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상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헌
[[제2대 국회|{{{-2 {{{#FFF 제2대

전·후
]]
[[제3대 국회|{{{-2 {{{#FFF 제3대

전·후
]]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이승만 신익희
신익희
이기붕
이기붕 곽상훈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6대 국회|{{{-2 {{{#FFF 제6대

전·후
]]·[[제7대 국회|{{{-2 {{{#FFF 제7대

전·후
]]
곽상훈
백낙준
이효상
제8대
[[제9대 국회|{{{-2 {{{#FFF 제9대

전·후
]]
제10대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백두진
정일권
백두진
정래혁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전·후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채문식
이재형
김재순
박준규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박준규 이만섭
황낙주
김수한
박준규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이만섭
박관용
김원기
임채정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김형오
박희태
강창희
정의화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정세균
문희상
박병석
김진표

국회부의장 · 임시의정원 의장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6·7대 국회의장
이효상
李孝祥 | Lee Hyo-sang


파일:이효상 국회의장.jpg

출생
1906년 1월 14일
경상북도 대구군 서상면 계산동
(現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2가 108)[1]
사망
1989년 6월 18일 (향년 83세)
대구직할시 남구 대명동 692
(現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15길 21-77)
묘소
경상북도 군위군 가톨릭군위묘원
본관
성산 이씨[2]

한솔
재임기간
제6대 전반기 국회의장
1963년 12월 17일 ~ 1965년 12월 16일
제6대 후반기 국회의장
1965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제7대 전반기 국회의장
1967년 7월 10일 ~ 1969년 7월 9일
제7대 후반기 국회의장
1969년 7월 10일 ~ 1971년 6월 30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이수조, 어머니 김태
배우자
한덕희
자녀
아들 이문호, 이문희, 이문조
학력
대구고등보통학교 (졸업)
야마구치고등학교 (졸업)
도쿄제국대학 문학부 (독문학 / 학사)
뢰번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철학·문학 / 수료)
종교
천주교 (세례명: 아길로)[1]
의원 선수
5
의원 대수
5, 6, 7, 9, 10
약력
대구 교남학교 교장
경상북도 학무국장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
제5대 참의원(경상북도 제1부)
제6,7대 국회의원(대구시 남구)
제9,10대 국회의원(대구시 동구·남구)


1. 개요
2. 생애
2.1. 친일 행적 논란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기타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2. 생애[편집]


1906년 1월 14일 경상북도 대구군 서상면 계산동(현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2가)에서 아버지 이수조(李壽祚)와 어머니 김해 김씨 김태(金泰)[3] 사이에서 두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대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야마구치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1930년에는 동경제국대학 문학부 독문과를 졸업하였다.

귀국하여 대구 교남학교(현 대륜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1940년 동 학교 교장을 역임하는 등 주로 지방의 교육계에 종사하였다. 8.15 광복경상북도 학무국장을 지냈으며,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동 대학 학장으로 부임하였다. 그 사이 1954년 벨기에로 유학하여 뢰번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문학을 수학하기도 했다.

1960년 4.19 혁명 이후 실시된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참의원에 당선되었다.

그러다가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았던 박정희에 의해서 1963년부터 민주공화당 경상북도 지부장이 되어 여당 정치인으로 변신하였다. 박정희 생전에 사실상 그의 정치적 은사 노릇을 했으며, 막강한 권력을 바탕으로 대구·경북의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대구 남구지역구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제6대,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7.5년간 국회의장을 지냈다. 역대 최장수 국회의장이다. 1969년 박정희의 3선을 위한 개헌국회의사당 제3별관에서 변칙 통과시켰다. 이는 시민들의 큰 반발을 샀고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그의 지역구가 민주공화당의 강세 지역인 대구시였음에도 불구하고 신민당 신진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4] 그러나 10월 유신으로 국회가 해산되는 초헌적 조치가 일어나면서 8대 총선의 임기가 2년도 안 되어 끝나 낙선의원의 기간은 길지 않았다.

이후에 국회의원을 두 차례 더 지냈고 민주공화당 소속 정치인으로 활동하다 10.26 사태 이후 정계를 은퇴하였다. 1981년 4월 23일 국정자문회의위원에 위촉되기도 했으나 별 다른 활동은 없었다. 1989년 6월 18일 대구직할시 남구 대명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


2.1. 친일 행적 논란[편집]


대구에서 교편을 잡을 당시, 자기 제자들을 학도병으로 지원할 것을 독려하기도 하는 등 친일 부역 혐의가 있다.

일각에서는 이효상이 교편을 잡았던 교남학교(현 대륜고등학교)가 1921년 민족자본으로 세워진 학교고, 그 학교 출신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한 사람들도 배출되었다는 것 등으로 쉴드를 쳐줄려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택도 없는 소리다. 당시 교남학교는 5년제가 아니라 4년제라서 상급학교 지원이 불가능하여 교남학교를 인수하여 5년제 학교로 만들어줄 사람을 찾고 있었는데, 이효상이 기껏 찾아가서 모셔왔다는 사람이 친일파 서병조(1882~1952)였다. 이효상과 서병조는 대구 진골목에서 서로 옆집에 산 이웃사촌 지간이었다.

서병조는[5] 대구 지방의 유지로서 1924년부터 1940년대까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여러 차례 지내고, 3.1 운동을 방해하기 위한 조직위원회에서 활동한 인간이다. 이후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등 각종 친일단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1935년 조선총독부가 "일한병합 이래 시정방침의 철저한 선전에 노력하여 내선융화를 조장한 인물"이라며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는 조선인 공로자 353명 중 한 명으로 수록해 칭찬한 인물이다. 이 내용은 재경 대륜학교 동창회 인물/열전에 실린 이야기며, 거기에는 이효상이 "서병조 선생만이 교남을 구출할 분이라고 믿고 서병조 선생에게 교남을 맡아 달라고 끈질게게 설득하고 애절하게 호소"하였다고 나온다(...).

1921년 교남학교가 민족자본으로 세워진 건 맞지만 정작 5년제 대륜학교로 인가될 수 있었던 건 이효상이 친일파 서병조가 학교를 인수하도록 설득한 덕분이였으며, 대륜고등학교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한 사람이 있었을지언정 이효상 개인의 당시 친일성향의 반박 근거가 되기는 희박하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
무소속
]]

1960 - 1963
정계 입문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63 - 1980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80 - 1989
정당 해산
정계 은퇴
사망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참의원

[[무소속|
무소속
]]

192,157 (57.20%)
당선 (2위)
초선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대구시 남구[6]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23,513 (51.43%)
당선 (1위)
재선[7]
196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34,846 (55.92%)
3선[8]
1971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대구시 남구[9]
34,740 (42.86%)
낙선 (2위)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대구시 남구·동구[10]
76,245 (43.08%)
당선 (1위)
4선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79,299 (27.48%)
5선

역대 선거 벽보, 선거 공보[11]



5. 기타[편집]


  • 슬하에 세 아들을 두었다.
  • '아길로(아킬레오)'라는 세례명이 있다는 것에서 알 수가 있듯이 열심한 가톨릭 교인이였다. 1936년 《가톨릭청년》지에 〈기적〉이라는 시를 발표하여 등단했고 1962년 민주공화당에 들어가기 전에 《천주교회보》 편집장을 역임하는 등, 굉장히 오랫동안 거물급 평신도로 활동해왔다. 그의 차남 이문희(세례명 바오로, 2021년 선종)는 천주교 사제가 되어 대구대교구 교구장 대주교로 2007년까지 봉직하기도 했다. 장면 총리의 경우에도 평신도 지도자로 활동하며 정치에 입문하였고 아들인 장익 주교 역시 춘천교구장 겸 함흥교구장 서리 주교를 역임했기에 두 일가가 정치노선은 반대였음에도 비슷한 길을 걸은 셈이다.
  • 양순직 전 의원의 회고에 따르면 자신의 실언(?) 때문에 어부지리로 국회의장이 됐다고 한다. 당초 박정희는 정구영을 의장 후보로 내정했지만, 강직한 인권변호사 출신에 18세 연상인 정구영이 자신에게 100% 복종할 것 같지 않아서 대타를 물색하고 있었는데, 양순직이 김종필과 밀담하던 중에 "전반기는 무난해보이는 중진이, 후반기는 정구영 선생이 국회의장을 맡는 게 어떻겠습니까? 예를 들면 이효상 의원같은 사람..."이라고 말했고, JP가 이를 듣고서는 그럴싸하다 생각해서 박정희에게 이효상을 강력추천했다고 한다.

  • 이효상과 세 아들 모두 경북고 동문이다. 이효상은 4회, 이문희는 35회 졸업생이다.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1] #, 현재 이 지번은 계산동2가 100번지에 편입되어 없어졌으며, 해당 부지에는 신성미소시티아파트가 자리하고 있다.@[2] 기국공파(杞菊公派)-달성(達城) 인흥파(仁興派) 30세 상(祥) 항렬.[3] 김광덕(金光德)의 딸이다.[4] 해당 선거에서는 대구시에 배정된 5개의 선거구 중 한 곳을 제외하고 민주공화당 후보가 모두 패배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제8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경상북도 참조.[5] 아이러니하게도 국채보상운동으로 알려진 독립유공자 서상돈의 차남이었다.[6] 제3지역구[7] 국회의장[8] 국회의장[9] 제3선거구[10] 제2선거구[11] 제5~6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9:38:51에 나무위키 이효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