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니다

덤프버전 :



1. 개요
2. 설명
3. 활용례
3.1. 개정 후
4. 개정 및 이유
5. 발음
6. 매체
7. 비하적 의미
9. 기타


1. 개요[편집]


하십시오체의 옛 어미.


2. 설명[편집]


1988년 한글 맞춤법 시행 전인 1989년 2월까지는 이것이 정확한 표기였고, 흔히 말하는 국민학교 세대 사이에서도 읍니다체 마지막 시절인 1988년에 국민학교에서 국어를 배운 사람들은[1] 이것을 정확한 표현으로 배웠다.[2] 1933년 맞춤법 통일안 제정 이후의 표기법은 모음 뒤와 'ㄹ' 받침 뒤에는 '-ㅂ니다'를[예1], 'ㄹ'과 'ㅆ', 'ㅄ'이 아닌 받침 뒤에는 '-습니다'를[예2], 'ㅆ', 'ㅄ' 받침 뒤에는 '-읍니다'를[예3] 사용하는 것으로 확립되었는데, 이러한 표기법이 생긴 까닭은 /ㅆ/를 /ㅅ/와 /ㅅ/의 합으로, 곧 쌍자음도 자음군으로 여기고 연음을 적용했기 때문으로서 이 표기의 연원은 종래에 '오빠' 등을 '옵바'처럼 적은 등과 '잇습니다'와 '업습니다'처럼 쓰던 종래의 표현을 각각 '잇습니다(잇다)'와 '있읍니다(있다)'로, '업습니다(업다)'와 '없읍니다(없다)'로 나눈 등으로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읍니까'도 있었다.


3. 활용례[편집]


파일:attachment/요금소/seoul.jpg

잘 오셨읍니다. 여기서부터 서울입니다[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C%A1%B0%EB%A6%AC%EB%8F%8C%EB%A6%BC.jpg

는 깡패 입니다
국민의 심판을 받겠읍니다[4]


파일:kbs읍니다.jpg
[5]

신뢰받는 방송이 되겠읍니다[6]

1988년 말까지도 맞춤법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공영방송에서도 '읍니다'를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읍니다'가 자막에 표기된 건 1990년대 초 방영 MBC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

파일:external/ph.kyongbuk.co.kr/930784_220672_4710.jpg

언제든지 오시면 열차를 이용할수 있읍니다.[7]


파일:MSX IQ-2000 Tutor scrshot eupnida.png

아이큐 교실은 컴퓨터를 처음 배우는 분들을 위하여

컴퓨터의 기초적인 사용 방법을 설명함으로써,

아이큐 2000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읍니다[8]


공동번역성서 구판은 신약이 1971년에, 구약이 1977년에 나온 관계로 전부 다 '-읍니다'체를 사용하였으나, 1999년 개정판이 났을 때 현행 맞춤법에 맞게 수정되었다.

1980년 김재규가 항소했을 때 쓴 항소이유 보충서에도 이 문체가 많다.


3.1. 개정 후[편집]


현기차 버스에 출입문 비상용 밸브 경고문 하단에 "비상시 또는 정비시 비상밸브의 레버를 화살표 방향으로 돌리면 도어를 손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라는 경고 문구가 있는데(천장의 환기통을 여닫는 경고문에도 '읍니다'로 표기되어서 나온다.), 이는 고쳐지지 않고 '읍니다'로 표기되어서 나온다. 아이러니하게도 차내의 원형 거울의 경고 문구나(도시형 버스 한정) 차내 몇몇 경고 문구는 '-습니다'로 제대로 표기되어서 나온다.

1994년에 처음으로 출시되어 1998년 초까지 생산된 금영엔터테인먼트뮤직파트너 9000시리즈, 코러스 88/99시리즈 반주기에서 없는 곡을 선곡하면 "선곡하신 곡이 없읍니다."로 나온다.

2019년 OB맥주 뉴트로 한정판이 나온 시기에 '돌아왔읍니다'가 적힌 포스터가 나오기도 했다.

위의 비하적 의미로 사용하는 것 밖에도 가끔식 일부러 인터넷에서 '-읍니다'를 사용하는 네티즌이 있는데, '-읍니다'를 모르는 저연령층, 또는 '-읍니다' 세대가 아닌 유저들이 뭣도 모르고 맞춤법을 어긋났다며 이를 지적하다가 조롱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4. 개정 및 이유[편집]


<병서> 문서에도 있는 내용으로서 글자 모양 때문에 헷갈릴 수 있지만 쌍자음 /ㅆ/는 앞 음절의 종성 /ㅅ/와 뒤 음절의 초성 /ㅅ/로[9] 발음하는 자음군이 아니고 앞 음절의 종성 /ㅅ/과 뒤 음절의 초성 /ㅅ/로 쪼갤 수 없는 된소리 단일 자음이다. 곧, 두 음가 /s/+/s/가 아닌 단일 음가 /s͈/이고,[10] '있읍니다'의 발음은 [읻씀니다]가 아닌 [이씀니다]이다. 이는 다른 쌍자음 /ㄲ, ㄸ, ㅃ, ㅉ/도 마찬가지.[11]

//는 /ㅆ/와 달리 앞 음절 /ㅂ/과 뒤 음절의 초성 /ㅅ/로[12] 발음하는 자음군이지만 어떻거나 자음이므로 '넓습니다'와 '끓습니다'처럼 자음 뒤에 오는 '-습니다' 앞에서 자음군이 단순화되는 것으로 본다.

쌍자음의 형태도 그렇고, 현대 맞춤법 기준으로 자음군은 초성 자리에 쓸 수 없으니 쌍자음은 초성 자리에서는 된소리 단일 자음이 되고 종성 자리에서는 자음군이 되는 것으로 인정할 수도 있었지만 사실, 선어말 어미이자 '-습니다'의 본말인 '-사옵니다'는 '-ㅅ' 뒤에 쓴 때도 '-아옵니다'로 안 바꾸고, 그러니까 '있아옵니다', '없아옵니다'처럼 안 쓰고 처음부터 '있사옵니다', '없사옵니다'처럼 쓰고 있었으니, 곧 자음군 단순화를 처음부터 인정한 셈이니 유독 '-습니다'의 이형태인 '-읍니다'만 인정할 이유는 그다지 없었다.

'-읍니다'와 '-습니다'의 구별 및 '-읍니까'와 '-습니까'의 구별이 인위적이라는 이유로 용언 어간이 'ㄹ'이 아닌 자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는 모두 '-습니다'/'-습니까'를 붙이는 것으로 정리하여 자음으로 끝난 어간 '먹-', '잡-' 뒤에 '-습니다'/'-습니까'를 쓰듯이 '있-'과 '없-', '--' 뒤에도 '-습니다'/'-습니까'를 붙인다(모음 뒤와 'ㄹ' 뒤에는 그대로 '-ㅂ니다'/'-ㅂ니까'를 쓴다).


5. 발음[편집]


'-습니다'로 바뀐 뒤, '-읍니다'로 쓰인 문구를 읽을 때 표기가 다름을 강조하고자 앞 음절과 연음하지 않고 약간 휴지를 두며 끊어서 읽는 일이 많다. 예를 들면, '났읍니다'는 [낟 음니다]로.

'있습니다'의 발음은 /있습니다/→/읻습니다/(평파열음화)→/읻씁니다/(경음화)→[읻씀니다](비음화)가 되고, '없습니다'의 발음은 /없ː습니다/→/업ː습니다/(자음군 단순화)→/업ː씁니다/(경음화)→[업ː씀니다](비음화)가 된다. 다만 실제로는 억지로 [ㄷ] 받침을 말하지 않고 [이씀니다]로 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곧, 해당 옛 맞춤법이 발음으로는 남아 있는 것.

'-읍니다' 문제의 별개로 '종성 [ㄷ] + 초성 [ㅆ]'가 성립하는지에는 논란이 다소 있다. [읻씀니다]를 국제음성기호로 옮기면 [i'''t̚.s͈'''ɯm.ȵi.dɐ]가 될 텐데, 한국어에는 (북부 일부 방언권을 제외하면) 음운적으로든 음성적으로든 [t̚.s͈]와 같은 음은 없기 때문이다.[13] 또,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 'ㄷ+ㅅ'을 'ts'로 적어도 다른 음과 혼동 가능성이 없는데도 'ss'로 적는다. 따라서 음절의 끝소리이면 일반적으로는 [ㄷ]로 불파음화되나 'ㅅ[ㅆ]' 앞에서만은 [ㄷ]이 발음되지 않고 ㅅ을 된소리로 만든 후 [ㄷ]이 탈락하는 것이다. 즉, 있습니다[읻씁니다→이씁니다→이씀니다]. 개정 전 표기인 '있읍니다'를 대부분 끊어서 말하는 이유는 '있습니다', '있읍니다' 둘 다 [이씁니다]로 똑같은 발음을 해서로 볼 수 있다.

표준 발음법에서는 '음절 종성 [ㄷ] + 음절 초성 [ㅆ]'의 성립과 관련하여 모호한 입장을 두고 있다. 제23항에서 '낯설다'를 [낟썰다]로 적어 두었지만, 제12항에서 '닿소'는 [다쏘]로 적어 두었다. 어말 자음이 /ㅊ/든 /ㅎ/든 종성 위치에서 [ㄷ]로 평폐쇄음화되는 것은 분명한데, '낯설다'에는 이를 인정하여 [낟썰다]로 두었지만, '닿소'에는 [닫쏘]가 아닌 그냥 [다쏘]로 두었다.[14][15] 같은 이유로서 '놓소'는 [노쏘]가 된다. 실제 발음을 고려해 받침 [ㄷ] + /ㅅ/은 /ㅎ/ + /ㅅ/과 같이 [ㄷㅆ]이 아닌 [ㅆ]가 된다고 따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낯설다[나썰다], 닿소리[다쏘리]).


6. 매체[편집]


  • 거침없이 하이킥: 6화에서는 이순재에게 결제 문자가 전송된 때에 '-읍니다'라는 표현으로 끝났다.
  • 몽중저택: 1960년대에 적힌 메이드의 일기에 '-읍니다'가 쓰여 있다.
  • 어이쿠! 왕자님 ~호감가는 모양새~: 등장인물인 맨슨원본인 사람같이 '읍니다'로 발음했다.
  • 응답하라 1988: 12화에서도 성선우성진주에게 글씨를 가르치다가 TV에서 맞춤법이 개정되었다는 내용의 뉴스를 듣고는 '-읍니다'가 아니고 '-습니다'가 바르다며 고쳐주는 내용이 있다.[16]
  • 전자오락수호대: 고전게임의 분위기를 살리고자 '-읍니다'를 사용했다. 사악한 흑룡이 있었다.

  • 더티페어 시리즈: TVA 오프닝 테마 영상에서 ロ・ロ・ロ・ロシアン・ルーレット 마지막 화면을 살펴보면 '모든 문제를 해결하겠'읍'니다.’라고 화면에 표시된다.

7. 비하적 의미[편집]


2010년대 이후의 인터넷상에서는 '-습니다'에 못 적응한 아재, 노인들을 비꼬는 단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인터넷에 서툰 중장년, 노인층들이 상대적으로 익명성이 중요시되는 환경에도 못 적응하고 인터넷에서도 현실에서처럼 자신의 의견 등을 강요하거나 나이를 강조하는 등 티를 팍팍 내고 꼰대질을 하는 일이 있는데, 이러는 사람들을 비꼬는 뜻으로 '-읍니다'를 쓰기 시작한 것. 국민학교때 읍니다체를 마지막으로 배운 1981년생까지는 흔한 풍경이지만 맞춤법이 개정된 1989년 이후에 국민학교에 입학한 1982년생부터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1981년생이면 현재 나이가 42살이라, 중년층에 진입했기 때문에 '읍니다'를 쓰면 중장년, 노년 취급받는다.

디시인사이드 말고도 여러 사이트에서 이를 사용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는데, 특히 노인들이 많은 에서는 진짜 고연령 유저들이 쓰는 일도 자주 보이고, 비하적 의미로도 자주 쓰인다.

파일:attachment/앙망하옵니다/ang.jpg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80년대 당시에 미국으로부터의 석방 압박으로 석방 조치되면서 당시에 대통령이던 전두환이 미국의 석방 조치에 대한 독재자로서의 최소한 자존심을 세우기 위해 비공개를 조건으로 하고 받아낸 탄원서에 '-읍니다'를 쓴 것이다.

파일:external/weekly.cnbnews.com/1237a.jpg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07년 대선 후보 시절에 공문서와 방명록에 '-읍니다'를 사용한 바 있어 조롱거리가 된 적이 있다. 게다가 문법적으로도 맞지 않는 부분도 많으며,[17] '이명박' 역시 특유의 필체 탓에 \'어맹뿌\'로 보이게 되었다. 이때는 위의 김대중 대통령의 예와는 달리 이미 모든 출판물, 방송 프로그램 등까지 '-읍니다'가 '-습니다'로 교정된 지 10여 년이 지났으나 교정치 아니한 데다가 문법에도 문제가 많아 지적된 부분이다. 이명박 본인이 2021년에 작성한 편지를 보면 '-읍니다'로 쓰던 습관을 결국 고친 듯하다. #1 #2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어맹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더한 직설적이자 무례한 표현인 "아재, 꼬추 서요?"도 있는데, 2010년 이후로는 '-읍니다'보다 이 표현이 더 널리 쓰인다. "척추 서요?"도 있는데, 이 경우는 대상 연령층이 높아지는 일이 많다. "할배, 척추 서요?"가 예. 2010년대 중순부터는 틀딱이라는 말이 퍼지면서 이쪽이 자주 쓰였고, 2020년대 초반 들어서는 틀딱의 맨 앞글자만 따서 '틀'이라고만 놀린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가성비 댓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과도교정[편집]


파일:한국에 오게되어 매우 좋읍니다.jpg

한국에 오게되어 매우 좋읍니다[18]

개정 전에는 어미를 무조건 '-읍니다'로 끝내는 게 옳다고 생각했는지 당시 문서에는 '좋읍니다', '많읍니다', '않읍니다' 같은 잘못된 표현도 많이 쓰였다. 옳은 표현은 '좋습니다', '많습니다', '않습니다'. 참고로, '이렇-'은 '이러하-'의 준말이고 '않-'은 '아니하-'의 준말이므로 본딧말대로 적으면 '이렇습니다(이러하-습니다)'와 '않습니다(아니하-습니다)'는 각각 '이러합니다(이러하-ㅂ니다)'와 '아니합니다(아니하-ㅂ니다)'가 되고, 이와 비슷하게 '않는다(아니하-는다)'는 '아니한다(아니하-ㄴ다)'가 된다.[19] 물론 '그는다'와 '디는다'같이 어간이 '느'나 '늘'로 끝난 말은 '그느-' + '-ㄴ다', '디늘-' + '-ㄴ다' 같은 형태이므로 '근다'와 '딘다'가 아니고 '그는다', '디는다'가 옳다.

이 개정건으로 말미암아 '없음'과 '있음'도 '없슴'과 '있슴'으로 바뀐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도 많은 듯하다. 그렇게 따지면 '이음', '업음' 따위도 규칙상으로 '잇슴', '업슴' 따위로 생각해야 된다.

파일:external/archivenew.vop.co.kr/04044107_1_00000.jpg
사랑비: 1970년대 당시 캐릭터를 연기한 윤아가 편지를 쓴 때 '-읍니다'를 사용했다. 언론인들은 고증을 잘 반영했다고 호평했는데, 사실 위의 '됐읍니다'는 맞았지만, '고맙읍니다'는 틀렸다. 당연히 '고맙습니다'가 옳은 표현. 더구나 '고맙다'는 불규칙 활용 형용사이기에 설혹 '-읍니다'가 옳으면 '고마웁니다'로 써야 된다. 유일하게 틀렸다고 지적한 기자와, 극소수의 네티즌만 이상하다고 여겼다.

일부 커뮤니티에서 특정 정치인 사진만 보면 항상 달리는 댓글 가운데 하나도 '그립읍니다'이다. '-습니다'도 쓰이긴 하지만 좀 더 감칠맛을 살리는 원본이 '-읍니다' 이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전자가 권장된다고. 그러나 '그립다'는 상술된 '고맙다'와 같이 불규칙 활용 형용사이기에 '-읍니다' 꼴로 나타낼 때는 '그리웁니다'가 바르다.


9. 기타[편집]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중반 출생자들은 위와 같은 맞춤법 개정을 10~20대 초반에 받아들여 '-읍니다' 형의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지만, 상대적으로 늦은 20대 중후반 때 받아들인 1960년대 초반, 중반 출생자 사이에서는 종종 쓰이며, 1950년대 이전 출생자들은 2019년에도 여전히 '-읍니다' 형의 표현을 꽤 사용하였다. 60년대 이후생이면서 읍니다체를 쓰는 사람은 대체로 인터넷에 익숙지 않은 사람이며, 시행 전인 1986~89년 무렵에는 '-읍니다'와 '-습니다'를 같이 혼용해서 쓰는 일도 많았다.[20] 한국에서 살면 계속적으로 '-습니다'를 보면서 자연스레 바뀌지만, 해외에선 한국어를 볼 일이 비교적으로 적기 때문에 시행 전인 1989년 전에 해외로 이민한 교포들 가운데에도 아직도 '-읍니다'를 쓰는 이들이 꽤 있다.

'그을다', '모으다'같이 어간이 '을'이나 '으'로 끝난 말은 '그을-' + '-ㅂ니다', '모으-' + '-ㅂ니다' 같은 형태이므로 그대로 '그읍니다', '모읍니다'가 옳다. '모습니다'도 아니고 '몹니다'도 아니며, '그을습니다'와 '그을읍니다' 둘 다 아니다. 또한 '그슬다'처럼 어간이 '슬'로 끝난 말은 '그슬-' + '-ㅂ니다' 형태이므로 '급니다'나 '그슬습니다'가 아니고 '그습니다'이다. '녹습니다'의 형태는 '녹- + -습니다'(녹다)와 '녹슬- + -ㅂ니다'(녹슬다) 두 가지인데, 여기에 사물존칭을 붙이면 '녹으십니다'와 '녹스십니다'로 달라지고, 비슷하게 '넘는다'의 형태는 '넘- + -는- +다'(넘다)와 '넘늘- + -ㄴ- + -다'(넘늘다)로서 존칭을 붙이면 '넘으신다'와 '넘느신다'로 달라진다.

북한에서는 소련군정 시기부터 '-습니다'를 사용한다. 즉, 분단된 이래로 북한에서는 '-읍니다'를 사용한 적이 없다.

파일:그대를흔들어놓겠오.jpg
하오체로 쓴 때도 '있오', '없오', '있읍디다', '없읍디다'처럼 적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22:06:21에 나무위키 읍니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88년에 국민학생은 1976년생부터 1981년생까지다.[2] 읍니다체를 배운 마지막 세대인 1981년생은 국민학교 1학년이던 1988년 '바른생활' 시간에 '-읍니다'를 썼으나 맞춤법이 개정된 2학년부터는 '-습니다체로 배웠다고 한다.[예1] '녹습니다'(녹슬다), '모읍니다'(모으다), '배웁니다'(배우다), '웁니다'(울다) 등; 'ㄹ' 받침 뒤에는 매개모음이 안 붙는 것과 비슷하다.[예2] '녹습니다'(녹다), '업습니다'(업다), '잇습니다'(잇다), '끓습니다'(끓다) 등[예3] '녹겠읍니다'(녹겠다), '없읍니다'(없다), '있읍니다'(있다), '했읍니다'(하였다) 등[3]서울요금소로서 경부고속도로 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 자리에 있었다.[4] 혁명재판에서 1961년에 사형을 선고받은 이정재 등이 조리돌림을 당한 때의 모습.[5] 재생하자마자 바로 나온다.[6] 읍니다체의 끝자락 시절인 1988년 11월 16일자 KBS에서 방영된 내용.#[7] 1985년 대구역 모습. 참고로 띄어쓰기가 틀렸다.
'이용할 수'로 적어야 한다.
[8] 대우전자MSX 기종 8비트 컴퓨터 중 한 가지인 IQ-2000에 내장된 튜토리얼 프로그램의 스크린샷.[9] 음운적으로는 /ㅅ/+/ㅅ/, 음성적으로는 [ㄷ\]\(평파열음화)+[ㅆ\]\(경음화).[10] 단일 음가임은 다름없지만 된소리를 다룬 국제음성기호 표기는 아직 통일되지 않아서 /s͈/ 밖에도 학자별로 /s’/, /s˭/, /ˀs/ 등을 사용한다.[11] 상식적으로 '오빠'의 발음은 그냥 [오빠\]일 뿐, [옵빠\]가 아니다.[12] 음운적으로는 /ㅂ/+/ㅅ/, 음성적으로는 [ㅂ\]+[ㅆ\]\(경음화).[13] [t\]가 불파음이 되고 음절 경계가 있긴 하지만 어떻거나 치경 파찰음과 유사한 [t̚.s͈\]가 나야 한다.[14] 물론 앞 음절 종성이 표기상으로 'ㅎ'일 때는 뒤의 /ㅅ/가 된소리로 바뀌고 'ㅎ'은 탈락하지만, 앞 음절 종성이 'ㅎ' 외의 자음이면 /ㅅ/의 경음화는 똑같이 일어나되 앞 음절 종성이 탈락되지 않고 평폐쇄음화를 적용한 [ㄷ\]로 발음되는 것으로 분류할 수는 있다.[15] 평-경-격음이 있는 여타 파열음, 파찰음과 달리 한국어에서 치경 마찰음 'ㅅ' 계열은 평-경음, 즉 /ㅅ/와 /ㅆ/밖에 없으므로 /ㅎ/와 여타 평파열음, 평파찰음이 만났을 때 격음화되는 것과 달리 /ㅅ/는 /ㅎ/와 만나면 경음 [ㅆ\]가 된다는 시각도 있다.[16] 물론 어머니는 진주가 한글을 그대로 그리는 적는 거라고 한다(...).[17] 교정 부호로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날짜를 쓸 때 마침표로 구별하는 때는 끝에도 마침표를 찍어야 옳다. 즉, \'2007. 6. 6.'이 올바른 표기.[18] 88 서울올림픽 당시 한국에 온 각 나라 선수들과 인터뷰한 것이다.[19] 앞 형태소에 받침이 있으면, '-습니다', 없으면 '-ㅂ니다'. 앞 형태소에 받침이 있으면 '-는다', 없으면 '-ㄴ다'.[20] 1985년에 맞춤법 개정이 시작되어 1987년에 발표, 확정이 이뤄졌고, 1988년에 개정 맞춤법이 고지되었으며, 1989년에 시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