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왕가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

덤프버전 :

파일:이왕가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jpg
사진 출처 : 서울특별시청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창덕궁, 창경원 사진첩(1910)

1. 개요
2. 내용



1. 개요[편집]


경술국치 직후인 1910년~1912년 당시 창경원의 이왕가박물관에서 전시했던 신라시대 금귀걸이 1쌍. 현재 소재지는 알 수 없다.


2. 내용[편집]


1909년에 대한제국 황실에서 창경원에 설립한 한반도 최초의 박물관인 이왕가박물관에서 전시했던 고신라시대 금귀걸이 유물이다. 정확히 언제부터 이 유물이 전시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1912년에 출판된 사진첩에 사진이 실려있는 고로, 박물관이 설립된 1910년부터 1912년 사이에 전시된 것은 확실하다.

이왕가박물관의 원래 명칭은 제실박물관으로, 1909년 창경궁 명정전 일원에 설립되어 11월 1일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이왕가박물관으로 개칭되었으며, 1938년에 명칭이 이왕가미술관으로 바뀌었다가 해방 뒤에는 덕수궁미술관으로 존속, 최종적으로 1969년에 현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품이 통합되었다.

본 유물의 사진은 1912년에 발행된 『이왕가박물관 소장품 사진첩』(상ㆍ하 2권)에 수록된 것으로, 이 당시 이왕가박물관의 소장품 수는 총 12,230점이었다. 현재 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보다 10여년 더 이른 시기에 발견하여 박물관에 전시되었던 한국 최초의 누금 장식 금귀걸이 유물로, 비록 대신 를 표현하는 등 누금 디자인의 상태가 많이 다르긴 하지만 제작장소와 제작시기는 부부총 금귀걸이와 거의 동일할 것으로 추측된다. 충분히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와 같이 국보 또는 보물로 지정될 만한 작품이나 과거 이왕가박물관의 유물을 이관받았을 국립중앙박물관에 현재 이 유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현 소재지는 미스터리한 상황이다.

정확히 언제 어디로 사라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이왕가박물관의 창설 및 유물 관리에 일본인과 일제가 깊이 관여했던 만큼 현재는 일본에 유출되어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다만 현 국립중앙박물관의 관리체계 문제로 수장고에서 지금도 가끔가다 사라졌다던 유물들이 갑자기 튀어나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의외로 이왕가박물관으로부터 이관받은 당시 모습 그대로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 먼지와 함께 쳐박혀있을 가능성도 있다.경향신문 : 박물관 밑이 어둡다? 수장고에서 '발굴'한 국보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7:59:43에 나무위키 이왕가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