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계 대만인

덤프버전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관련 문서


[ 정치 · 군사 ]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국민대회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
돤치루이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왕징웨이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여우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라이칭더 · 천젠런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역사 ]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공자 · 쿵더청)
사서
흠정24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2차) · 국민혁명(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반장전쟁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사회 · 경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문화 ]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요리
요리 전반(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변검) · 잡극(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四靈 · 오룡#다섯 마리의 용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중국어 교과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기타 ]




1. 개요
2. 문화


1. 개요[편집]


대만에 체류하는 인도네시아인 혹은 인도네시아 출신 대만인을 의미한다. 오늘날 인도네시아인 상당수가 대만에서 이주노동자로 일하고 있다. 2021년 통계 기준 대만에 체류하는 인도네시아 국적자는 254,403명에 달한다.

이들 중 대만 국적으로 귀화한 경우도 많은데, 대개 인도네시아에서 화교 여성 일부가 대만인 남성과 국제결혼하면서 대만 국적을 취득한 경우이다.

해당 문서는 편의상 인도네시아 국적을 가지고 대만에 체류하는 재대만 인도네시아인 그리고 인도네시아 출신으로 대만에 귀화한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문서를 동시에 다룬다.

2. 문화[편집]


대만 내 체류하는 무슬림 절반 이상이 인도네시아인들이다. 대만에 체류하는 인도네시아인 인구는 25만여 명인데, 사실상 대만 내 무슬림 인구의 절반 이상이라는 표현보다는 대부분, 절대다수라는 표현이 더 걸맞을 수도 있다. 대만 현지 이슬람 사회가 인도네시아인 VS 비 인도네시아인 구도로 갈등하는 편이다. 원래 대만의 무슬림들은 중국 본토에서 넘어온 후이족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대만에서 한두세대 지나면서 일반 한족과 완전히 동화되었고, 상당수는 더 이상 이슬람을 믿지 않는다.[1] 이런 상황에서 이슬람교를 유지한 일부 대만 후이족 후손들은 새로 유입된 인도네시아인 무슬림들 사이에서 졸지에 소수자 입장이 되어 버린 셈인데 갈등이 없으면 더 이상한 셈이다. 참고로 인도네시아인들은 오늘날 일본 내에서도 최대 무슬림 인구 집단 중 하나이다.

대만의 후이족과 인도네시아인 무슬림들은 같은 순니파이긴 한데 문화적, 정서적인 차이가 적지 않다. 후이족은 하나피파 마드하브에 속하며 비무슬림들과 전통적으로 교류가 많아 세속주의 성향도 강하고 여성 인권 수준도 높은 편이다. 반대로 인도네시아 출신 무슬람들은 예멘이집트의 보수적인 샤피이파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2] 이러한 연유로 대만의 후이족들과 인도네시아인들은 가깝고도 먼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3. 재한 인도네시아인과의 비교[편집]


한국의 경우 한국 내 체류 무슬림들 중 특별히 인구수에서 우위를 점하는 집단이 따로 없다보니 특별히 어떤 재한 외국인 집단이 갑 자리를 차지하는 아니라서 이런 갈등이 별로 없는 편이다.[3] 다시 말해서 한국이 비교적 인도네시아인 이주노동자 비중이 적은 편이라 볼 수 있다.

한국에 체류하는 인도네시아인 이주노동자의 성비는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비해 대만에 체류하는 인도네시아인 이주노동자의 성비는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다. 대만에서 2010년 집계한 통계 기준 대만에 체류하는 인도네시아인 중 남성은 19,554명, 여성은 125,097명이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0:56:47에 나무위키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애초에 대만 회족들은 세속주의 성향이 매우 강하다. 또한 애초에 동아시아권은 무슬림들이 정착하기 그리 좋은데는 아니다. 하람으로 규정된 돼지고기나 조개,새우등을 자주 먹고 술 또한 마시기에 그리 살기 좋진 않다. 이런 이유로 무슬림들 조차 굉장히 독실한 경우 아니면 먹고 회개기도 올리는 경우가 많으며 대개 자식들한테는 세속적인 편을 강조 한다. 이러다 보니 1세대 이후로는 세속적이게 되거나 아예 이슬람을 믿지 않고 무신론자가 되는 경우도 많다. 참고로 타 종교로 개종은 거의 없는데 가족 일원 중 무슬림이 있기에 안 하는 거다.[2] 인도네시아는 아프리카에서 전파된 여성 할례 같은 악습이 아직 남아있다.[3] 물론 갈등이 완전히 없는 건 아닌데, 2010년대 초까지 서울중앙성원에서 인도네시아 출신 이맘이 꾸란 암기와 암송을 잘 못해서 같이 예배 드리던 아랍인들이 짧은 구절 낭송도 왜 자꾸 틀리냐고 컴플레인 거는 경우가 많았다. 아랍인들 중 독실한 무슬림들의 경우 쿠란 책 전체를 통째로 암기한 경우가 많은데, 인도네시아인들의 경우 심지어 모스크 직원인데도 불구 쿠란을 짧은 내용도 잘 못 외운다든지 하는 경우가 많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