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아랍인

덤프버전 :


이스라엘 아랍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flashtrafficblog.files.wordpress.com/netanyahu-arabs2.png
파일:external/static1.972mag.com/jaff.jpg

(عرب إسرائيل (العرب الإسرائيليون / Arab citizens of Israel / עֲרָבִים אֶזרָחֵי יִשְׂרָאֵל

이스라엘 국적을 지닌 아랍인을 말한다. 팔레스타인인과 같은 민족이라 할 수 있으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관계가 최악이기 때문에, 서로를 아예 다른 민족이라고 인식하기도 한다.[1] 경우에 따라서는 팔레스타인계 이스라엘인(Palestinian Israelis)라 표현하기도 하며 이스라엘 아랍인(Israeli Arabs)라고 하기도 한다.[2]

1. 개요
2. 상세
3. 현황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17년에 이들의 인구는 약 220만으로 이스라엘 인구의 25.3%를 차지한다. 상당수는 팔레스타인에서 살아오던 아랍인들의 후손으로 아랍어 방언 가운데 팔레스타인 방언과 히브리어를 구사한다. 이들 역시 엄밀히 말하면 이스라엘 시민권을 가진 이스라엘인이며##, 유튜브에도 이스라엘국적을 가진 아랍인들도 존재한다.# 이들 역시 팔레스타인인이기 때문에, 종교는 84%가 이슬람이고,[3] 8.4%는 기독교, 8.2%는 드루즈파[4]이다.


2. 상세[편집]


이스라엘이 건국될 당시에 팔레스타인인을 포함해 약 95만 명 정도가 이스라엘 땅에 살았는데 몇 번 전쟁을 치르면서 목초지가 황폐화되고 추방되면서 약 15만 명 정도만이 이스라엘에 남았다. 남은 아랍인들은 이스라엘 국적을 얻었으며 베두인 계통 같은 경우엔 이스라엘군에서 복무를 권장받아 복무하기도 했다.

사실 원래 이 지역에 살던 베두인들은 팔레스타인인 무슬림 농민들이나 상인들은 서로 방언도 다르고 통혼도 잘 안하고 남남하던 사이였고, 이스라엘 건국 전쟁 당시에 예루살렘 근교의 베두인들은 이스라엘군 편에 서서 평소에 사이가 좋지 않던 팔레스타인인들과 전투를 치렀다. 다시 말해서 이스라엘 내 거주하는 베두인들과 팔레스타인인 무슬림과 기독교인 등 별개의 정체성을 가진 여러 아랍어 사용자 집단을 합쳐야 이스라엘 아랍인이 되는 셈이다.

이 외에도 이라크에서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탄압을 피해 이스라엘로 망명한 아시리아인 난민 인구도 약간 있는 편인데, 이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아랍인에서 찾기보다는 아시리아인 혹은 이스라엘 기독교인에서 찾는 편이다.

파일:1280px-Seif_el-Din_el-Zubi.jpg
셰이프 엘딘 엘주비(سيف الدين الزعبي, סַיִף אֵל־דִּין אֶל־זעֻבִּי). 그는 1949년부터 1959년, 1966년부터 1979년까지 이스라엘 국회(Knesset)에서 의원을 역임했다. 나사렛 출신으로 15년 동안 나사렛 시장을 지냈다.[5]

이스라엘에서 소수민족 취급 당하는데 사실 유대인들이 갑자기 들어오기 전에 이 땅에서 이들은 다수민족이었다.[6]

3. 현황[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30px-Arab_population_israel_2000_en.png
2000년 기준으로 지역별 분포표로 북부 지방으로 갈수록 많다.[7] 하지만 인구는 예루살렘이 가장 많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DruzeSoldier.jpg
드루즈교 신도나 이스라엘 베두인들은 이스라엘군에서 복무도 한다. 위의 사진은 드루즈파 군인. 베두인이나 드루즈, 체르케스[8]를 제외한 아랍인들은 공안3직(경찰관소방관교도관)에서 주로 복무한다. 정규군에 아랍인을 꺼리는 이스라엘 정부의 민족 차별 정책이지만 현실적인 관점에서 어쩔 수가 없다는 반응도 있다. 문제는 유대인 인구 비중이 종교적 병역거부를 주장하는 하레디를 제외하고 천천히 감소하는 반면에 아랍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아랍인을 아예 안 받을 수는 없다는 점.[9] 실제로 드루즈인은[10] 이스라엘에서 매우 높은 관직으로[11] 등용되고 있으며, 이스라엘 육군은 6명의 드루즈인 군장성을[12] 중용하고 있다.

구소련 해체 전후하여 동유럽에서 인신매매가 번창하면서 시나이 반도 베두인 인신매매 루트를 통해 많은 동유럽 출신 여성들이 이스라엘로 인신매매를 당해 사기 계약을 맺고 성매매를 하게 되었는데,# 이들 중에는 러시아인이 아닌 경우가 많지만, 그냥 여타 이스라엘인들 앞에서 자신들을 러시아인이라고 퉁쳐부르는 편이라고 한다. 이스라엘 정부에서 자국 이미지가 나빠질 것을 우려해 동유럽발 인신매매를 틀어막아버리자, 그동안 포주업과 인신매매업에 종사하던 이스라엘 베두인[13]들은 지 버릇 개 못준다고 대신 에리트레아나 남수단, 에티오피아 출신 난민들을 인신매매하는 상황이다. 베두인들은 상당수가 문맹이다보니 군대 내에서도 활용이 제한되고 민간인 사회 내에서도 포주 같은 직업 외에는 종사 가능한 직종이 크게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설문조사 결과 약 83%의 이스라엘 아랍인들이 팔레스타인과 합치지 말고 이스라엘에 남자고 대답했다. 11%는 팔레스타인에 들어가자고 했다.[14][15] 하지만 이 통계는 현재 상황과 맥락을 감안하여 걸러서 들을 필요가 있는데 지금 현재 상황에서 팔레스타인의 서안지구나 가자지구에 이주하겠냐는 뉘앙스의 설문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실제로 여론 조사를 해본 결과로는 팔레스타인에 편입하기를 희망하며 이스라엘 시민권마저 거부하는 아랍인 예루살렘 시민들도 현재 상황에서는 이스라엘 통치하에 남아 살자고 했다. 현재 팔레스타인국에 속한 요르단강 서안지구가자지구가 경제적으로 이스라엘에 종속되거나 봉쇄되었기 때문에 지역경제가 돌아가는 형편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서안지구와 가자지구에 자립 가능한 완전한 팔레스타인 독립국가가 세워지거나 이스라엘 일부, 혹은 전체가 팔레스타인령으로 편입되는 것을 물어본 것은 아닌 것이다. 특히 아랍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요르단강 서안지구와의 접경지역[16]의 일부를 서안지구에 편입하는 대신에 영토 교환 형식으로 동예루살렘 지방과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정착촌 지역이나 중요 지역들을 이스라엘 영토로 편입시켜 요충지들을 모두 이스라엘 영토로 확보하는 동시에 아랍인 인구를 최대한 줄여보려는 계획이 이스라엘 정계와 사회 내부에서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스라엘 내 아랍인들이 애초에 이러한 담론 자체를 극도로 경계하며 민감하게 여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관련 인터뷰 영상

많은 수의 이스라엘 아랍인들이 서안지구나 가자지구, 혹은 인접한 아랍국가들에 친척을 두고 있다. 특히 서안지구와 바로 국경을 접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삼각지구(Triangle Area)와 아랍계 인구가 상당한 이스라엘 북부 갈릴리 지역의 경우는 상호간에 친인척 관계나 교류가 매우 흔하고 일상적이며 상호간의 통혼 역시 이루어진다. 다만 친이스라엘 성향의 이스라엘 내 드루즈교 신도들이 팔레스타인 사람들로부터 배신자로 여겨지며 테러 위협을 함께 겪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팔레스타인 아랍인들과 이스라엘 아랍인들 사이의 교류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교육 분야인데 현재 이스라엘의 아랍인들 중 상당한 숫자가 서안지구에 있는 대학에서 공부하고 학위를 취득하고 있다. 심지어 이스라엘 일간지 '하레츠(Haaretz)'에 따르면 현재 이스라엘 아랍인들이 가장 많이 진학하는 대학은 이스라엘 내의 대학이 아닌 서안지구에 위치한 대학이라고 한다. 또한 한 서안지구 내 대학은 이스라엘 아랍인의 학생 정원 수가 서안지구 출신 학생 정원 수보다 더 높다고 한다. 기사 원문 1, 2

퓨 리서치 센터의 조사에 의하면 이스라엘 내 유대인들의 48%가 아랍인을 이스라엘에서 추방하는 것에 찬성한다고 응답했으나, 실제 국내 이스라엘 유대인들 주민들에게 여론 조사를 해본 결과 아랍인을 이스라엘에서 추방하는 것을 찬성하는데 80% 이상에 이른다고 한다.. 특히 하레디의 59%가[17], 그리고 스스로 '우파'라고 응답한 유대인 사이에서는 72%가 찬성했다. #

이스라엘 내 기독교인 인구의 78% 가까이가 아랍계 기독교인으로 이들 중 상당수는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혹은 마론파 신도라고 한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6:06:19에 나무위키 이스라엘 아랍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인조선족은 같은 민족이지만 이념과 모국의 국가성향의 차이 때문에 이질감이 생기는 것과 같다.[2] Berger, Miriam (2019). "Palestinian in Israel". Foreign Policy.에 따르면, 2017년 기준으로 이스라엘의 아랍 인구의 16%가 '이스라엘 아랍인'이라는 용어를 선호하고 있으며, 가장 크고 빠르게 증가하는 비율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인'을 선호하고 있다. 나머지 17%는 '이스라엘인'이라는 정체성을 완전히 거부하며 '팔레스타인 아랍인'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고 한다.[3] 수니파가 대부분이고 시아파 등도 있다.[4] 시아파의 분파로 거의 다른 종교가 되었다. 이슬람 주류에서는 완전 이단 취급받는다.[5] 나사렛은 인구 8만 가운데 6만이 법적으로 아랍인이다.[6]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팔레스타인인은 고대로부터 그 땅에 살아온 토착민으로서 원래는 이스라엘인과 같은 민족이었으나 종교로 인해 갈라졌다. 원래는 같았던 민족에서 분리되어 나뉘어진 또다른 사례는 독일인네덜란드인, 아프리카너라거나, 남슬라브가 정교회, 카톨릭, 이슬람에 따라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보슈냐크인 등등으로 갈라진 것을 들 수 있다.[7] 실제로 1948년 1차 중동전쟁 이전의 팔레스타인 영토는 나사렛 등 레바논과 접한 북부 지역 등 지금의 이스라엘 북부도 차지했었다.[8] 이스라엘 내 4천여 명 정도가 거주하는데 러시아 제국의 팽창 과정에서 오스만 제국으로 피난한 체르케스인들 중 상당수가 요르단에 정착할 때 일부가 팔레스타인으로도 유입되었다.[9] 이스라엘 국내의 아랍인 인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영역까지 포함하면 720만 명으로 유대인 인구 655만 명보다 더 많다.[10] 이슬람교의 한 갈래로 자주 오해받곤 하지만, 드루즈파는 수니파와 시아파 막론하고 그냥 이단 취급받기 때문에 사실상 다른 종교라고 보면 된다. 이렇다 보니 이슬람 제국 치세 내내 탄압을 많이 받아서 무슬림들하고 관계가 좋지 못한데, 아랍인을 차별하는 이스라엘이 드루즈인을 발탁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11] 예를 들어 대법관국회의원연구원대학교수, 군장성경무관경찰서장소방서장 [12] 소장이 3명(가산 알리안, 유세프 미쉬레브, 카밀 아부 로콘)이고 준장이 3명(이마드 파레스, 아말 아사드, 하산 하산)이다.[13] 여담으로 이스라엘 베두인은 이스라엘군에 종사하는 친이스라엘파로 시나이 반도와 네게브 사막을 중심으로 거주하는 유목민들이다. 정주민인 팔레스타인인들과 아예 다른 민족이다.[14] 이들 역시 반이스라엘을 표방하는 아랍인 예루살렘 시민들이 대부분이다.[15] 이스라엘에 잔류할 것을 주장한 이들의 대부분은 높은 생활수준과 민주주의를 꼽았다. 이스라엘 정부의 막장스런 통치 체제가 중동권에서는 그나마 가장 민주적이며 이스라엘은 서구 및 미국보다는 못하지만 절차적 민주주의는 자리잡은 편이다. 주변의 사우디아라비아나,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요르단 등이 민주주의 흉내조차 내지 않는 전제군주제나, 독재국가인 걸 보자.[16] 삼각지구(Triangle Area)라고 불리는 지역이다.[17] 하지만 하레디의 극단성을 생각하면 의외로 비율이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