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시리즈 발매 정보

덤프버전 :



1. 부스터 팩
1.1. 1~3기 통합 팩
1.2. 4기 팩
1.3. 5기 팩
1.4. 6기 팩
1.5. 7기 팩
1.6. 8기 팩
1.7. 9기 팩
1.7.1. 9기 번외팩
1.8. 10기 팩
1.8.1. 10기 번외팩
1.9. 11기 팩
1.9.1. 11기 번외팩
1.10. 12기 팩
1.10.1. 12기 번외팩
1.11. 한국 미발매
1.11.1. 1기 팩
1.11.2. 2기 팩
1.11.3. 3기 팩
1.12. 표지 모음
2. 기타 부스터 팩
2.1. 번외 확장팩
2.2. 대회 특전팩
3. 스트럭처덱/스타터 덱
3.1.1. 9기 스타터덱
3.1.2. 10기 스타터덱
3.1.3. 한국 미발매
3.2.1. 6기 스트럭처덱
3.2.2. 7기 스트럭처덱
3.2.3. 8기 스트럭처덱
3.2.4. 9기 스트럭처덱
3.2.5. 10기 스트럭처덱
3.2.6. 11기 스트럭처덱
3.2.7. 12기 스트럭처덱
3.2.8. 한국 미발매
4. 그 외


1. 부스터 팩[편집]


부스터 팩 시리즈로 덱 강화

정기적으로 발매되는 부스터 팩 시리즈는, 자신의 덱이나 콤보 아이디어에 새로운 가능성을 불어넣어 줍니다. 새로운 팩이 발매될 때마다 전투는 진화하고, 언제나 신선한 기분으로 플레이를 할 수 있습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공식 룰 북 신 마스터 룰 대응 버전 1.0에서 발췌


※ 한국판 기준, 발행 순서 대로 기재

★ 북미판 월드 프리미어 첫 공개 테마


1.1. 1~3기 통합 팩[편집]


일본판의 1~3기의 해당하는 카드들이지만, 미국의 수록 방식을 따른 한국에서는 이것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나왔다.[1] 따라서 엄밀히는 한국에서는 이 팩들이 1기고 그 뒤 팩들의 기수를 2씩 빼주는게 맞겠지만 세계적으로 같은 기준에서 설명하기 위해 이렇게 표기한다.




이 중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강철의 습격자, 마법의 지배자, 파라오의 사도, 악몽의 미궁의 앞 5개의 부스터 팩들은 한 팩당 1000원에 카드 수 10장으로 발매되었으나 이후의 팩부터는 한 팩당 가격 500원, 카드 수 5장으로 조정되었다. 앞의 5개 부스터 팩들도 재판시엔 후기판과 같은 방식으로 발매. 다만, 한글판 이라는 문구 아래에 가격을 표시해 주었다.

이때 카드군의 이름이 지정된 테마는 다음과 같다.

1.2. 4기 팩[편집]





이때부터 전술의 발전만 빼고 일본판과 동일한 구성으로 나오게 되었다.

얼티밋 레어라는 신규 레어가 도입되었다. 이 레어도는 1박스에 2장이 들어가며, 레어/슈퍼 레어/울트라 레어의 총 28종 중 1장씩 나온다.
울트라 레어의 얼티밋 레어 버전 카드는 봉입률이 매우 괴랄하므로 4기의 얼티밋 레어는 1통에 2장 들어가는 보너스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다.

이 시기에 한국만 예외적으로, 전술의 발전 조기출시사건으로 인해 홀로그래픽 레어도 도입되었다.

여기서 카드군의 이름이 지정된 테마는 다음과 같다.


1.3. 5기 팩[편집]





전술의 발전에서 홀로그래픽 레어가 처음 도입되었다. 또한 글자 코드도 3개에서 4개로 변경되었다.

5기 팩을 통해 데뷔하거나 카드군의 이름이 지정된 테마는 다음과 같다. 애니메이션 출신 카드군은 볼드체 표기.

1.4. 6기 팩[편집]





이 시점부터 유희왕 5D's 오피셜 카드게임으로 변경, 룰도 마스터 룰이 된다.

6기 팩을 통해 데뷔하거나 카드군의 이름이 지정된 테마는 다음과 같다. 애니메이션 출신 카드군은 볼드체 표기.


1.5. 7기 팩[편집]





제너레이션 포스부터 유희왕 ZEXAL 오피셜 카드게임으로 변경, 룰도 엑시즈 소환이 추가된 마스터 룰 2로 바뀌었다. 익스트림 빅토리까지는 5D's의 카드이다.

듀얼리스트의 혁명을 기점으로 카드 레이아웃이 바뀌었다.[2] 더욱 긴 텍스트를 추가하기 위해 텍스트칸이 더 커지고 일러스트와 이름칸도 위쪽으로 조금 올라갔다. 레이아웃 색상이 연해졌으며, 텍스트 칸의 경우에는 가독성을 위해 더욱 밝은 색으로 처리했다. 얼티밋 레어의 레어도 처리가 골드 레어처럼 카드 테두리에까지 확장되었다. 한글판의 경우, ZEXAL 시리즈의 첫 부스터 팩인 제너레이션 포스부터 계약 문제로 카드명 텍스트의 폰트가 변경되었다.[3]

또 일부 예외인 경우도 있지만 대원이 부스터 명칭을 영어 발음대로 쓰는 경우가 생겼다.

7기 팩을 통해 데뷔하거나 카드군의 이름이 지정된 테마는 다음과 같다. 애니메이션 출신 테마는 볼드체 표기.


1.6. 8기 팩[편집]





8기부터 카드 디자인이 일신되었다. 일러스트 박스의 크기와 텍스트 박스의 크기가 소폭 확장되었고, 이 시기부터 텍스트의 분량에 따라 폰트 크기를 조정하여 가독성을 향상시켰다. 다만 폰트 크기 건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중. 일각에서는 중국산 짝퉁 카드, 일명 구울즈 카드를 보는 듯하다는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부터 한글판/일본판에서만 나오는 '월드 프리미어 카드'가 도입되었다.

8기에 데뷔한 테마는 다음과 같다. 애니메이션 출신 카드군은 볼드체 표기.



1.7. 9기 팩[편집]





이 시점부터 공식 명칭이 유희왕 ARC-V 오피셜 카드게임으로 변경되었고, 룰도 펜듈럼 소환이 추가된 마스터 룰 3으로 개정되었다. 또한 9기 시리즈부터는 이전부터 간간히 나오던 듀얼 터미널 후속카드들이 주를 이루면서 제 3의 듀얼 터미널 스토리를 충실하게 이어나가고 있는중이다. 은근 스토리를 바라면서 팩이 빨리 나오기를 바라는 팬들도 많은것 같다. 이때부터 한가지 소환법이 아닌 다양한 소환법을 지원하는 터라 애니메이션 출신 카드들이 울트라 레어를 먹는 비율이 낮아지고 OCG 오리지널 카드들한테 울트라 레어가 많이 배정되었다. 또한 디멘션 오브 카오스까지 나온 팩의 메인 몬스터들은 전원 드래곤족 출신이었다가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의 메인 몬스터는 마법사족으로 나왔다.

이 시점부터 카드 효과를 ①②③과 같은 방식으로 번호를 매겨 구분 지어 표기하기 시작했으며, 초판 한정본임을 표시하는 1st Edition 표기의 위치가 일러스트 박스 좌측 하단에서 카드 고유번호 우측으로 변경되었다. 또 2015년 3월 하순을 기점으로 기수는 그대로지만 효과 및 플레이버 텍스트의 폰트 크기가 원래대로 돌아왔다.

9기부터 한 기수의 정규 부스터팩이 12개로 늘었다. 사실 4기부터 신 애니메이션의 시작-종영 시기와 OCG 부스터팩의 기수가 맞지 않아 GX와 제알은 OCG 기수 중간에 시작되었는데, 9기에 그 갭을 바로잡은 것이다.

OCG 오리지널 스토리로는 듀얼 터미널의 3부가 진행되었고, 추가적으로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부터 룡검사 스토리가 진행되었다.

역대 유희왕 OCG 기수 중 듀얼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기수 중 하나다. 유희왕 카드의 효과는 9기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해도 될 정도로 9기 카드들의 효과는 극심한 파워인플레를 불러 일으켰고 이런 9기의 사기성은 11기의 끝을 달리고 있는 시점에도 여전할 정조다.

9기 팩에서 데뷔한 테마는 다음과 같다. 애니메이션 출신 테마는 볼드체.

부스터 팩
테마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EM, 환주, 초중무사, 룡성, 테라나이트, 섀도르, 피안★, U.A.
넥스트 챌린저스
퍼니멀 / 에지임프 / 데스완구, 클리포트, 분보그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
RR, 인페르노이드
크로스오버 소울즈
세피라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Em, 룡검사, 이그나이트, 아로마, 파괴수★, Kozmo
디멘션 오브 카오스
A BF, 카오스 솔저, 마제스펙터, 그레이돌, 버제스토마[4]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버스터 블레이더 / 파괴검, 다이너미스트, 시라누이
샤이닝 빅토리즈
문라이트, 푸른 눈, 아모르파지
더 다크 일루전
메탈포제, 트라미드, 서브테러★, SPYRAL
인베이전 오브 베놈
사이퍼, 프레데터 플랜츠, 크리스트론, 화합야수
레이징 템피스트
WW, 십이수, 에스프릿
맥시멈 크라이시스
LL, 패왕 / 패왕문, 진룡, 환황룡


1.7.1. 9기 번외팩[편집]





부스터 스페셜 문서 참조.

부스터 스페셜을 통해 데뷔한 덱은 다음과 같다. 애니메이션 등장 테마는 볼드체 표기.


1.8. 10기 팩[편집]





명칭이 유희왕 듀얼몬스터즈[5]로 돌아왔으며 유희왕 VRAINS 로고는 부제로 오른쪽 위에 짤막하게 삽입되어있다. 룰도 링크 소환이 추가된 신 마스터 룰로 변경 되었다.

카드 디자인도 일부 변경되었는데, 카드명 박스의 테두리가 약간 둥그스럼했던 형태에서 각진 형태로 바뀌었으며 슈퍼 레어,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카드들의 경우 속성란과 레벨/랭크 아이콘, P스케일 및 마법/함정 카테고리 아이콘에도 레어 처리가 들어가기 시작했다. 또한 한국판의 경우 이 시기를 기점으로 1st Edition 표기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9기 팩에서 펜듈럼 관련카드가 커버 카드로 대다수 차지된것처럼 10기 팩은 링크 관련카드가 커버 카드로 차지되었다.

다크 네오스톰을 기점으로 한국어판의 가격이 팩당 500원에서 1000원으로 상승했으며, 1박스당 40팩에서 30팩으로 변경되었다. 그래서 부스터박스의 형태도 기존의 기둥에서 일본판과 동일하게 납작한 형태로 변경됐다.

여담으로, 11번째 팩인 이그니션 어썰트를 제외하면 전부 커버 카드가 주인공 또는 라이벌의 카드이다.

성유물 스토리가 진행되었다.

10기 부스터 팩을 통해 데뷔한 테마는 다음과 같다. 애니메이션 출신 테마는 볼드체 표기.



1.8.1. 10기 번외팩[편집]





덱 빌드 팩 문서 참조.

덱 빌드 팩을 통해 새롭게 데뷔한 테마는 다음과 같다.



1.9. 11기 팩[편집]





신작 애니메이션인 유희왕 SEVENS러시 듀얼이라는 OCG와 별개의 게임을 다루게 되면서 SEVENS 애니메이션 출신 카드가 수록되지 않고, 과거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카드들의 추가 지원이 팩 커버를 차지하게 되었다. 또한 팩 커버 이외의 카드가 홀로그래픽 레어로 지정되고 있다.

카드 디자인의 변경은 없지만, 카드 우측 하단의 저작권 표기 문구가 교체되었으며, 얼티밋 레어홀로그래픽 레어의 공정이 바뀌었다.

한국판 한정으로, 이때부터 부스터 박스의 형태가 이전의 사각기둥 형태로 회귀했다. 하지만 가격대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11기 팩은 해당 애니메이션의 주인공 그리고 라이벌이나 스토리상 비중이 큰 주연의 테마가 커버를 차지한다.[6]

팩 이름
애니메이션
커버 카드
원본
홀로그래픽 레어 카드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용마방 기사 가이아
용기사 가이아/어둠의 유우기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
팬텀 레이지
유희왕 ARC-V
아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유토&사카키 유우야[7]
RR-라이즈 팔콘/쿠로사키 슌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블레이징 보텍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암드 드래곤 썬더 LV10
암드 드래곤 LV10/만죠메 쥰
사로스=에레스 쿠르누기아스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
유희왕 ZEXAL
용장합체 드래고닉 호프 레이
CNo.39 유토피아 레이/츠쿠모 유마&아스트랄
다크 어니스트
던 오브 마제스티
유희왕 5D's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슈팅 스타 드래곤/후도 유세이
인공지능 ME-PSY-YA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
유희왕 VRAINS
바렐코드 드래곤
바렐로드 드래곤/코가미 료켄
천옥의 왕
배틀 오브 카오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초마도전사-마스터 오브 카오스
블랙 매지션&카오스 솔저/어둠의 유우기&무토우 유우기[8]
가디언 키메라
디멘션 포스
유희왕 ARC-V
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사카키 유우야
사이코 엔드 퍼니셔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네오스 윙맨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유우키 쥬다이
쿠리카라천동
다크윙 블래스트
유희왕 5D's
블랙 페더 어썰트 드래곤
블랙 페더 드래곤/크로우 호건
세해룡 질란티스
포톤 하이퍼노바
유희왕 ZEXAL
CNo.62 네오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텐조 카이토
수관의 갑제 베어그램
사이버스톰 액세스
유희왕 VRAINS
파이어월 드래곤 싱귤래리티
파이어월 드래곤/후지키 유사쿠
도황-츠무하쿠츠나기

10기의 OCG 스토리라인이었던 성유물 시리즈가 완결되고, 알버스의 낙윤을 주역으로 하는 낙인 시리즈가 진행되었다. 배틀 오브 카오스부터는 비서스=스타프로스트를 주역으로 신세괴(뉴 클리어 월드)에서 펼쳐지는 시리즈도 등장한다.

드래곤족 몬스터가 팩 커버 카드가 되는 비중[9]이 높으며[10], 바람 속성을 포함하는 테마가 본격적인 지원을 받거나 새로 등장했다.[11]

11기 팩을 통해 데뷔하거나 카드군의 이름이 지정된 테마는 다음과 같다.




1.9.1. 11기 번외팩[편집]


덱 빌드 팩/11기

[ 펼치기 · 접기 ]




11기에도 덱 빌드 팩이 발매되었다. 덱 빌드 팩 문서 참조.

11기 덱 빌드 팩을 통해 데뷔한 테마는 다음과 같다.


1.10. 12기 팩[편집]


유희왕 정발판 부스터 일람/12기

[ 펼치기 · 접기 ]

파일:듀얼리스트 넥서스 일판.png
DUELIST NEXUS

듀얼리스트 넥서스
(DUNE)
]]
background-image"
파일: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일판.webp
AGE OF OVERLORD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AGOV)]]
background-image"
파일:팬텀 나이트메어 일판.jpg
PHANTOM NIGHTMARE

팬텀 나이트메어
(PHNI)]]





일단 코나미에선 더 이상 공식적으로 기수를 사용하지 않는다. 11기 시작 후 1년이나 지나서 등장한 팩 던 오브 마제스티부터 "제11기 시리즈 기본 팩"이 아니라 "2021년도 기본 팩" 등 연도별로 표기했기 때문. 그러나 듀얼리스트 넥서스의 방송에서 12기가 공인되었다.

11기에 비해 일부 효과 텍스트가 변경되었다.
  • 비대상 지정 효과에서 "고르고"라는 단어가 사라졌다. 즉 발동 시 특정 카드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면 "고르고"가 없어도 비대상 효과이다.
  • "제외되어 있는 카드"는 "제외 상태의 카드"로 바뀌었다.[12]
  • 효과 발동에 따르는 맹세 효과나 체인 불가 효과는 효과 외 텍스트에서 해당 효과의 발동 조건 후 괄호로 쓰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묘지 효과의 마지막에 붙는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라는 텍스트가, 해당 효과의 발동 조건 앞에 "이 턴에 묘지로 보내져 있지 않은"을 추가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일본어판 한정으로 "링크"를 "L"로 축약시켰다.[13]

12기도 11기에 이어 현직 애니메이션은 러시 듀얼로 나오고 과거 애니메이션의 주인공 등 주연의 테마가 커버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1기와 다르게 커버 카드가 그 팩의 홀로그래픽 레어도 차지하게 된다.

팩 이름
애니메이션
커버 카드
원본
듀얼리스트 넥서스
유희왕 5D's
코즈믹 퀘이사 드래곤
슈팅 퀘이사 드래곤&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후도 유세이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유희왕 ARC-V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
패왕룡 즈아크/즈아크
팬텀 나이트메어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유벨/유우키 쥬다이[14]&유벨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파괴룡 간드라G
파괴룡 간드라/무토우 유우기

지금까지 나온 커버 카드들은 모두 최종 보스 전에서 나온 주인공 및 최종 보스의 카드들의 리메이크다.[15] 이 점을 봐서 12기의 컨셉은 각 시리즈의 주인공과 최종보스의 에이스 카드의 리메이크로 잡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유희왕의 클리셰였던 "또다른 자신"과 화해, 성장한 IF가 모티브가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16]

추가적으로, 애니메이션 크로니클의 구성이 재록으로 컨셉이 바뀌게 되면서, 메인 부스터 팩에 애니크로에 수록되었던 테마의 카드가 추가적으로 OCG화되기도 한다.[17]

11기의 OCG 스토리라인이었던 낙인 시리즈가 일단은 완결되고, 11기 디멘션 포스에서 시작되었던 뉴 클리어 월드/스토리가 계속 진행된다. 추가적으로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부터 흑마녀 디아벨스타를 주인공으로 하는 새로운 스토리가 연재된다.

12기 팩에서 데뷔한 테마 중 공식 카테고리에 등록된 테마들은 다음과 같다. 볼드체는 애니메이션+코믹스 출신.


1.10.1. 12기 번외팩[편집]





1.11. 한국 미발매[편집]



1.11.1. 1기 팩[편집]




1.11.2. 2기 팩[편집]


이하는 전부 국내, 북미 발매시 두 개씩 통합되었다.


1.11.3. 3기 팩[편집]




1.12. 표지 모음[편집]


파일:external/images.wikia.com/Pack_color_pattern.png

보면 알겠지만 초록-노랑-빨강-주황-파랑-보라-검정-하양순으로 부스터팩 색깔이 계속 바뀌고 있다.[18]

라이벌들의 에이스 몬스터들은 푸른 눈의 백룡부터 시리즈가 갱신될 때마다 한 번 이상 표지 모델을 장식했다.[19] 그런데 의외로 주인공의 에이스인 블랙 매지션,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No.39 유토피아는 표지 모델을 장식 못했다.

4기 이전 부스터팩에는 갈색 부스터팩도 있었으나[20] 삭제됐다.

또한, 4기 이전의 팩의 초록색 팩에는 지배자라는 이름이 들어갔으나, 그 이후 팩에서는 듀얼리스트라는 이름이 들어간다.


2. 기타 부스터 팩[편집]



2.1. 번외 확장팩[편집]








2.2. 대회 특전팩[편집]




3. 스트럭처덱/스타터 덱[편집]


※ 한국판 기준, 발행 순서 대로 기재


3.1. 스타터 덱[편집]




3.1.1. 9기 스타터덱[편집]




3.1.2. 10기 스타터덱[편집]




3.1.3. 한국 미발매[편집]




3.2. 스트럭처 덱[편집]




3.2.1. 6기 스트럭처덱[편집]




3.2.2. 7기 스트럭처덱[편집]




3.2.3. 8기 스트럭처덱[편집]




3.2.4. 9기 스트럭처덱[편집]




3.2.5. 10기 스트럭처덱[편집]




3.2.6. 11기 스트럭처덱[편집]




3.2.7. 12기 스트럭처덱[편집]



3.2.8. 한국 미발매[편집]


암흑의 주술은 미국에서도 발매되지 않았다. 위의 이름들은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사용된 현 시점에서 가장 공식에 가까운 명칭.


4. 그 외[편집]


유희왕 듀얼링크스/듀얼 월드/상점,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시리즈 발매 정보/기타 카드 일람,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 유희왕 마스터 듀얼/샵 참고.

[1] 일본판 팩 발매 정보는 여기를 참조[2] 유희왕 5D's는 카드 레이아웃 변경 이후로도 최종화까지 변경 전 레이아웃을 사용하였다.[3] 'ㅊ'나 'ㅎ'을 보면 확실히 차이를 느낄 수가 있다.[4] 한글판 월드 프리미어 테마로, 데뷔는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에서 했으나, 이 팩에서 테마군으로 지정됐다.[5] 정확히는 '유희왕OCG 듀얼몬스터즈'[6] 흔히 말하는 주연 3인방[7] 사용자의 소멸과 동시에 유우야의 카드가 되었다.[8] 본편 이후 극장판에서 사용한다.[9]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와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는 전사족, 배틀 오브 카오스는 마법사족, 사이버스톰 액세스는 사이버스족.[10]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의 커버 몬스터 "용장합체 드래고닉 호프 레이"의 카드명에도 드래고닉이란 명칭이 포함되어 있긴 하고, 사이버스톰 액세스의 커버 몬스터인 "파이어월 드래곤 싱귤래리티"는 이름도 그렇고 사이버스족이긴 하나 외형은 그냥 드래곤이다.[11] 용마방 기사 가이아(P/W), 용기사 가이아(W) / 아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P), 전뇌계(W) / 암드 드래곤 썬더 LV10(P/W), WW(W) /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P/W), 스타더스트(W) / 바렐코드 드래곤(P), 후완다리즈(W) / 시무르그(W) / 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P), 사운드 워리어(W).[12] 그래서 11기에서 "자신 묘지의 카드 및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카드"로 써야 할 텍스트가 12기에서는 그냥 "자신 묘지/제외 상태의 카드"로 깔끔하게 적는게 가능해졌다.[13] 11기 기준 싱크로, 엑시즈, 펜듈럼은 각각 S, X, P에 루비를 붙이는 식이었지만 링크는 또박또박 リンク로 썼다. 근제 12기부터는 일본판에서 "L소환", "L몬스터"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4] 어린 시절 페이버릿 카드로 사용되었고, 소환 대사를 보면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카드로 보인다.[15] 다만 팬텀 나이트메어의 커버는 GX 작품 전체의 최종 보스인 다크니스가 아닌 이차원편의 최종 보스인 유벨이 선택되었다. 다크니스가 GX의 최종 보스이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카드가 미 OCG화 상태이고, 스토리상도 유벨만큼의 임팩트를 주지 못했기에 유벨이 대신 나온 것으로 보인다.[16] 실제로 아크파이브의 유야는 즈아크와 한번도 듀얼을 한적이 없다.[17] 듀얼리스트 넥서스에선 암흑회랑이,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선 파이어 백지박계례 지오그렘리나, 풀 아머드 엑시즈. 팬텀 나이트메어에선 어둠의 수호신-다크 가디언, 다크 엘리멘트, 지박융합 [18] 9기에는 하양 뒤에 짙은 청색-짙은 녹색-짙은 적색-짙은 황색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10기에서는 보라색 다음인 검정색 대신에 하양색이 나와서 이 법칙은 깨졌다.[19] 레드 데몬즈 드래곤은 레드 데몬즈 자체는 없지만 강화형인 레드 데몬즈 드래곤/버스터세이비어 데먼 드래곤이 있다.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는 조건에 따라 레드 데몬즈 드래곤으로 취급하는 카드지만 사용자가 등장 애니메이션의 라이벌이 아니라 제외. 9기에는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이 부스터 표지에 없어서 깨졌다. 바렐로드 드래곤은 있다.[20] 왕가의 수호자, 파라오의 유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0:15:30에 나무위키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시리즈 발매 정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