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열치열

덤프버전 :

1. 개요
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고사성어





더울
다스릴
더울

열에는 열로 상대한다는 개념의 사자성어

더운 여름날 시원한 계곡에서 뜨거운 삼계탕이나 보신탕을 먹는 이유 중 하나다. 한의학에서는 더운 여름에는 몸 속의 열이 피부 밑에 몰리게 되고 상대적으로 체내는 냉해지게 되는데, 이 냉한 속을 보하기 위해 뜨거운 음식을 먹는 것이라고 말한다. 날씨가 덥다고 차가운 음식을 먹으면 오히려 안팎으로 온도의 불균형이 심해져 더위가 더욱 심해진다고.

다만 이북출신 사람들의 증언에 따르면 냉면을 겨울에 먹었던 이유는 단순히 그때 얼음이나 차가운 동치미 국물 등을 구하기 쉬워서 였다고 한다. 전근대 시기에는 냉장고가 없었고, 1990년대 이후에도 북한에서는 전력난 때문에 냉장고를 쓰는데 애로사항이 종종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 다른 이열치열의 원리는 매운것을 먹고 땀을 엄청 뺀 후, 바람이 불면 시원해지는 원리라고 한다.

중국 등의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살균을 이유로 한여름에도 뜨거운 물을 마시기도 함으로서, 이열치열을 실천했었다.

다만 홍혜걸 박사의 말에 따르면 이열치열은 매우 미련하고 비과학적인 행위라고 주장한다. 탈진에 빠지기 쉽게 만들고, 열사병의 위험을 높이며, 혈관이 막힐 위험을 높이는 행위라고. 더울 때는 당연히 찬것을 먹는게 좋고, 시원한 물을 적당히 마시는걸 추천한다고 한다. 즉, 이열치열보다 오히려 이한치열을 추천하는 것이다.

정반대로 이한치한(以寒治寒)이 있다. 많이들 이냉치냉이라고 심심찮게 부르는데 유사표현이라고 한다. 이북 냉면인 평양냉면함흥냉면이 대표적인 겨울 음식이었다는 사실이 대표적.[1] 이는 겨울철 온돌을 피웠을 때의 실내온도가 30~40도 대로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체온의 균형을 맞춰주기 위한 목적도 있었고, 냉장 시설이 부족하던 시절 겨울에 보관하기 쉬운 찬 음식을 제철에 소비하기 위해서이기도 했다.

이이제이와 혼동할 수 있다. 사실 치(治)나 제(制)나 다스리거나 억제한다는 뜻이 있어서 이열제열, 이이치이라고 써도 의미는 통한다.

2.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7:34:18에 나무위키 이열치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진주냉면은 본래 양반들의 여름철 별미였기에 여름이 지나면 냉면 장사를 멈췄다고 한다. 전국적으로 진주냉면의 이름이 퍼지면서 계절을 가리게 되지 않았을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