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택근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축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이택근(축구선수) 문서
이택근(축구선수)번 문단을
이택근(축구선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1d2764,#1d2764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1d2764><width=20%> '''{{{#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 {{{#1d2764,#017987 1}}} [[이나현(1998)|{{{#000,#FFF 이나현}}}]] · {{{#1d2764,#017987 11}}} [[장민성(야구선수)|{{{#000,#FFF 장민성}}}]] · {{{#1d2764,#017987 16}}} {{{#000,#FFF 김민우}}} · {{{#1d2764,#017987 20}}} [[여도건|{{{#000,#FFF 여도건}}}]] [br] · {{{#1d2764,#017987 21}}} {{{#000,#FFF 정성현}}} · {{{#1d2764,#017987 29}}} [[이희재(야구선수)|{{{#000,#FFF 이희재}}}]] · {{{#1d2764,#017987 32}}} {{{#000,#FFF 김기영}}} · {{{#1d2764,#017987 34}}} [[이도현(야구선수)|{{{#000,#FFF 이도현}}}]] [br] · {{{#1d2764,#017987 39}}} {{{#000,#FFF 곽진선}}} · {{{#1d2764,#017987 41}}} {{{#000,#FFF 이대겸}}}  · {{{#1d2764,#017987 40}}} [[한선태|{{{#000,#FFF 한선태}}}]] · {{{#1d2764,#017987 46}}} {{{#000,#FFF 노명하}}} [br] · {{{#1d2764,#017987 51}}} {{{#000,#FFF 전상촉}}} · {{{#1d2764,#017987 54}}} {{{#000,#FFF 이현민}}} · {{{#1d2764,#017987 55}}} {{{#000,#FFF 김동현}}} · {{{#1d2764,#017987 88}}} {{{#000,#FFF 파체코}}} · {{{#1d2764,#017987 99}}} {{{#000,#FFF 장요셉}}} · {{{#1d2764,#017987 #}}} [[맹성주|{{{#000,#FFF 맹성주}}}]] ||
|| '''{{{#ffffff 포수}}}''' || {{{#1d2764,#017987 52}}} {{{#000,#FFF 김태훈}}} · {{{#1d2764,#017987 61}}} {{{#000,#FFF 오서준}}} · {{{#1d2764,#017987 69}}} {{{#000,#FFF 김시윤}}} ||
|| '''{{{#ffffff 내야수}}}''' || {{{#1d2764,#017987 3}}} [[박준영(1996)|{{{#000,#FFF 박준영}}}]] · {{{#1d2764,#017987 7}}} {{{#000,#FFF 이혁준}}} · {{{#1d2764,#017987 12}}} {{{#000,#FFF 최은수}}} [br] · {{{#1d2764,#017987 13}}} [[박수현(야구선수)|{{{#000,#FFF 박수현}}}]] · {{{#1d2764,#017987 27}}} {{{#000,#FFF 장범수}}} · {{{#1d2764,#017987 50}}} [[김현우(2001)|{{{#000,#FFF 김현우}}}]] ||
|| '''{{{#ffffff 외야수}}}''' || {{{#1d2764,#017987 17}}} {{{#000,#FFF 석지훈}}} · {{{#1d2764,#017987 19}}} {{{#000,#FFF 장이재}}} · {{{#1d2764,#017987 53}}} [[송우현|{{{#000,#FFF 송우현}}}]] · {{{#1d2764,#017987 57}}} [[김연준(1996)|{{{#000,#FFF 김연준}}}]] ||
||<-2><#017987>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2764; font-size: 0.8em"
{{{-2 {{{#FFF 단장}}}}}}}}}'''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양승관|{{{#ffffff {{{-2 양승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276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s-2.1|{{{#FFF {{{-2 감독}}}}}}]]}}}'''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최기문|{{{#ffffff {{{-2 최기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276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 {{{-2 수석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황선일|{{{#ffffff {{{-2 황선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276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 {{{-2 투수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박민주(야구선수)|{{{#ffffff {{{-2 박민주}}}}}}]] [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276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 {{{-2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ffffff {{{-2 이환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276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 {{{-2 타격 코디네이터}}}}}}]]}}}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이택근|{{{#ffffff {{{-2 이택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276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 {{{-2 수비·주루 코디네이터}}}}}}]]}}}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서동욱|{{{#ffffff {{{-2 서동욱}}}}}}]]''' ||



이택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이택근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3.svg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4.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03
2004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종목
금메달
2008

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은메달
2009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06 KBO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자




이택근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fab93d [[현대 유니콘스|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42번}}}
토레스
(2002)

이택근
(2003~2004)


이보근
(2005~2007)
{{{#fab93d [[현대 유니콘스|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31번}}}
장교성
(2004)

이택근
(2005~2007)


팀 해체
{{{#fff [[우리 히어로즈|우리]] / [[서울 히어로즈|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29번}}}
팀 창단

이택근
(2008~2009)


번사이드
(2010)
{{{#fff [[LG 트윈스|LG 트윈스]] 등번호 29번}}}
페타지니
(2008.5.12.~2009)

이택근
(2010~2011)


임찬규
(2012~2013)
{{{#fff [[넥센 히어로즈|넥센]] / [[키움 히어로즈|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29번}}}
윤지웅
(2011)

이택근
(2012~2020)


임지열
(2021~)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최강야구_이택근.jpg

파주 챌린저스 타격 코디네이터
이택근
李宅根 | Lee Taek-Keun

출생
1980년 7월 10일 (43세)
경상남도 양산군 일광면
(現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1]
국적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학력
배정초등학교 (졸업)
대천중학교 (졸업)
경남상업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학[2] / 학사)
신체
183cm, 92kg, O형
포지션
포수[3], 외야수[4], 1루수[5], 지명타자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99년 2차 3라운드 (전체 24번, 현대)[6]
소속팀
현대 유니콘스 (2003~2007)
우리-서울 히어로즈 (2008~2009)
LG 트윈스 (2010~2011)
넥센-키움 히어로즈 (2012~2020)
지도자
파주 챌린저스 타격 코디네이터 (2022~)
해설위원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해설위원 (SBS Sports)
병역
예술체육요원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부문)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
아내 김연선[1]
자녀
장남 이루다, 차남 이로운[2]
종교
불교
MBTI
ISTP
등장곡
The Prodigy & Tom Morello - One Man Army
응원가
현대 시절 육성응원[3]
넥센-키움 시절
활밴드 - Forever Korea[4]
2NE1 'I Don't Care'[5]
Bernstein - 행진[6]
LG 시절
켈리 클락슨 - My Life Would Suck Without You[7][8]

1. 개요
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3.2. 수비
3.3. 주루
4. 은퇴 후
5. 연도별 성적
6. 사건 사고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주 포지션은 외야수이다.

2014년 넥센 히어로즈의 준우승 주역이자 프랜차이즈 스타였다.


2. 선수 경력[편집]


이택근의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편집]


리그를 폭격할 정도의 특출난 강점은 없지만, 그렇다고 리그 평균에 미달할 정도의 단점도 없기 때문에 모든 분야에서 두루두루 괜찮은 선수다.[7] 한마디로 모든 툴이 고루 좋은 5툴 플레이어. 이러한 점 덕분에 2000년대 후반 국가대표에 승선할 수 있었다.[8]

4000타석 이상 소화하며 통산 타율 3할을 넘긴 컨택형 타자이자, 항상 볼넷을 삼진보다 많이 고르는 선구안에 한 시즌 10개 이상 통산 100홈런을 넘길 정도의 장타력과 압도적으로 빠른 발은 아니지만[9], 탁월한 주루센스로 한 시즌에 두자리수 도루 이상에 통산 100도루를 넘길 정도의 주루능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역시 특출나진 않지만 주자의 추가진루를 억제할수 있는 송구력과 넓진 않지만 타구판단 능력으로 커버하는 리그 평균급 수비범위 그리고 안정적인 중계와 펜스플레이를 할줄 아는 준수한 외야수다. 한마디로 야구를 알고 하는 선수. 발, 어깨, 파워 등 피지컬로는 리그 최상위급이라고 할 수 없지만, 리그 평균을 웃도는 수준에서 여러 능력을 골고루 갖추고 있으며, 부족한 부분을 야구 센스로 메우는 유형이다. 히어로즈 내에서 야구에 대한 센스는 가장 뛰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한 센스를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장면으로 종종 시도하는 산책 도루와 상대방의 플레이를 보고 덕아웃에서 누상의 타자에게 이동을 지시하는 플레이 등이 있다.

현대 시절부터 이택근을 오래 겪어본 팬들은 이제 노쇠로 인한 하향곡선만이 남은 선수 이택근보다, 은퇴 후의 작전코치 내지는 감독 이택근이 더 기대된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3.1. 타격[편집]


전형적인 다운스윙을 하는 타자로서 큰 단점이 없다. 3할이 넘는 통산 타율에서 보듯이 안정적으로 타율을 유지한다. 타격폼은 극단적인 오픈스탠스로 보이지만 투구와 동시에 다리를 모아 오픈스탠스로 볼 순 없다. 몸쪽, 바깥쪽 크게 약점없이 고루 공략을 한다. 다소 정석에서 어긋난 폼이긴 하나, 자신의 몸에 맞춘 좋은 폼이다. 젊던 시절엔 배팅글로브를 착용하지 않고 타격했으나 어느 순간부터는 한쪽 손에만 착용했고 지금은 양손 모두 착용한다.

좋은 컨택과 장타력을 고루 갖춘 중장거리형 타자지만 번트밀어치기를 잘해 작전수행 능력이 무척 뛰어나기도 하다. 히어로즈 복귀 초기 LPG의 일원으로서 중심타선에 배치 됐으나 염경엽 감독 부임 이후 강한 2번타자로서 2번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아졌고 장타면 장타, 컨택이면 컨택, 작전이면 작전 모두 뛰어나게 소화하며 2014년 MVP 서건창과 함께 역대 최고의 테이블 세터를 구축하는데 일조했다.

볼삼비도 통산 0.8 내외로 준수한 선구안을 자랑한다.

3.2. 수비[편집]


원 포지션은 포수로 대학시절부터 일찍이 국가대표팀에 선발될 정도로 전도유망한 선수로 꼽혔지만, 프로 입단 이후 수비력에서 나아질 기미가 안보이자 당시 김재박 감독에 의해 타격을 살리기 위해 1루수를 거쳐 외야수로 전향한다. 이후 주로 코너 외야수로 출장하다 2006년부터 중견수로 자리잡는다. 재밌게도 코너 외야수는 잘 못했지만 중견수로서는 괜찮게 했는데, 코너에서 휘는 타구에 대한 타구 판단에 큰 애를 먹었다고 한다. 직선형 볼만 처리했던 내야수들과 포수들이 외야수로 전향했을 때 코너 외야수로서 애를 먹는 경우가 흔한데, 이택근도 그런 케이스다.

원 포지션이 포수였고 20대 중후반에 외야수로 정착하여 전문 외야수들에 비해선 조금 수비력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타구 판단, 포구, 범위, 펜스플레이 모두 특출나진 않아도 그렇다고 해서 중견수로써 크게 나쁘지도 않은 수비력을 보였다. 다만 2015년 이후로는 나이가 있어서 그런가 수비범위가 급격히 좁아지며 코너 외야수로 전향하게 됐다.[10]

3.3. 주루[편집]


주루에 있어서는 크게 적극적이거나 과감한 시도를 하는 편은 아니나 안정적으로 한 베이스를 더 가고 상대 수비와 투수들의 속을 벅벅 긁어놓는 센스있는 주루플레이가 일품이다. 이대형처럼 압도적인 빠른 발을 가지고 있다거나 이용규처럼 내야를 휘젓는 뛰어난 주자는 아니지만 상대 수비진의 헛점을 노리고 야금야금 한 베이스씩 먹고 들어가는 유형이다. 본 문서 최상단의 그 유명한 산책도루도 이택근의 센스를 잘 설명해주는 예.


4. 은퇴 후[편집]


히어로즈 선수들이 2020년 말, 은퇴식을 열어주었다.#

은퇴식 이후, 초, 중, 고등학교 야구부들을 돌면서 재능기부를 하기 시작했다.#, #

2022년 초, 파주 챌린저스의 타격 인스터럭터로 야구계에 다시 발을 들였다.#

현역시절 명성에 비해 미디어에 노출되는 일이 적었는데 심수창의 유튜브 채널에 골프(...)로 얼굴을 비추었다.#

2022년 JTBC에서 방송하는 최강야구에 출연하고 있다. 주 포지션은 중견수이나, 충암고와의 3차전에서는 이홍구의 입스로 인해 포수로 출전, 오주원과 2004년 이후 무려 18년만에 배터리 호흡을 맞추기도 했다. 심지어 성남 맥파이스와의 경기에서는 9회 한 이닝이지만 3루수 수비를 소화했다.이승엽의 실험

2023년에도 잔류해 활약하고 있는데, 시즌 초에는 극심한 타격 부진에 시달렸고, 나아지는가 싶은 찰나 팔꿈치 수술을 받으면서 최강야구 경기를 한동안 뛸 수 없게 되면서 중견수 자리를 박용택이나, 연천 미라클에서 외야수로도 뛰고 있는 최수현이 맡고 있고 본인은 사실상 코치직을 맡고 있다. 전력분석원을 겸하다 싶이 전력분석을 해오고[11], 김성근 감독이 이광길 수석코치에게 라인업 작성을 맡겼을 때 같이 의논하고 작성하기도 하였으며[12] 이광길 수석코치가 불참하는 경기에서는 아예 본인이 3루에서 작전코치로 나오고, 아예 경기 전에 김성근 감독의 공지사항을 선수들에게 전달하거나 라인업까지 불러주는 등 2023시즌에서는 아예 코치로서 방송분량을 쏠쏠히 챙기고 있다.[13]

코치로서 분량을 상당히 챙겼는지, 2023 최강야구 올스타전때는 아예 OB팀 감독으로 경기를 진행했다.[14]

SBS Sports에서 2023 WBC를 중계할 때 대니얼 킴, 김용의와 함께 객원 해설로 출연했다.

5.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

출장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출루율
장타율
wRC+
2003
현대
101
212
.278
59
11
0
4
17
26
2
11
35
.350
.387
96.6
2004
41
57
.211
12
1
0
2
8
9
0
5
11
.297
.333
71.6
2005
71
139
.331
46
9
0
2
14
20
2
19
22
.440
.439
149.3
2006
118
419
.322
(2위)
135
21
2
9
66
58
8
45
51
.396
.446
147.1
2007
116
438
.313
137
15
1
11
56
74
6
39
41
.398
.427
129.2
연도

출장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출루율
장타율
wRC+
2008
우리
110
372
.317
118
19
1
12
58
59
18
48
44
.398
.470
143.0
2009
서울
123
456
.311
142
26
0
15
66
84
43
(3위)
64
59
.407
.467
129.1
연도

출장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출루율
장타율
wRC+
2010
LG
91
337
.303
102
17
1
14
50
66
14
38
55
.377
.484
125.7
2011
85
317
.297
94
17
0
4
29
44
10
40
45
.377
.388
115.6
연도

출장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출루율
장타율
wRC+
2012
넥센
94
345
.275
95
20
1
8
55
54
13
31
30
.335
.409
111.1
2013
123
477
.287
137
31
(1위)
1
9
66
73
29
39
58
.345
.413
104.5
2014
122
441
.306
135
32
1
21
91
87
11
51
43
.386
.526
116.5
2015
105
347
.326
113
16
1
10
44
61
11
44
53
.402
.464
122.6
2016
127
398
.309
123
19
1
8
65
64
7
53
56
.389
.422
107.6
2017
100
241
.278
67
15
1
3
29
27
0
25
58
.347
.386
87.3
2018
104
308
.308
95
25
1
4
52
40
1
32
44
.385
.435
109.9
2019
키움
1군 기록 없음
2020
20
57
.194
11
5
0
0
7
5
0
7
21
.281
.281
52.5
KBO 통산
(18시즌)
1651
5361
.302
1621
299
12
136
773
851
175
591
726
.379
.439
117.5

6. 사건 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택근 문우람 폭행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기타[편집]



  • 이름 때문에 대표적인 별명이 만화 "로보트 태권 V"를 본뜬 택근브이. 팀 내에서도 이택근이 부상으로 빠졌을 때 모자에 29V라고 써놓을 정도로 통하는 별명인 듯. 한편으로 득점권 찬스나 주자가 있을 때에는 그다지 위압감이 없어서(주로 LG시절. 디씨 히어로즈 갤러리 내지 LG갤러리에서는 잉택근 혹은 스탯근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도 있다.[15]

  • 얼굴이 잘생긴 편에 배우 하정우와 많이 닮았다. 실제로 하정우는 이택근이 2년 동안 있었던 팀 LG 트윈스의 팬이다.[16]

  • 넥센에 돌아온 뒤로는 50억에서 따 온 오시벅, 시벅이형,택주(장) 등으로 불렸다. 물론 못 할 때는 당연히 가차없이 까인다. 주로 LG시절에 만들어진 조롱 섞인 별명으로... 팀 주전 중 나이가 있는 편이라 노친네에서 따온 택친네 라던가, 낡은이라는 별명도 생겼다.

  • 2011년 11월 11일 슈퍼스타K3 결승전에 관람온 사진이 찍히기도 했다.

  • 박용택이 인터뷰하기를 자기가 LG에서 이택근 있을 때 빼놓곤 자기 자리를 위협 받아 본 적이 없다고 한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맷 켐프와 굉장히 유사한 면을 보인다. 둘 다 우투우타 외야수[17], 2000년대 후반의 전성기, 그리고 유명 여배우와의 열애 및 결별 등등. 그래서 켐프는 켐택근 또는 맷택근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 2012년 12월 언론에 이택근이 2013년 1월에 재일교포와 결혼한다는 소식이 알려졌는데, 갑자기 2014년 12월 7일에 한국인 치과 의사와 1년 간의 열애 끝에 결혼한다는 소식이 알려져 네티즌들을 혼란에 빠뜨렸다. 들리는 소문에 따르면 재일교포 여성과 약혼을 맺었다가 파혼되었다고 한다.

  • 2006년, 2009년 골든글러브 2회 수상자인데도 불구하고 수상한 해 모두 본인을 제외한 나머지 두 선수가 모두 좌타자였다는 아이러니한 점이 있다.[18]

  • 축구선수 차두리와는 고려대학교 99학번 동기 사이다. 사적으로도 친분이 있다고 하며 그 이유인지 2015년 차두리가 같은 고려대 후배인 박주영과 함께 목동구장에 넥센 경기를 직관하러 온 적도 있다. 자신의 유니폼을 차두리에게 선물하기도 했다. 그 이유인지 차두리는 공개적으로 넥센 팬임을 밝히기도 했다.

  • 2014년을 마지막으로 강정호가 메이저리그에 진출하고, 2016년 손승락이 롯데로 이적하고, 2017년 김세현 & 유재신이 KIA로 떠남으로서 2020년 기준으로 2004년 데뷔한 오주원과 함께 히어로즈에 단 둘만 남은 현대 유니콘스 출신 선수이자 유일한 야수다. 특히 현대의 마지막 영광인 2003, 2004년 2연패를 경험한 마지막 선수다.[19] 유니콘스의 영욕과 히어로즈의 험난했던 초창기, 현재를 모두 지켜보았다. 다만 중간에 LG에 가 있어서 모든 시절을 다 경험하진 못했다.[20]

  • 박병호의 선구안에 도움을 줬다고 한다. 계속 삼진을 먹던 박병호에게 "병호야 투수들은 너를 피하려고 하는데 넌 왜 계속 승부하려 하니?" 라는 말을 하자 "아!" 하는 느낌과 함께 공이 보이기 시작했다고.

  • 등번호 29번은 임지열에게 넘어갔다.

  • 고려대학교 두 학번 후배이자 최강야구에 함께 출연중인 정근우와는 아버지끼리 친구이다. 그러다보니 두 사람의 대학시절 집합을 한 뒤 매번 이택근의 아버지한테 전화가 오는데 정근우가 집합하면서 있었던 일을 자신의 아버지에게 얘기하면 정근우의 아버지는 이택근의 아버지에게 전달하고 이택근의 아버지는 그걸 이택근에게 그대로 전했다고 한다.

8. 관련 문서[편집]


[1] #[2] #[3] 경남상고, 고려대학교 시절에는 포수였다. 데뷔 초창기 현대 유니콘스 시절에도 잠깐 포수로 뛴 적이 있었다. 그리고 한참 뒤인 2022년, 최강야구에서 이홍구의 입스로 인하여 이승엽 감독의 요청으로 다시 포수로 귀환하게 된다.[4] 현대 시절부터 2015년까지는 주로 중견수로 나섰다가, 2016년 이후로는 코너 외야수로 종종 나온다. 2020년에 우익수로 뛰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최강야구에서도 주포지션은 외야수다.[5] 현대 입단시 1루수를 봤었다. LG에서도 봤었으나 1루 수비는 매우 좋지 않았다.[6] 박한이(1997년 지명, 2001년 데뷔), 박용택(1998년 지명, 2002년 데뷔)처럼 드래프트 지명 후 대학을 진학해 2003년에야 데뷔하게 된다.[7] 예를 들어서 삼성의 박한이를 '꾸준함'으로 설명하듯이.[8] 다만 당시 외야진이 이종욱, 이용규, 김현수, 추신수, 이진영 등 쟁쟁해서 백업 요원을 주로 수행했다. 또한 포수 출신이라 유사시 포수로도 쓸 수 있다는 점도 작용했다.[9] 순수한 빠르기로는 키움 팀내 선수인 박병호에게도 뒤지는 걸로 알려져 있다. 다만 박병호도 20도루를 기록한 적 있는 준족이라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10] 물론 운동 능력이 급감했다고 하더라도 외야수로서의 수비력은 고종욱보단 훨씬 위다. 그만큼 고종욱의 수비 센스가 개망이란 이야기도 되지만.[11] 청소년 대표팀전 직전에 작년처럼 스윕패 당할것을 우려한 제작진들이 청소년 대표팀과 한일장신대간의 연습경기를 대표팀 감독의 허락을 받고 촬영 후에 편집해서 선수들에게 영상을 배포했는데 이택근은 영상은 물론이고 유튜브 자료까지 찾아가면서 철저하게 분석했다.심화학습[12] 정확히는 두번째 라인업 대행작성할 때였는데 당시 이광길 코치가 늦게 도착해서 선수들 웜업 준비를 못본 상태에서 이택근이 자신이 봤으니까 책임을 분산해 주겠다며 같이 작성했다.[13] 라인업에 관여한다는 것을 선수들이 알고 나서 박용택과 이대호가 자기를 지명타자로 빼달라고 은근슬쩍 부탁한다고 말했다.[14] 최강 몬스터즈 감독을 맡고있는 김성근이 중립을 선언하면서 자동적으로 원래 코치인 이광길 그리고 부상으로 시즌 아웃되어 코치로 활동중인 이택근이 감독으로 지명되었다. 여담으로 우승팀 감독에게 300만원 외식 상품권이 걸려있었고 상대적으로 23시즌 팀내 1,2선발인 이대은, 신재영이 있는 YB팀이 이길 확률이 높은걸 알기에 장시원 PD가 공평하게 야구공으로 제비뽑기하는 방식으로 정했으며, 당시 이광길 코치가 중계로 인해 결석이라 이택근이 뽑았다. 야구공 실밥이 파란색이 YB팀이었는데 이택근은 공에 붙은 최야 로고 스티커의 파란색을 보고 YB감독인줄 알고 자랑하다가 사실 OB팀 감독이라는 걸 알고 좌절했다.[15] 혀갤에서 주로 쓰던 표현이다. 쥐갤에선 훨씬 나쁜 별명들을 만들어서 썼다.[16] 실제로 이택근이 LG에 있던 시절, LG 트윈스에 잘생긴 선수/코치가 많아서 주목받았던 적이 꽤 있다. 지금도 언급되는 심수창이대형, 벌크업 전의 젊은 박용택, 당시 군복무 중이었던 우규민, 황정민 닮은 감독 박종훈, 1994년 특급 신인이자 맹활약했었던 류지현 코치와 서용빈 코치, 그리고 악동적인 이미지와는 별개로 외모가 잘생긴 편이라는 얘기가 많았던 서승화 등 정말 많았다. 괜히 이때 LG가 얼굴보고 뽑는다는 얘기가 돌았던게 아니다.[17] 그것도 중견수다.[18] 2006년에는 좌타자인 박한이이용규가 수상을 하였고 2009년에는 역시 좌타자인 박용택김현수가 수상을 했다.[19] 그리고 이택근은 합류만 2003년에 했지 지명은 무려 현대의 인천 시절인 1998년, 1999년 신인드래프트 때 받았다.[20] 현대 유니콘스 출신이면서 히어로즈의 역사를 모두 경험한 멤버로는 이보근이 있었으나, 2019년 시즌 종료 후 실시된 2차 드래프트에서 kt로 이적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8:21:03에 나무위키 이택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