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안대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BS 대하 사극 《태종 이방원》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이방의(태종 이방원) 문서
이방의(태종 이방원)번 문단을
이방의(태종 이방원)#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조선의 왕자
{{{-1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

목조 ~ 연산군
]]

[ 펼치기 · 접기 ]
역대 국왕 · 역대 왕세자 · 익조 ~ 연산군 왕녀 · 중종 ~ 고종 왕자 · 중종 ~ 철종 왕녀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익안대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태조의 황자
익안대군 | 益安大君


조선 태조의 왕자
익안대군 | 益安大君


파일:nSzUNEE.jpg

익안대군 영정[1]
출생
1360년
고려 동계군 동북면 함흥부 귀주동 이성계 사저
(現 함경남도 함흥시 함흥본궁)
사망
1404년 10월 29일 (향년 44세)
조선 익안대군 사저
묘소
경기도 개풍군 봉덕면 백전리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방의(芳毅)
부모
부황 태조 고황제
모후 신의고황후
형제자매
8남 5녀 중 3남
배우자
삼한국대부인 동주 최씨[1]
자녀
슬하 2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이석근(李石根)
장녀 - 회인현주(懷仁縣主)[1]
차녀 - 한가경(韓可敬)의 처
차남(서자) - 이승(李昇, 1390 ~ 1445) 측실 고성 이씨 소생

종교
불교유교 (성리학)

태관(太寬)
군호
익안군(益安君)
→ 익안공(益安公)
익안대군(益安大君)
시호
공정공(恭靖公)1404년
→ 마한공정공(馬韓恭靖公)1418년
→ 마한안양공(馬韓安襄公)1421년[2]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조선 초기의 왕족. 태조 이성계의 3남이며 정종의 동생이고 태종 이방원의 셋째 형이다. 왕자 가운데 야심이 적어 동생 이방간(李芳幹)(1364 ~ 1421)[2]과 이방원의 왕위 계승 싸움에 중립을 지키고 평소에 시사를 말하지 않았다. 독특한 자기관리 방식으로 당시에도 매우 유명했는데, 술자리에서라도 정사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 입을 닫아버린 것.[3] 그 덕분에 왕자로서 부귀를 누리며 천수를 다할 수 있었지만 지병이 있어 그리 장수하지는 못하였다.[4]


2. 생애[편집]


1392년(태조 원년) 조선이 개창되어 태조가 즉위하자 이방의는 익안군(益安君)에 봉해졌다. 1398년(태조 7년) 8월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 이방원을 도와 정사공신 1등에 봉해지고 공신전 200결을 받았으며 12월에 이방원, 이방간과 함께 개국공신 1등에 추록되어 다시 공신전 200결을 받았다. 이 때 중군절제사가 되어 이방원, 이방간과 함께 중앙군의 병전을 분장하고 1399년(정종 1년) 경기도충청도의 지방군을 관장하였다. 1400년(정종 2년) 2월에 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는 병으로 집에 있다가 소식을 듣고 이방간의 모반을 개탄하면서 절제사직을 사임하여 이방원을 간접적으로 도왔다.

1401년(태종 1년) 익안대군(益安大君)으로 봉해졌으며[5] 이후 병으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태종은 크게 슬퍼하며 조회를 정지하고 직접 형의 장례식에 문상을 와서 형의 장례식에 후한 부조금과 지원을 해줬다.[6] 시호 안양(安襄)을 받았으며, 정종 사후에는 정종의 배향공신으로 신주가 종묘에 모셔졌다.


3. 여담[편집]


  • 익안대군의 후손 중 유명인으로는 정치인 이인제, 가천길재단 회장 이길여, 배우 이원발[7]이 있다.
  • 익안대군파의 인구는 대략 6만6천명이다.


4. 대중매체에서[편집]


왕이 된 적도 없고 정쟁에 뛰어들거나 휘말려 죽지도 않았고 핵심 인물도 아니었기 때문에 등장하는 작품이 별로 없고, 등장하더라도 비중이 작다.

  •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배우 최동준이 연기했다. 신의왕후(한영숙 분) 소생을 박대하는 이성계(김무생 분)에게 불만이 없지는 않지만 세상일에 관심을 끊고 편안히 사는 것으로 만족하는 소박한 성품. 태조 대에는 이방과(태민영 분)와 마찬가지로 다소 유약한 성품으로 묘사되어 이방간(김주영 분)이나 이방원(유동근 분)과 달리 정도전(김흥기 분)의 억압에 이기지 못해 진법 훈련에 나가는 것으로 그려졌으며 1차 왕자의 난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야심을 드러내는 이방간을 타일렀다. 개경으로 다시 천도한 뒤로는 병으로 칩거하고 있는데 이방간이 끝내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가 진압된 후 이방원을 찾아와 비통해하며 자신 휘하의 모든 병력을 양도한다. 이방과와 함께 이방간을 찾아가 이방원에게 용서를 구하고 구명을 청하라고 간곡히 설득했다. 성품이 모난 데가 없는만큼 여러 형제들과 두루 사이가 좋아서 병사했을 때 이성계와 이방원이 매우 슬퍼했다.

  • 2021년 KBS 드라마 〈태종 이방원〉에서는 배우 홍경인이 연기했다. 자세한 내용은 이방의(태종 이방원) 문서 참조. 진중한 모습이었던 〈용의 눈물〉과 다르게 이 작품에서의 익안대군은 부친 이성계(김영철 분) 휘하에서 종군하면서, 개성 시가전에 기병으로 투입되어 형제들과 함께 방어진을 깨뜨리는 기병 돌격의 선두에 서기도 한다. 동생 이방간(조순창 분)에게는 만만한 모습으로 보이기도 하며, 정몽주(최종환 분) 암살로 형제들과 같이 아버지인 이성계에게서 버림받은 이후에는 홧김에 기생을 끼고 술마시며 노는 모습도 보여주는 등, 이전과는 다르게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2차 왕자의 난에서는 이방간에게 설득당해 이방간 측에 가담하여 군사를 일으킬 예정이었으나, 정작 거사 당일 이방원(주상욱 분)이 두려워 거사에 가담하지 않아 방간이 대패하는 원인을 제공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0:28:58에 나무위키 익안대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영정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9호로 지정되어 있다. 전주 이씨 문중에서 소유하고 있었으나, 2000년 1월 도난을 당했다가 그 해 4월 회수에 성공하여 보관 하던 중, 2009년에 재 도난을 당했다가 우여곡절 끝에 2018년 10월 환수했다. 관련 기사문화재청의 발표 정종태종의 생김새를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는 귀한 영정이다.[2] 태조의 4남. 박포의 거짓 밀고를 믿고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자 유배되었으며 1421년 사망하였다.[3] 단 자신의 가족들과 관련된 정사에는 참여했는데 1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의 편에 서서 참가한 것이 바로 그 사례다.[4] 이건 현대 기준이고, 당대에는 지병까지 가지고 40대 초중반까지 살았으면 평균 연령은 채우고 갔다고 볼 수 있다.[5] 덕분에 이성계의 아들 중 제대로 살아서 대군에 봉해진 아들이다. 정종과 태종은 세자 책봉 및 왕으로 즉위한지라 이전 호칭은 '군' 혹은 '공'이며 나머지는 사후에 '대군'으로 봉해졌다.[6] 일반적으로 대신이나 종친이 사망하면 왕이 부조금으로 종이를 전달하고 조회를 3일 정도 정지하지만 이렇게 왕이 직접 문상을 오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필시 본디 서열로 보면 정종 시절 왕위 승계 1순위이고 적통인 아들까지 있었음에도 그냥 한참 동생인 태종에게 왕위계승을 양보한 것에 대한 보답이리라.[7] 공교롭게도 해당 배우는 드라마 〈태종 이방원〉에서 익안대군의 숙부인 의안대군 이화를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