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구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헌
신익희 김약수 윤치영
김동원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장택상 김동성
조봉암
조봉암
윤치영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최순주 조경규
곽상훈
조경규
황성수 이재학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이재학
한희석 임철호
김도연
이재형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이영준
서민호
소선규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나용균
장경순
이상철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윤제술
장경순
정성태
제8대
장경순
정해영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김진만
이철승
구태회
이민우
제10대
민관식
고흥문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채문식
김은하
윤길중
고재청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최영철
김녹영 조연하
공석
장성만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노승환
김재광
김재광
조윤형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황낙주
허경만
이춘구 이한동
홍영기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오세응
김영배
신상우
김봉호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홍사덕 김종하
김종호
김태식
조부영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김덕규
박희태
이용희
이상득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이윤성
문희상
정의화
홍재형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이병석
박병석
정갑윤
이석현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심재철
박주선
이주영
주승용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김상희
정진석
김영주
정진석 정우택

역대 국회의장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충북 제2선거구)[1]
제11대
이해원
김영준

제12대
이춘구

이택희

선거구 분리
이종근[2]
이춘구[3]
안영기[4]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충북 제천시)
선거구 분리
이춘구[A]
이택희[A]

제13-14대
이춘구


선거구 개편
김영준[5]



대한민국 제14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이춘구
李春九 | Lee Choon-koo


파일:이춘구 전 국회부의장.jpg

출생
1934년 11월 18일
충청북도 청주군
(現 충청북도 청주시)
사망
2011년 9월 20일 (향년 76세)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장군2묘역 181호
본관
전주 이씨[1]
재임기간
제35대 내무부차관
1982년 1월 5일 ~ 1984년 10월 10일
제50대 내무부장관
1988년 5월 7일 ~ 1988년 12월 5일
제14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1994년 6월 29일 ~ 1995년 2월 8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
문춘자
자녀
아들 이재용, 딸 이서영
학력
남당국민학교 (졸업)
제천중학교 (졸업)
제천고등학교 (졸업)
육군기갑학교 (수료)
육군보병학교 (수료)
육군대학교 (졸업)
국방대학원 (졸업)
의원 선수
4
의원 대수
11, 12, 13, 14
경력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정화분과위원회 위원장
사회정화위원회 위원장
제11대 국회의원 (전국구 / 민주정의당)
제36대 내무부 차관 (전두환 정부)
제12대 국회의원 (충북 충주시·제천시·단양군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사무총장
제13대 대통령 선거 중앙선거대책본부장
제13대 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 위원장
제50대 내무부 장관 (노태우 정부)
제13대 국회의원 (충북 충주시·제천시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충청북도 지부 위원장
제14대 국회의원 (충북 충주시·제천시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사무총장
제14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
민주자유당 대표최고위원
자유민주연합 외교안보행정특임고문
군사 경력
임관
육군사관학교 (14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58년 ~ 1981년
최종 계급
준장 (대한민국 육군)
병과
포병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제50대 내무부 장관이자 제14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2. 생애[편집]


1934년 11월 18일 충청북도 청주군에서 태어났다. 이후 제천군으로 이주하여 제천남당초등학교, 제천중학교, 제천고등학교(2회), 육군사관학교(14기)로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포병 소위로 임관하였다.

이후 안무혁, 이종구, 배명국 등과 하나회에 가입하였다. 1980년 전두환신군부가 집권할 때 사회정화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81년 육군 준장으로 전역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82년 1월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차관을 역임하였다. 같은 해 4월 우범곤 순경 총기 난사 사건으로 서정화 내무부 장관이 경질되고 노태우 체육부(現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임명되자 노태우와 가까워졌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제천시-제원군-단양군 선거구에 민주정의당 후보로 출마하여 신한민주당 이택희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6년 민주정의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제천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5월부터 12월까지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4년 제14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에 선출되었다. 1995년 1월 김종필 前대표가 민주계와의 갈등으로 탈당하자 당 수습을 위해 대표최고위원을 맡았다.(국회부의장직은 사임) 김덕룡 사무총장과 함께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진두지휘하였으나 사실상 패배하자 책임을 지고 대표직과 부의장직을 사퇴하였다.

1996년 5.18 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과 헌정질서파괴범죄의 공소시효 등에 관한 특례법의 국회 상정에 반발하였다.[2] 그리하여 안무혁 등과 15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2011년 9월에 사망하였다, 사인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3. 여담[편집]



위원회 간사로 있는 육군 준장이 인상적이었다. 얼굴이 굉장히 차갑고 날카롭게 생겼는데, 사람들이 그 사람을 어렵게 생각하면서 아예 접근 자체를 하지 않으려는 분위기가 느껴졌다. 위원장보다 더 실세 있는 파워맨으로 보였다. (중략)

그 육군 준장이 나중에 내무부장관과 신한국당 대표, 국회 부의장을 역임한 이춘구 씨로, 내 인생에 있어 가장 가까운 인연을 맺은 사람 가운데 한 명이 되었다.

김종인 회고록 《영원한 권력은 없다》 中


  • 그와 함께 일했던 사람들의 회고에 따르면 강직한 성품과 깔끔한 이미지를 가진 사람이었다고 한다. 이런 본인의 성격은 정치행보에서도 드러나는데, 자신이 민자당 대표로서 지방선거를 이끌었지만 사실상 패배하여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으며 대통령의 수 차례 반려 끝에 결국 사퇴를 하게 되었다. 또한 정계은퇴도 대통령과 당직자들이 15대 총선 출마를 해줘야 한다며 만류했지만 자신이 모셨던 두 대통령이 5.18특별법 제정과 구속으로 곤욕을 겪는 상황을 겪자자 정치현실에 회의를 느껴 제천 지역구 당원 모임에서 정계은퇴를 선언하였다. 그 후 여의도 인근에 사무실을 차려 도시락 싸들고 다니며 독서 등의 생활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 본인의 운전기사와의 일화도 있는데, 본인이 차에 탑승 후 바로 출발하지 않고 뜸들이면 시간과 기름 낭비라며 질책했다고 한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81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776,624 (35.6%)
당선 (20번)
초선
1985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2[3]
114,497 (52.83%)
당선 (1위)
재선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제천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5,478 (53.51%)
3선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3,148 (67.2%)
4선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이춘구12.jpg


파일:이춘구13.jpg

12대 총선 (충북 2[B])
13대 총선 (충북 제천시)

파일:이춘구14.jpg



14대 총선 (충북 제천시)



5. 둘러보기[편집]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전국구 제11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민주정의당

61석


이재형

나길조

김종경

이용훈

김기철
~~~~
송지영
~~~~
정희택

박동진

정원민

김정호

윤석순

김종호

최상업

황병준

류근환

김용수

박태준

박경석
----
이우재

이춘구

김현자
~~~~
정순덕

배성동

김사용

이건호

신상초
----
오제도

김윤환

정희채

김춘수

박현태

이양우

박종관

고귀남
~~~~
나웅배

김집

지갑종

허청일

이상선

손춘호

정시채

안교덕

최낙철

김모임
~~~~
이헌기

이윤자

이민섭

이영희

김종인

박원탁

이상희

이영일

이경숙

조남조
~~~~
김행자

이낙훈

김영구

황설

하순봉

곽정훈

전병우

정창화

문용주

김유상

장경우

유수환

김지호
~~~~
이성재

강창희

이성배
민주한국당

24석

~~~~
유옥우

이태구

김문석

황산성

양재권

정규헌

손태곤

신재휴

이정빈

김진기

이중희

연제원

최수환

서종렬

손정혁

김노식

이의영

조주형

강원채

이윤기

윤기대

이홍배

김형래

김덕규

이용곤

한국국민당

7석


김영광

이필우

노차태

조정구

김한선

김유복

강기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text-align: right; font-size: .8em;"
제12대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1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재형
나길조
김종경[A]
이용훈
김기철
송지영[B]
정희택
박동진
정원민
김정호
윤석순
김종호
최상업
황병준
류근환
김용수
박태준
박경석
이우재[B]
이춘구
김현자
정순덕[B]
배성동
김사용
이건호
신상초
오제도
김윤환
정희채
김춘수
박현태
이양우
박종관
고귀남
나웅배[B]
김집
지갑종
허청일
이상선
손춘호
정시채
안교덕
최낙철
김모임
이헌기[B]
이윤자
이민섭
이영희
김종인
박원탁
이상희
이영일
이경숙
조남조
김행자[A]
이낙훈
김영구
황설
하순봉
곽정현
전병우
정창화[C]
문용주[C]
김유상[C]
장경우[C]
류수환[C]
김지호[C]
이성재[1]
강창희[C]
이성배[C]
[A] A B 임기 중 사망.[B] A B C D E 임기 중 사퇴.[C] A B C D E F G H 승계.[1] 승계 전 사퇴.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3:25:52에 나무위키 이춘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견성군파# 15대손, 시조 43세손 ○九(구) 항렬.[2] 그러나 아이러니한 건 정작 5.18 당시 포병학교장 시절 군 출동을 막다가 전두환 보안사령관의 분노를 사고 사령관실에서 전두환에게 직접 조인트를 심하게 까이고 준장 진급 직후 강제 예편을 당했다는거다. 이후로 후배 포병장교들은 김영삼 대통령 취임전까지 진급에 불이익을 심하게 받게 되었다. 실제로 6.29 선언의 숨은 공신이 공교롭게도 그의 육사 1년 후배인 민병돈 前 특전사령관이라고 한다. 그는 고명승과 더불어 육사15기 하나회 성골(전두환 라인)이지만 실제로 특전사 출동 논의가 오갈 때 그의 수하들이 반대한다는 이유로 그의 동기인 고명승 보안사령관한테 군 출동 거부 의사를 밝히게 되고 결국 전두환은 백기를 들게 된다.[3] 충주시, 제천시, 중원군, 제원군, 단양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