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쑤시개

덤프버전 :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111013017340709_thumb_400.jpg

1. 이를 닦는 도구의 일종
1.1. 역사
1.2. 단점
1.3. 기타
2. 피를 마시는 새에 등장하는 무기


1. 이를 닦는 도구의 일종[편집]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늘고 끝이 뾰족한 도구. 본래 나무로 만드나 잘못된 분리수거로 음식물 쓰레기에 혼입되어 이를 섭취하고 목에 걸려 죽는 가축이 발생해 요즘은 녹말로도 많이 제작한다. 녹말 이쑤시개는 이를 쑤신 다음 2~3조각으로 부러트려서 입안에 넣고 천천히 녹이면(씹으면 이빨에 무리가 간다) 녹아서 없어진다. 이런 특징을 이용해 요리를 할때 고정 장치로 녹말 이쑤시개를 쓰기도 한다. 특히 고온에서 조리하는 경우 녹말 이쑤시개는 금방 녹아 사라지기 때문.

한국대형마트에서는 시식용 음식을 집어먹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뾰족한 부분으로 음식을 찍어 먹을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고, 일회용으로 쓰고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1] 비슷하게 포장마차 등의 간이 음식점에서 떡볶이 등을 집어먹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지만 너무 짧아서 음식이 손에 묻거나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잘 안 쓰이고 산적을 만들 때 쓰이는 꼬챙이나 싸구려 나무젓가락 등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2] 나이 드신 분들은 요지(楊枝(ようじ)라고도 하는데 보다시피 일본어다. 말이나 글 따위에서 핵심이 되는 중요한 내용을 이르는 단어인 요지(要旨)와는 다르다.


1.1. 역사[편집]


10만년 전의 네안데르탈인들의 치아를 조사하던 중 치아에서 이쑤시개를 사용한 흔적을 발견했다. 인류 최초의 발명품이라고 한다. 비니모경에 기록된 내용에 따르면 옛날에는 버드나무 가지를 이쑤시개로 사용했다. 그리고 기원전 6세기 때 버드나무와 소테나무를 이용하여 이쑤시개의 일종을 만들었다고 한다. 버드나무 가지를 양지(楊枝)라고 하는데, 즉 이걸로 이를 쑤시고 비벼서 청소를 하는 것이 양치질의 어원이자 시작이다. 일본어 요지도 양지를 읽은 발음이고. 즉 가는 가지로 이 사이를 후비면 이쑤시개, 끝을 씹거나 뭉개서 이 자체를 비비면 칫솔이었다.[3]

고대 게르만족의 유적지에서 이쑤시개와 면봉을 사용한 흔적이 발견되어 고고학자들을 놀라게 만든 일도 있었다[4].

대량 생산은 19세기 중반 브라질에 들어오는 수제품 이쑤시개를 생산하면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한 찰스 포스터가 미국보스턴에 돌아와 신발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나무못의 공정을 이용하여 이쑤시개를 만들며 시작되었고, 이것이 요즘의 이쑤시개의 원조이다.

이 쑤시는 것을 예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치실을 더 권유하는 의사들 때문에 이쑤시개의 수도라고 자부하는 메인 주의 공장이 남아나질 않자 중국동남아 지역에서 대량 생산되기 시작했고, 녹말과 같이 삼켜도 문제 없는 재질의 이용과 같은 여러 가지 아이디어로 살아 남게 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1.2. 단점[편집]


치아 사이를 벌어지게 하거나 잇몸을 다치게 할 수 있다. 치아가 완전히 자라지 않은 어린이들이 이것을 자주 써 버릇하면 치열이 망가지니 주의시켜야 한다.

사실 이쑤시개를 써야 한다는 것 자체가 치아 사이에 틈이 있다거나 어금니 안쪽에 음식을 소화하는 데 필요한 정도 이상으로 홈이 깊고 복잡하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니 치과에서 치아교정 치료를 받거나 어금니 안쪽의 홈을 메우는 것이 좋으며, 위생·안전 면에서 치실과 치간칫솔을 쓰는 것이 치아 건강에 좋다.

치아와 치아 사이가 점점 벌어진다면 음식물이 자꾸 끼어서 충치가 생기거나 이미 생겼을 수도 있다. 특히 치아의 폭이 짧은 작은 어금니 외부에 충치가 생기면 금방 안쪽까지 썩어들어갈 수 있고, 어금니 안쪽에 지나치게 틈이 벌어지고 있는 것도 마찬가지. 충치가 생겨서 치아 안쪽까지 썩어들어가면 신경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 또 충치가 진행되어 치아가 약해지면 이쑤시개를 사용할 때 치아가 깨져 떨어져나와 구멍이 생긴다. 이러한 이유로 충치가 없고 치열이 고른 사람은 이쑤시개를 굳이 쓸 필요가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간편하게 이용하고 길거리에 버리는 몰지각한 이들로 인해 이쑤시개에 남은 음식물 찌꺼기나 타액에 이끌린 해충을 들끓게 하고 보도블럭 틈새에 끼어 껌과 담배꽁초 따위와 더불어 환경미화원의 업무를 힘들게 한다. 이는 이용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한 사안이다.

이쑤시개는 많이 쓰이다 보니 상당히 위험하기도 한데 이쑤시개 때문에 병원을 찾는 사람이 미국에서 한 해에 8,000명이나 된다고 한다. 손이나 눈 같은 신체부위에 찔리기도 하고 특히 삼키는 경우에는 찔리는 경우보다 훨씬 위험하다. 이쑤시개는 샌드위치나 칵테일 체리 같은 음식을 장식하는 데에도 쓰이기 때문에 음식을 잘 씹지 않고 먹다가 잘못해서 이쑤시개를 삼키는 경우가 있다. 나무로 만든 이쑤시개는 삼켜도 잘 부러지지 않고 소화되지 않아 소화관 중간에 걸려서 장을 구멍 내고 감염시켜 장내 출혈이나 장내 감염 패혈증 등 매우 위험한 상황을 만들 수 있다. 엑스레이나 MRI 에도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진단도 매우 힘들다. 목숨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절대로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된다. 음식이나 음료 관련 용도일 때는 나무 이쑤시개보다는 물에 녹는 전분으로 만든 이쑤시개를 쓰는 게 좋다.


1.3. 기타[편집]


  • 암살 용도로 쓰일 수 있다. 서기 79년 모로코왕이 이를 쑤시다가 죽었는데 적국이 암살을 하기 위해서 을 묻힌 이쑤시개를 보낸 것이었다.

  • 법안의 애칭이기도 하다. 바로 로비스트 규제 법안이다. 미국의 경우 로비가 허가 되어있지만 그 병폐가 너무나도 심하고, 접대의 경우 상상을 초월하는 가격을 넘어가서 그걸 규제하기 위해 오직 핑거푸드만을 허락하는 법을 만든 것이다. 그러니까 만약에 접대를 받는다면 굴 스파게티는 절대 안되고, 그냥 생굴은 된다는 것. 이에 로비스트들은 이런 법에 대항하기 위해서 캐비어 등과 같은 고급 재료를 이용한 핑거푸드를 만들어 대응하고 있다.

  • 도쿠가와 막부 시대 사무라이들의 상징이기도 했다. 하급 무사들은 행정 관직에서 일하더라도 곤궁한 생활을 겪는 일이 많았는데, 아무리 곤궁하더라도 방금 밥을 먹은 것처럼 이쑤시개를 입에 물고 다녔던 것이다.[5] 이는 오늘날까지도 클리셰로 남아서, 애니메이션이나 사극 등에 나오는 사무라이 캐릭터들 가운데 이쑤시개나 나뭇가지 등을 입에 물고 있는 캐릭터들이 간혹 보인다. 여유로운 성격을 나타내기 좋은 표현법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 UFC의 라이트급 챔피언인 종합격투기 파이터 벤슨 헨더슨경기력 향상을 위해 항상 입에 이쑤시개를 문다고 한다. 물론 본인의 습관 문제가 크고 진짜 위험한거라 향후에 주최측에서 금지시킬 가능성이 크지만...

  • 파일:attachment/Secret_of_toothpick.jpg
이쑤시개의 뒷부분은 이러한 용도가 있다.

  • 세계적인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는 이걸 지휘봉으로 사용할 때가 있다. 주로 맨손 지휘를 할 때가 대부분이지만 지휘봉이 필요하거나 손이 심심할 땐,
파일:external/www.goclassic.co.kr/1121249885hamjii244.jpg
이렇게 지휘한다. 정확한 비팅보다는 느낌을 많이 표현하려는 지휘자이기 때문.

  • 진정남 나폴레옹의 작가 하세가와 테츠야는 이쑤시개에 잉크를 묻혀서 원고를 그리고 있다고 한다.

  • 마이크로 세공이 발달한 일본에서는 이쑤시개도 공예의 대상이다. 예시.


  • 나무에 박힌 나사(특히 나무 문틀과 경첩)가 헐거워 졌을 때 나사를 푼 뒤 이쑤시개를 몇 개 꽂아주고 다시 나사를 박아주면 다시 튼튼하게 결합된다. 사실 면봉도 마찬가지이다.

  • 전봇대도 이쑤시개가 된다 카더라 사실 이건 불간섭주의를 상대한테 강요할 때 쓰는 말이다. "내가 전봇대로 이를 쑤시든 네가 무슨 상관인데?"'

생으로 먹으면 처음엔 딱딱한데, 침으로 불리면서 살살 씹으면 쫄깃하다. 맛있다

  • 중국에서 이쑤시개 석궁이 유행했으나 지금은 규제가 심해졌다고 한다. 현재 일본에서 아마존닷컴이나 문방구에 판다고 한다.


  • 이쑤시개로 닿지 않는 부분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얇은 비닐을 치실 대용으로 사용하여, 이빨 사이에 낀 이물질을 꺼낼 수 있다.

  • 냉수 먹고 이 쑤신다는 속담이 있다: 잘 먹은 체하며 이를 쑤신다는 뜻으로, 실속은 없으면서 무엇이 있는 체함을 이르는 말.

  • 따로 규격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길이 65mm, 직경 2.2mm 재원의 제품이 가장 흔하게 판매되고 있다.

2. 피를 마시는 새에 등장하는 무기[편집]


피를 마시는 새의 등장인물인 레콘 힌치오의 무기. 장장 4m에 달해 대들보에 비유되는 거대한 레콘용 양손검이다. 팔리탐 지소어가 붙여준 별명이라 한다.

티나한의 7m에 달하는 장창도 대단하지만 힌치오의 이 양손검도 대단한 거병이다[6](사실 이름이 좀 알려졌다 싶은 레콘들의 대형 무기는 대부분 스케일이 어지간하다). 이런 거대한 무기에다가, 이를 쑤시지도 않는 레콘의 것인데도 이쑤시개라고 이름을 붙인 점에서 해학을 맛볼 수 있다.

후반부에 힌치오가 지멘과 일기토를 뜨는데, 지멘은 힌치오의 신체적 특징(긴 팔)에서 비롯된 약점을 잡았지만 망치와 칼이라는 무기의 한계에 부딪혀 좀 고전했다.그래서 철극을 가진 아트밀과 바톤터치. 아트밀은 지멘의 충고대로 약점을 찔러 물러나게 만든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6:45:02에 나무위키 이쑤시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손님이 쓰던 이쑤시개를 계속 들고 다니면서 다른 음식을 시식하는 데 다회용으로 써먹을 수도 있다. 하지만 지나치게 물건을 사지 않고 음식만 집어먹는 경우 민폐가 된다.(...)[2] 반면 마트에서의 시식은 음식 맛만 보라고 잘게 잘게 썰어서 주기 때문에 이쑤시개가 제격이다.[3] 여담으로 치약은 칫솔과 별개로 발달했다.[4] 출처: 유럽의 폭풍 게르만족의 대이동/ 이재원 역/ 코기토(cogito)[5] 이는 조선 후기 남산골 선비들이 나막신을 신고 다녔던 것과 비슷하게, 곤궁하지만 자존심을 지키는 사무라이들의 상징적인 이미지로 일본인들에게 남아 있다.[6] 레콘의 키가 평균 3m 정도로 묘사되는데 4m짜리 양손검이라면 비율상으로 키 180cm의 사람이 2.4m 길이의 검을 쓰는 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