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규가 간다

덤프버전 :


파일:attachment/lkkggd.jpg

2006년 방송분 포스터

1. 개요
2. 소개
3. FIFA 월드컵 특집



1. 개요[편집]


이경규가 간다! 간다! 간다!


1996년부터 1999년 2월까지(정규), 그리고 2002년·2006년(특집)에 방영됐던 MBC 일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일요일 일요일 밤에의 꼭지였다. 또한 월드컵 때는 반드시 나오는 단골 특집 프로그램이다.


2. 소개[편집]


1996년 일본 프로야구에 진출한 주니치 드래곤즈 소속 투수 선동열을 찾아가는 것으로 시작했다.

방송 초창기에는 용자짓을 벌인 적도 있었는데, 당시 제1야당인 새정치국민회의 총재였던 김대중 전 대통령과의 깜짝 인터뷰.[1] DJ의 회고에 따르면, 새벽에 부인과 함께 운동하러 대문을 여니 방송국에서 기습와있더란다. 물론 사전 협의는 전혀 없었고, 당시만 해도 기성 정치인의 예능 방송 출연은 대단히 생소한 편이었으며, 당시 PD였던 김영희 PD와 이경규가 함께 벌인 도박에 가까운 행동이었다.[2] 다행히 김대중 총재 및 보좌관들이 협조해 주어 깔끔하게 진행할 수 있었다. 그리고 6년 후인 2002 월드컵 때는 대통령이 되어 잠시 나온다. 이는 김대중 대통령 본인에게도 좋은 영향을 끼쳤는데, 당시만 해도 김대중은 투쟁가, 사상가 등 처절하고 거친 이미지가 강했었다. 그러나 이 방송 출연을 계기로 인간적이고 유머 있는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게 된 것. 이는 1997년 행한 15대 대선에도 좋은 영향을 끼쳤다.

1회의 선동열이나 초창기의 김대중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본래는 역경을 딛고 성공한 연예인이나 사회 저명 인사들을 찾아가서 대담을 나누는 프로그램이었으나 이 때는 시청률이 2%(현재로써는 소수점 수준)을 기록했기에 경쟁 프로그램이자 시청률 40%를 찍었던 KBS2 '슈퍼 선데이'의 꼭지 '금촌댁네 사람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프로그램 성격을 바꾸기로 한다.[3]

공익성이 짙은 코너로 개편된 후 내세운 최초의 테마는 정지선 지키기. 예나 지금이나 대한민국의 일일 교통사고율은 부끄러울 정도로 세계 최고수준이라 국가적 계몽운동이 필요했고, 방송용으로 적합한 것이 정지선 지키기였다.[4]

특히 '양심냉장고'라는 이름으로 한 첫 방송이 지금도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 당시 내용은 한 밤중에 신호와 정지선을 준수하는 차량에게 양심냉장고를 주기로 했는데 세 시간 이상을 기다려도 아무도 주인이 나타나지 않았고, 이경규와 당시 게스트로 나왔던 민용태 교수,[5] 스탭들이 모두 철수하려는 찰나에 뇌성마비 장애인이 신호와 정지선을 모두 지켜 양심냉장고를 타게 됐다. 자세한 내용은 양심냉장고 문서 참조.

주 아이템은 정지선 지키기, U턴은 정지선 근처 U턴 차선에서만 하기(즉, 중앙선 침범 금지) 등 교통법규 준수, 그리고 어르신 짐 들어들이기 같은 사회예절, 청소년 보호법에 의거 주류, 담배, 성인물 등 판매 시 신분증 검사하기[6] 등 어쩌면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사람들이 잘 안 지키는 예절규범을 준수해야 한다는 공익적인 성격이 강했지만, 아무래도 상품이 걸려있는지라 결국은 양심냉장고를 타려는 사람들만 많아져서 이 아이템 형식 코너는 곧 막을 내렸지만 화제성은 대박이었다.

1997년2002년엔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 후보와 면담을 한다든가, 당당히 메이저리거가 된 박찬호를 응원하러 미국으로 간다든가[7] 하는 보조 아이템도 간간히 진행을 했다.


3. FIFA 월드컵 특집[편집]


1998 프랑스 월드컵[8] 때부터 직접 프랑스에 가서 대한민국 대표팀이 진출한 경기를 응원하고 관전하는 형식을 선보였다. 이것은 상당히 호평을 받았고[9], 이 코너가 막을 내린 이후인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에도 이런 형식의 특집 프로그램으로 방영되었는데 히딩크호가 4강 신화를 쓰면서 방송도 대박을 터뜨렸다. 한국 팀의 선전은 국민들을 TV 앞으로 집중시켰고, 다시 보고 싶은 바로 그 장면을 기존 중계 화면이 아닌 새로운 각도로 보여준 '이경규가 간다'도 당연히 엄청난 호응을 얻은 것. 당시에는 파트너였던 조형기가 따라다녔으며[10] 그 뒤 브레인 서바이버, 대단한 도전이 일밤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인기가 대단해서 2006년 독일 월드컵 때에도 특집으로 만들어졌다(2006년 5월 28일~2006년 7월 2일).[11] 이때는 매우 색다른 구성을 선보였는데, 모델겸 VJ 방송인인 찰스가 같은 조에 속한 토고를 직접 방문해 현지인들과 함께 어울리며 월드컵을 즐기는 장면을 선보인 것. 한국에게 매우 생소한 국가인 토고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어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훗날 엠마누엘 아데바요르의 형 피터 아데바요르가 이 당시 친해진 연예인 집에 찾아갔다가 문전박대를 당했다는 논란이 있었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도 할 예정이었으나 SBS가 단독 중계했고 이경규는 이미 타 방송국프로그램으로 이적해서 활동 중이었기 때문에 선보이지 않았다. 대신 남자의 자격 멤버와 함께 남아공 월드컵 대한민국 국가대표 경기를 관전한 걸 방송으로 내보냈다. 참고로 조추첨을 관전하면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같은 조가 되는 팀이 리오넬 메시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확정되자 "어~ 이거 쎈데..."라며 걱정스러운 표정을 짓기도 했다. 그리고 곤살로 이과인의 해트트릭으로 한국은 아르헨티나에게 1-4로 패했다.

2014 브라질 월드컵 때는 '이경규가 간다'라는 단독 프로그램으로 나가는 건 아니지만 SBS 힐링캠프에서 ‘이경규가 간다’라는 특집으로 부활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에서는 이경규가 나만 믿고 따라와, 도시어부의 미션을 실패해 러시아로 가지 않아서 관련 코너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2022 카타르 월드컵 때는 흥마늘 스튜디오에서 'RE경규가 간다'라는 컨텐츠로 부활했다.# 여담으로 우루과이전만 관전하고 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함께 할 멤버는 유튜버 오킹.

월드컵에서의 임팩트가 워낙 커서, 다른 방송사에서도 월드컵 특집으로 '이경규가 간다'의 형식을 도입할 정도지만 아직 한국이 4강에 또 나가지 못해서 그만큼의 임팩트를 보여준 프로그램은 없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3:04:41에 나무위키 이경규가 간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김대중 총재는 잘 알려진 서울 동교동 자택이 아닌 고양시 일산구 정발산동 일대 아파트에서 거주하고 있었다. 1995년 귀국 직후부터 1998년 대통령 취임 전까지 일산에서 머물렀고, 2003년 퇴임 이후에는 다시 동교동 사저로 돌아와 여생을 보냈다.[2] 사실, 이경규가 마음만 먹었으면, 김영희 PD의 간 큰 단독 행동 정도로 끝날 수 있는 사안이었다고 한다. 이경규의 '쌀집아저씨'에 대한 의리를 나름 지킨 행동이라 볼 수 있는 대목.[3] 사실 이 코너는 일본 TBS 테레비의 '전파소년'을 베낀 것이었다. 꼭 시청률 경쟁 문제뿐만은 아니라는 얘기.[4] 신호위반 같은 건 고발 형식이면 모를까 예능방송을 채울 수 있는 아이템은 아니다. 정지선 지키기는 잘한 사람에게 칭찬과 상을 주고 인터뷰로 끌어내기 좋다.[5] 국내 스페인어 및 스페인문학의 권위자로 현재 스페인 한림원의 종신위원이시기도 하다. '이경규가 간다' 이후 '도전 지구탐험대'에도 출연한 바 있다.[6] 1998년에 청소년 보호법이 발효되어 국민적인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실시했다. 다만 교통법규에 비해 지켜지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았다. 여담으로 당시 게스트는 청소년보호위원회 초대 위원장인 강지원 검사였다.[7] 그 당시 이경규는 다저 스타디움에서 우연히 현지 방송사와 인터뷰할 기회가 있었다. 그리고 이 때 선보인게 바로 매직 아이 쇼.[8] 첫 32개국 본선[9] 다만 당시 시국이 시국이었던터위성중계로 방송한 것 가지고 왜 귀한 외화(고가의 위성중계료)를 고작 예능프로를 위해 낭비했느냐는 비판이 있기도 했다. 하지만 1998년 당시에는 5G도 없었고 SD급 화질의 구식 위성중계가 유일한 전송수단이었다는 시대적 한계는 감안할 필요가 있다.[10] 다만 조형기는 1991년에 했던 음주운전과 뺑소니 사고가 발굴되었고, 2017년을 이후로 방송계에서 사실상 강제 은퇴 당한 상황이다. 그래서 자료화면으로 이 방영분이 인용될 때 조형기는 아예 모자이크 처리되어 나온다.[11] 독일 월드컵 아시아 예선 편(2004년 11월 21일, 2005년 2월 13일)도 특집으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