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위공문대

덤프버전 :

분류




1. 소개
2. 상세


1. 소개[편집]


무경칠서(武經七書)의 하나이다. 정식명칭은 당태종이위공문대(唐太宗李衛公問對)이나, 약칭으로는 이위공문대 혹은 당리문대(唐李問對)로 불린다.

내용은 당태종 이세민과 당의 명장 이정이 문답하는 형식의 병서다. 저자는 당나라 초기 장수인 이정으로 알려져 있으나, 구당서, 신당서송사 예문지에는 이정의 저서로 육군경(六軍鏡) 3권, 위국공수기(衛國公手記) 1권, 이정병검신서(李靖兵钤新書 )1권, 도검비술(韜鈐秘術) 1권, 총요(總要) 3권, 궁결(弓訣) 1권만이 있지 이위공문대는 없다.

실질적으로 송대 이후의 무경칠서 합본이 나오기 전까지는 그 실물을 본 사람조차 존재하지 않고 후대 가필이나 역사적 내용에 맞지 않기 때문에 위서 취급인데, 따라서 이정이 쓴 내용이 아니라면 누가 쓴것인지 여러가지 얘기가 나오고 있다.

진사도(陳師道)는 후산담총(後山談叢)에서 이 책을 송나라 사람 완일(阮逸)의 위작이라 주장했다. 그러나 이 설의 경우 점점 그 진위가 의심받아서 이 책은 이정의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또한 완일의 것도 아니라는 의견이 자리잡았다. 완일이 지었다면 문체가 조잡하진 않을 것인데 이 책의 문체가 조잡하다는 의견이 있었던 것이다.


2. 상세[편집]


사고전서총목제요에선 당말송초 촌에 사는 선비나 속된 학자가 정관(貞觀)의 군신의 유사(遺事)를 수집해 이를 만든 것이다라는 의견을 냈다. 칠서의 제정에 의거하면 결코 당(唐)대의 구문이 될 수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이 책은 기정(奇正)을 분별하고, 공수(攻守)를 가리키며, 주객(主客)을 변화시켜, 병가의 오묘한 뜻에서 당시에 얻는 바가 있다했고 정원(鄭瑗)의 정관쇄언(井觀瑣言)에선 문대(問對)란 책이 비록 위서이나, 반드시 학식과 모략이 있는 자의 손에서 나온 것이라고 일렀다. 이 말이 이 책에 꼭 들어맞는다.

그러므로 지금 비록 그것이 바로 위작이라고 여겨지나, 오히려 이를 책에 적는다라고 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9:26:55에 나무위키 이위공문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