고 통신 제휴혜택으로 밀어주는 것과 달리 LG U+는 카드사 지분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으며 OK캐쉬백카드로 할인과 적립 둘다 불가능하다. [14] 그나마 가장 가까운 카드사는 LG카드의 후신인 신한카드라고 할 수 있는데, LG카드가 없어진지도 10년이 훨씬 지난 지금은 임직원 카드를 제외하면 남아있는 관계가 거의 없다. 그래서 노골적으로 자사 계열 카드사를 밀어주는 경쟁 통신사들과는 달리 카드사별로 U+ 제휴카드 혜택의 편차가 별로 크지 않다.

  • 최근에는 신한카드보다 KB금융그룹과 친하다. KB금융에서 통합 포인트 플랫폼인 리브메이트를 런칭하면서 LG U+와 제휴하기도 했고, KB국민은행이 만든 MVNO 'KB리브모바일'이 U+망을 사용한다.


13.6. 그 외[편집]


  • 2022년 후반에 MBC 라디오에서 방송하는 잠깐만 캠페인에 협찬한 바 있다.


14. 관련 문헌[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11:17:18에 나무위키 LG U+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6] 사과 문자메세지 미발송, 홈페이지 사과문 미기재 등.[7] 유플러스측에서는 뒤늦게 "많은 이용자들로 인하여 통신망 과부하가 발생하여 잠시 먹통이 되었다"라는 것을 원인으로 보고 해명하였으나 복구 된 시점 이후에 발표한 내용이기에 유플러스 이용자들에게 큰 분노를 사고 있다. 허나 지금까지 잘 되다가 예고도 없이 갑자기 먹통이 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다른 원인이 있었고 그 원인을 유플러스측에서는 부인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8] 만일 자신이 대기업의 중요한 중간관리직이자 간부이며 상대 기업과 중요한 거래계약통화하고 있었을 때 통신장애로 전화가 먹통이 되어 모두 물거품이 되었다고 생각해 보라. 안 봐도 비디오다.[9] 이 때문에 동시다발적인 통신장애임에도 불구하고 이 사과문의 조회수는 3,000건도 채 되지 않는다.[10] 다만 해당 문제는 LoL 클라이언트 쪽 문제도 겹치는 문제이다.[11] CDMA2000 1xRTT, Rev.0/A/B 등 모든 CDMA 네트워크[12] 업계 내에서 독과점을 막는 방패로 인식되는 기업을 의미한다.[13] 알뜰폰 분할매각 대신 케이블 방송(유선방송) 가입자의 IPTV 전환 강요 금지, 통신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의 조건이 달렸다. 이에 헬로비전 인수 이후 FTTx망을 무서운 속도로 깔기 시작했으며, U+ 인터넷의 품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14] KT는 신세계그룹 계열 할인이 있으며 직접사용할수 없지만 언제든지 OK캐쉬백과 바꿀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