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야샤 완결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모바일 게임에 대한 내용은 이누야샤 완결편(게임) 문서
이누야샤 완결편(게임)번 문단을
이누야샤 완결편(게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누야샤 완결편 (2009~2010)
犬夜叉 完結編
Inuyasha: The Final Act


파일:inuyasha_tva_2.jpg

{{{#ffffff,#ffffff

작품 정보 ▼
원작
타카하시 루미코
감독
아오키 야스나오
부감독
사토 테루오(佐藤照雄)
시리즈 구성
스미사와 카츠유키(隅沢克之)
캐릭터 디자인
히시누마 요시히토
총 작화감독
미술 감독
이케다 시게미(池田繁美)
색채 설계
사토 미유키(佐藤美由紀)
촬영 감독
오가와 시게미(小川滋見)
편집
츠루부치 토모아키(鶴渕友彰)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
음악
와다 카오루
치프 프로듀서
스와 미치히코(諏訪道彦)요미우리 테레비
토미오카 히데유키(富岡秀行)선라이즈
프로듀서
사이토 토모유키(斎藤朋之)요미우리 테레비
아사이 시노부(浅井 認)쇼가쿠칸
오가타 나오히로선라이즈
애니메이션 제작
선라이즈
제작
YTV
쇼가쿠칸
선라이즈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09. 10. 04. ~ 2010. 04. 0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03. 08. ~ 2010. 05. 09. (더빙)[1]
파일:투명.png 2022. 06. 20. ~ 2022. 08. 02. (자막)[2]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닛폰 테레비 / (일) 02:201~13화
파일:투명.png 요미우리 테레비 / (화) 01:4414~26화[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원 · 챔프TV · 애니박스
파일:투명.png (월,화) 20:00 (더빙)
파일:투명.png 챔프TV · 애니박스 / (화,수) 00:00 (자막)
스트리밍
Laftel 더빙 자막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6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4. 주제가
4.1. OP
4.2. ED1
4.3. ED2
4.4. ED3
5. 회차 목록
6. 평가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이누야샤를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TV판 제2기이자 완결편. 제작사는 선라이즈. 닛폰 테레비계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1]

1기골든 타임에 방영되었던 애니메이션이었지만 완결편은 심야 애니메이션이었다. 때문에 분량이 짧아졌는지 총 26화(2009년 4분기~2010년 1분기, 37권 3화부터 56권 최종화 분량까지).[2]

감독은 전작의 후임 감독이었던 아오키 야스나오가 그대로 담당했다.

2.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누야샤/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누야샤/설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편집]


오프닝은 Do As Infinity의 '君がいない未来(네가 없는 미래)'만이 사용되어서 큰 문제가 없었지만, 엔딩의 경우는 일본판은 작중 분위기에 맞춰서 3가지 곡이 사용했던 데에 비해 한국판은 일본판 두 번째 엔딩곡인 alan의 'Diamond'만을 번안해 모든 에피소드를 이 엔딩곡으로만 방영해 아쉬움을 남겼다.


4.1. OP[편집]


OP
君がいない未来
네가 없는 미래



TV ver.


MV ver.


Full ver.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Do As Infinit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현1~6화, 김혜란7~26화
작사
Kyasu Morizuki
Tomiko Van
Kano Inoue
작곡
Katsumi Ohnishi
편곡
Seiji Kameda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가사 ▼
守るべきものなんて
지켜야 할 것 같은건
悩むまでもなく
고민할 것도 없이
一つしかなかった
하나 밖에 없었어
叫び声のこだま
크게 소리친 외침의 메아리가
むなしく響いた
덧없이 울려퍼졌어
深い森の奥に
깊은 숲속으로
涙をこらえられた理由は
눈물을 참을 수 있었던 이유는
重ねた指のぬくもりのせい
포갠 손가락의 따스함 덕분이야
君がいない未来
네가 없는 미래는
意味などない未来
의미 따윈 없는 미래
二度と離したりはしないから
두 번 다시 떨어지거나 하지 않을테니까
君と臨む世界
너와 향하는 세계는
見たことない世界
본 적 없는 세계
時空を越えて はるか旅する僕等
시공을 넘어서 아득히 여행하는 우리들
真実の詩声
진실의 노랫소리
闇に響かせて
어둠에 울려퍼지고
一つ胸に誓う
하나를 가슴에 맹세해
留まることはない
멈추는 일은 없어
嵐の中でも
폭풍 속에서도
永遠の楽園まで
영원의 낙원까지
滅びること知らない魂
사라지는 것을 모르는 영혼
巡り巡る運命だとしても
돌고 도는 운명이라고 하더라도
君と駆け抜けたい
너와 달려나가고 싶어
この世界の果ても
이 세상의 끝이라도
二度と振り返りはしないから
두 번 다시 되돌아보거나 하지 않을테니까
君とならば行ける
너와 함께라면 갈 수 있어
走る無限起動
달리는 무한기동
終わらない夢 やがて語り継げるさ
끝나지 않는 꿈 머지 않아 이야기를 이어갈 수 있어
君がいない未来
네가 없는 미래는
意味などない未来
의미 따윈 없는 미래
二度と離したりはしないから
두 번 다시 떨어지거나 하지 않을테니까
君と臨む世界
너와 향하는 세계는
見たことない世界
본 적 없는 세계
時空を越えて はるか旅する僕等
시공을 넘어서 아득히 여행하는 우리들
時空を越えて はるか旅する僕等
시공을 넘어서 아득히 여행하는 우리들



4.2. ED1[편집]


ED1 (1~9화)
君がいない未来
네가 없는 미래



TV ver.


Full ver.
노래
AAA
작사
Leonn
작곡
Mitsuru Igarashi
편곡
ats-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3. ED2[편집]


ED2 (10~17화)
Diamond



TV ver.


MV ver.


Full ver.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al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현
작사
Shoko Fujibayashi
작곡
Kazuhito Kikuchi
편곡
ats-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4. ED3[편집]


ED3 (18~26화)
遠い道の先で
머나먼 길 끝에서



TV ver.


Full ver.
노래
Ai Takekawa
작사
작곡
편곡
Jun Sato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사토 테루오(佐藤照雄)
연출
작화감독
히시누마 요시히토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5. 회차 목록[편집]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奈落の心臓
나락의 심장

스미사와 카츠유키
(隅沢克之)

아오키 야스나오
와타다 신야
나카시마 리에
(中島里恵)

日: 2009.10.03.
韓: 2010.03.08.

제2화
神楽の風
카라의 바람

토바 아키라
(鳥羽 聡)

스기모토 사치코
(杉本幸子)

日: 2009.10.10.
韓: 2010.03.08.

제3화
冥道残月破
명도잔월파

마츠이 히토유키
쿄고쿠 타카히코
사쿠마 신이치
(佐久間信一)

日: 2009.10.17.
韓: 2010.03.09.

제4화
竜鱗の鉄砕牙
용린 철쇄아

아오키 야스나오
이와모토 야스오
시마다 히데아키
(しまだひであき)
오다 타에코
(小田多恵子)

日: 2009.10.24.
韓: 2010.03.09.

제5화
妖霊大聖の試練
요령대성의 시련

코다마 켄지
후루타 조지
나카시마 리에
日: 2009.10.31.
韓: 2010.03.15.

제6화
魍魎丸の最期
모료마루의 최후

마츠이 히토유키
야노 아츠시
(矢野 篤)

후지모리 마사야
日: 2009.11.07.
韓: 2010.03.16.

제7화
梓山の霊廟
아즈사산의 사당

와타다 신야
사쿠마 신이치
사이토 유우
(斎藤 佑)

日: 2009.11.14.
韓: 2010.03.16.

제8화
星々きらめきの間に
별들이 반짝이는 가운데

토베 아츠오
토바 아키라
스기모토 사치코
코이소 사야카
(小磯沙矢香)

日: 2009.11.21.
韓: 2010.03.22.

제9화
冥界の殺生丸
명계의 셋쇼마루

코다마 켄지
후루타 조지
사쿠마 신이치
사이토 유우

日: 2009.11.28.
韓: 2010.03.23.

제10화
悲しみに濡れる花
슬픔에 흔들리는 꽃

사토 마사토
(佐藤真人)

사이토 노리아키
(齋藤徳明)

시마다 히데아키
日: 2009.12.05.
韓: 2010.03.23.

제11화
神無の墓標
칸나의 묘비

코다마 켄지
쿄고쿠 타카히코
나카시마 리에
日: 2009.12.12.
韓: 2010.03.29.

제12화
珊瑚の想い 弥勒の覚悟
산고의 마음 미륵의 각오

코지마 마사시
(小島正士)

야노 아츠시
후지모리 마사야
日: 2009.12.19.
韓: 2010.03.30.

제13화
完全な冥道
완전한 명도

카세 아츠코
토바 아키라
마에사와 히로미
(前澤弘美)
타치바나 카요
(橘 佳良)

日: 2009.12.26.
韓: 2010.03.30.

제14화
奈落の追撃
나락의 추격

사토 마사토
후루타 조지
사쿠마 신이치
사이토 유우

日: 2010.01.09.
韓: 2010.04.05.

제15화
正統なる継承者
정통 계승자[3]

아오키 야스나오
와타다 신야
나카시마 리에
日: 2010.01.16.
韓: 2010.04.06.

제16화
瞳子の結界
히토미코의 결계

코다마 켄지
아키타야 노리아키
스기모토 사치코
日: 2010.01.23.
韓: 2010.04.06.

제17화
曲霊の邪念
곡령의 사념

마츠이 히토유키
토바 아키라
사쿠마 신이치
사이토 유우

日: 2010.01.30.
韓: 2010.04.22.

제18화
人生の一大事
인생의 중대사

쿄고쿠 타카히코
나카시마 리에
야마모토 나오코
(山本直子)
스기모토 사치코

日: 2010.02.06.
韓: 2010.04.22.

제19화
琥珀の欠片
코하쿠의 구슬조각

코지마 마사시
야노 아츠시
네기시 히로키
(根岸宏樹)

후지모리 마사야
니시오카 유키
(西岡夕樹)

日: 2010.02.13.
韓: 2010.04.22.

제20화
四魂の玉が完成する時
사혼의 구슬이 완성되는 순간

코다마 켄지
후루타 조지
마에사와 히로미
타치바나 카요

日: 2010.02.20.
韓: 2010.04.29.

제21화
奈落の体内へ
나락의 몸 속으로

타카하시 테츠코
(高橋哲子)

카세 아츠코
토바 아키라
사쿠마 신이치
사이토 유우

日: 2010.02.27.
韓: 2010.04.29.

제22화
奈落 闇の罠
나락! 어둠의 함정

스미사와 카츠유키
사토 마사토
사토 테루오
(佐藤照雄)

토베 아츠오
日: 2010.03.06.
韓: 2010.04.29.

제23화
奈落 光の罠
나락! 빛의 함정

코다마 켄지
토바 아키라
사쿠마 신이치
사이토 유우

日: 2010.03.13.
韓: 2010.05.04.

제24화
奈落 儚き望み
나락! 부질없는 소망

마츠이 히토유키
후루타 조지
코이소 사야카
日: 2010.03.20.
韓: 2010.05.06.

제25화
届かぬ想い
전해지지 않는 마음

카세 아츠코
쿄고쿠 타카히코
스기모토 사치코
타치바나 카요

日: 2010.03.27.
韓: 2010.05.06.

제26화
明日へ
내일을 향해

아오키 야스나오
사토 테루오
히시누마 요시히토
日: 2010.04.03.
韓: 2010.05.09.



6. 평가[편집]


  • 작화 및 연출
세월이 흘러 일부 베테랑 애니메이터와 교토 애니메이션으로 이적한 이시하라 타츠야, 이케다 쇼코 같은 멤버가 그만두게 되어 작화는 1기에 비해 다소 저하됐다는 평가가 중론이다.[4] 특히 가장 중요한 완결편 후반부에 나라쿠의 몸 속으로 들어와서 대결을 벌이는 화에서는 작화가 상당히 불안정해졌으며, 작붕도 조금씩 보인다.

액션도 1부 때보다 더 퇴보했다. 1부보다 액션에 힘이 없고 싸구려틱해졌으며, 식상하고 진부한 액션 연출들이 많다.

  • 전개 속도
이전의 1부 애니메이션이 질질 끄는 느린 전개로 혹평을 받은 것과는 정 반대로 완결편은 전개가 지나치게 빨라서 혹평받았다. 당장 1부가 36권 분량을 다루는 데 167화를 소모하였는데, 완결편은 20권 분량을 다루는 데 단 26화밖에 소모하지 않았다.
전개가 너무 빨라서 완결편이 아니라 간결편[5]이라는 비야냥을 들었다(...). 그도 그런 것이 1화 하쿠도시 사망, 2화 카구라(카라) 사망, 3화 명도잔월파 획득, 4화 용린 철쇄아 획득[6], 6화 모료마루+갓난아기 흡수, 8화 키쿄우(금강) 사망, 11화 칸나 사망 등 굵직한 사건이 고작 11화에 연달아 일어나며 특히 시리즈 극 초반부터 등장했던 인물이 셋이나(위에 굵은 표시 한 인물) 죽었다. 이렇게 1~12화 동안 원작 기준 37~49권까지의 분량을 빠르게 넘어간 뒤 나머지 회차에서 50~56권을 다루면서 템포가 겨우 안정되었다.[7]
진행을 억지로 질질 끄는 것도 문제가 있지만 이런 식으로 지나치게 빠른 진행도 많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애니 완결편 부분을 만화책으로 봤던 독자들의 입장에서는 주요 명장면을 포함한 상당부분을 아예 빼버리거나[8] 대충 넘겨버린 애니판은 시청할 이유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보통 원작에서 가장 문제라고 평가받던 중후반은 완결편 이전에서 꽤나 철저하게 다루어놓고 정작 진행이 시원시원하게 되기 시작하는 완결편 분량은 죄다 날려버렸기 때문에 알맹이는 내다버리고 껍데기만 남겼다고 혹평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래도 후반부는 원작을 잘 따라간 전개와 퀄리티 높은 작화로 반응이 좋은 편이다.
완결편이 생략한 부분이 많아서 이 부분을 포함해 새로 리메이크를 해주기를 바라는 팬들도 많다.

작중 붉은 철쇄아는 백령산 이후의 나라쿠의 결계에 흠집조차 낼 수 없었다. 그러나 애니 완결편 15화에서 금강창파도 막는 철쇄아의 칼집을 붉은 철쇄아로 깨트리는 묘사가 있었으며[9], 20화에서는 백령산에서 막 나왔을 때보다 훨씬 강해진 나라쿠의 결계를 붉은 철쇄아로 깨트렸다.[10]

  • 대원의 성우 교체 (더빙판에만 해당)
대원방송에서 더빙 제작 및 방영 후 1년이 지난 뒤 투니버스에서 재방영되기도 했던 1~6기와는 달리 이누야샤 완결편은 대원방송에서 단독으로 방영하였다. 그러나 완결편 한국 더빙판은 담당 성우들에게 사전 고지도 제대로 하지 않고 일부 배역을 대원 성우로 교체해버린 점이 현재까지도 크게 비판점으로 손 꼽히는 편이다. 이 때문에 유독 연기톤이 확연히 달라진 나락, 코우가, 묘가의 경우는 팬들로부터 엄청난 악평을 들었다.[11] 성우들은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연기했지만[12] 대원의 삽질로 스트레스만 받았다.[13] 지금은 최낙윤으로 교체된 나락의 경우 재평가를 받지만 미스캐스팅된 묘가 역의 박서진이나[14] 코우가 역의 임하진[15]은 여전히 혹평이 이어지고 있다.

  • 오역 (더빙판에만 해당)
전에도 오역이 아주 없던 건 아니지만 완결편에서 번역가가 바뀌면서 오역이 약간 더 생겼다. 하쿠도시가 카라의 용사의 춤을 반사하면서 풍인의 춤이라고 말하거나, 셋쇼마루가 '놓칠까 보냐' 등 일본어 투 번역을 사용하는 것(전에는 '놓치지 않겠다' 등으로 번역)은 대충 넘어가 줄 수 있지만 코하쿠가 이누야샤 일행에게 갑자기 반말을 쓰는 호칭 문제는 쉽게 넘어갈 일이 아니다.

[1] 자세히 말하자면 요미우리 TV 방송에서 닛폰 테레비계로.[2] 원작 만화 기준으로 1기가 끝난 부분과 바로 이어지는 부분이 아니다. 때문에 직접 36권과 37권을 읽지 않고 1기를 시청한 후 바로 완결편을 보게 되면 흐름이 매끄럽지 않게 느껴질 수 있다.[3] 원래 완결편 방영 이전에 OVA로 먼저 애니화된 에피소드로, 해당 OVA를 거의 그대로 사용했다. 변경된 거라고는 명도에서 빠져나온 계기가 천생아가 이끈 빛과 카고메의 목소리였던 OVA와는 다르게 단순하게 천생아의 빛이라는 점과, 대사 일부 삭제 정도.[4] 물론 1기에 비해서 떨어진다는 것이지 완결편 작화 자체만 두고 보면 좋은 편이다. 그 외에 채색이 개선되었고 연출가로 새롭게 코다마 켄지를 영입했다.[5] 완결(完結 : かんけつ)과 간결(簡潔 : かんけつ)의 발음이 똑같아서 나온 말.[6] 참고로 원작에선 이누야샤가 용린 철쇄아를 먼저 얻고 조금 지나서 셋쇼마루가 명도잔월파를 얻게 된다.[7] 만약 애니메이션판의 전개 속도가 처음부터 완결편의 템포였다면 이누야샤 애니는 최소 4(=50~52화) 정도로 완결이 되었을 것이다. 참고로 원래는 완결편을 4쿨로 제작하려고 했으나 제작비 문제 때문에 2쿨로 만들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루미코 여사도 완결편이 적어도 50화는 나올 거라고 한 적이 있다.[8] 금화 & 은화의 경우는 태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형제 간의 다툼, 그리고 은화를 흡수한 나라쿠에게 복수하기 위해 금화가 철쇄아에 깃든 뒤, 둘이 부딪힐 때마다 공명해 나라쿠에게 고통을 주는 등의 에피소드가 존재했는데 모료마루가 둘 다 공격해 흡수하는 것으로 처리해 버렸다. 또한 나라쿠가 밸런스 조정(...)으로 철쇄아의 날뛰는 요기를 가라앉히기 위해 일부러 넘겨준 것이나 다를 바 없는 요괴선인 니코센(二枯仙)의 일화 등은 아예 통삭되었다. 이 때문에 비두근이나 금화 & 은화 또는 니코센 처럼 완결편에서 대충 다루거나 통삭한 요괴들은 반요 야샤히메에서 좀 더 비중을 할애해 다시 등장시키기도 했다. 그리고 모료마루가 초하루밤에 이누야샤의 힘을 잃은 모습을 보는 장면마저 삭제됐다. 또한 애니에서는 셋쇼마루와 모료마루가 한번밖에 대결하지 않지만(이후 애니 오리지널 전개에서 셋쇼마루가 명도잔월파로 공격하자 모료마루가 도주해서 싸움이 성립되지 않는다.), 원작에서는 두번이나 대결하고, 전개 자체도 재빨리 넘겨버린 애니와 달리, 셋쇼마루조차 꽤 중상을 입는 등 나름 강렬했다.[9] 금강창파는 백령산 이후 강해진 나라쿠의 결계도 아주 쉽게 뚫어버린다. 즉, 앞뒤가 맞지 않는 완벽한 설정 오류 장면인 것.[10] 이 두 장면은 애니 오리지널로 원작에는 나오지 않는 장면.[11] 마찬가지로 하쿠도시, 카라, 링, 코하쿠 등도 담당 성우가 교체되었으나, 카리스마 넘치는 목소리에서 약간 어린애 목소리 같아진 하쿠도시를 제외하면 전작 성우들과 목소리도 비슷한 편이다.[12] 전작에서 나락을 맡았던 홍시호는 최낙윤에게 최고의 명연기였다며 감탄했다.[13] 특히 나락 역의 최낙윤 성우는 엄청난 스트레스로 원형탈모까지 왔었다고 한다. 후일 홍시호 성우의 홍쇼 채널에 출현한 그는 나락의 '나' 자만 나와도 영혼이 가출하는 리액션을 선보일 정도.[14] 김환진에 비해 젊은 음색이 어울리지 않고, 후속작에서도 그대로 묘가를 맡았기 때문에 더 아쉽다는 평을 듣는다. 동일 성우가 맡은 몽환의 바쿠야는 굉장히 잘 어울리게 연기했고 평도 매우 좋은 편이다.[15] 장난끼 넘치는 까랑까랑한 목소리의 엄상현에 비하면 부드러운 음색으로 이전의 코우가 느낌이 전혀 살아나지 않는다. 게다가 해당 성우에게 논란이 생기면서 연기에 대한 평가도 추락하였다. 하지만 해당 성우가 중복으로 담당한 사혼의 구슬은 굉장히 잘 어울리게 연기했고 평도 좋은 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누야샤/애니메이션 문서의 r50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누야샤/애니메이션 문서의 r50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7:33:01에 나무위키 이누야샤 완결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