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경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인도네시아

동남아시아경제
ASEAN-5
[[인도네시아/경제|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태국/경제|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말레이시아/경제|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베트남/경제|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필리핀/경제|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ASEAN-10
[[미얀마/경제|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캄보디아/경제|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라오스/경제|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브루나이/경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싱가포르/경제|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ASEAN 가입 후보
[[동티모르/경제|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푸아뉴기니/경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2012년 인도네시아의 수출 품목 구조. 흑색에 가까운 살구색은 축산업, 노랑색팜유 등의 농업, 연두색은 식품업, 고동색석유등의 광물, 자홍색은 의료/화학, 분홍색은 고무/플라스틱, 옅은 녹색은 가죽/털, 녹색은 직물, 풀색은 신발/모자, 붉은색은 목재, 황토색은 귀금속/비금속, 갈색은 금속, 청록색은 전자기기, 하늘색은 운송수단, 회색은 기타 미분류 [1]

파일:1200px-Indonesia_Exports_Treemap_2017.svg.png
2017년 인도네시아의 수출 품목 구조. 2012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원자재 단순 수출 품목 비중이 줄고, 가공 품목이나 제조업 수출이 늘었다. 원유, 천연가스, 미가공 목재 수출 비중이 줄고, 팜유, 고무, 코코넛유, 가공 목재의 비중이 늘었다. 커피는 근소하게 늘었고, 의류는 품목에 따라 줄거나 늘었다.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수출 등은 큰 폭으로 늘었다. 담배 등의 비중도 늘었다.

1. 공업[편집]



1.1. 군수·항공·조선[편집]


공업력에 있어서 그렇게까지 대국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공업에 꾸준히 투자하고 있는 나라이다. 특히 나라가 주로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다가 나라 전체 영토도 상당히 넓은 편이라 육로보다는 해로, 항공로가 발달하였고 그에 따라 해운, 조선, 항공 산업에 대한 투자도 많은 편이다.

특히 수하르토 2대 대통령의 총애를 받은 기술관료 하비비(수하르토 시대 부통령, 수하르토 퇴진 후 3대 대통령 역임)가 주도해 70-80년대부터 항공산업 발전에 힘써서 다른 산업에 비해 항공산업이 일찍 발전한 편이다. 그는 독일에서 항공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독일 항공제작사에 근무하다 수하르토의 초청으로 귀국해 인도네시아 항공산업을 발전시킨 인물이다. 한국 공군이 쓰고 있는 CN-235 수송기스페인과 인도네시아가 합작으로 개발한 물건이며, 특히 공군에 있는 기체는 두 곳에서 모두 구매했는데 참고로 공군의 높으신 분들 수송에 사용하는 CN-235의 경우에는 스페인제라고 한다.

이후 한국에서 잠수함을 사가는 대신 해경이 쓸 CN-235의 해양초계기 버전 8대를 판매하기도 했으며(현재 유야무야된 상태), 한국에서 KT-1 고등훈련기 12대를 인도네시아가 사가기도 했다. 현재 대우조선해양은 인도네시아의 잠수함을 추가 구매하려는 사업에 1100톤급 자체설계안을 들고 설득 중(참고로 인도네시아의 209급 잠수함 2척의 개량사업은 한국에서 수행했다).

한편 인도네시아는 2010년에 한국형 전투기 개발사업, 즉 KF-X사업에도 개발비의 20% 정도를 투자하려 하는 것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만일 시작되면 50대 가량을 구매한다고 한다.

1.2. 경공업[편집]


인도네시아 내에서는 담배 회사 삼푸르나(Sampoerna), 구당 가람(Gudang Garam)이나 식품 회사 인도푸드(Indofood) 등이 대기업으로 유명하다. 인도푸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인스턴트 라면 생산 업체다. 유니레버의 인도네시아 자회사도 인도네시아에서 큰 규모의 사업을 벌이고 있다.

인도네시아 과자 시장은 국내외 기업들의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2017년 기준 가장 규모가 큰 과자 회사는 인도네시아 국내 점유율 11% 정도를 차지하는 가루다푸드(GarudaFood)였지만[2] 압도적이지 못했다. 가루다푸드와 인도푸드가 중요한 과자 회사이기는 하지만, 말초적인 맛으로 인기가 결정되는 시장이므로 여전히 신규 시장 진입 여지가 크다. 그 외에도 식품 계열에서 보가사리(Bogasari)는 제분 기업으로 밀가루와 쿠키 등을 만드는 유명 회사이며(인도푸드에서 분사), 유피(Yupi)도 국제 기준에서도 나름대로 큰 규모의 젤리 회사다. 테 보톨(Teh Botol)을 생산하는 음료 회사 소스로(SOSRO)도 언급해둘 필요가 있다.

인도네시아는 각종 의류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인도네시아의 의류 수출은 2018년 기준 동남아시아에서는 베트남에 이어 2위였다. 가성비 좋은 구두를 만드는 곳으로 유명한 잘란 스리와야가 인도네시아 기업이다. 특히 가죽 산업이 호황을 누리는데 그 가죽 제공 동물은 다름아닌 이다. 인도네시아에는 뱀이 엄청나게 많으며 뱀이 미치도록 많아서 케이마다 그란지 섬 수준으로 뱀이 많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정부에서는 되려 뱀 사냥을 장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뱀만 도축하는 이른바 '뱀 공장'까지 존재하는 수준이며 공장 하나 당 하루에 몇천 마리씩 뱀이 도축된다. 도축된 뱀은 두 가지로 나뉘는데 가죽 가공이 가능한 코브라 같은 품종은 가죽가공을 하고 가죽 가공이 불가능한 품종은 한약재로 사용된다.코브라 한 마리의 가격은 50,000 인도네시아 루피아 정도이지만 가공이 된 뱀가죽은 이보다 100배 이상 가격이 상승한다.

2010년대와 2020년대에는 일본의 야마하카와이, 한국의 삼익악기 등 여러 악기 제조사가 인도네시아에 공장을 짓거나 OEM 방식으로 악기를 생산하고 있다. 피아노, 클라리넷, 플루트, 기타 등 다양한 악기가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어 세계 각지로 공급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현지 브랜드의 악기도 어느 정도 생산되고 있는데, 국제 브랜드에 비해 수출되는 경우는 적다.

화장품 분야에서는 인도네시아 로컬 브랜드 와르다(Wardah), 사리아유(Sariayu), 비바(Viva) 등과 국제 브랜드 로레알, 레블론, 메이벨린, 오리플레임(Oriflame) 등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로컬 브랜드 와르다는 국내 시장에서 2010년대 후반 기준 20% 이상, 일부 자료에 따르면 3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자랑했다.[3] 코로나 사태로 2020년부터 화장품 시장도 급변했는데, 사람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집에서 더 많이 피부 관리에 신경을 쓰게 되었고, 마스크 착용으로 생긴 피부 트러블도 관리할 필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한국 화장품 업계도 인도네시아에 어느 정도 신경을 쓰고 있는데, 특히 2017~2020년 기준 한국은 인도네시아로의 스킨케어 제품 수출액이 가장 많은 국가였다. 기후가 비슷하고 피부 특성이 비슷한 인구가 많은 동남아시아의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로 인도네시아 화장품들이 활발하게 수출되고 있기도 하다.[4]

1.3. 중공업[편집]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자동차 부문 정도를 제외하면 수출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중공업 부문은 많지 않다. 중공업 부문 수출품은 외국과의 합작 회사에서, 또는 외국 회사의 하청 형태로 생산된 것이 많다.

수하르토 시대 성장하여 오늘날까지 인도네시아의 상위 기업집단으로 남아 있는 아스트라(Astra) 그룹은 중공업, 경공업, 금융, 농업, 광업, IT까지 온갖 사업 분야를 문어발식으로 꿰차고 있는데, 특히 도요타, 이스즈자동차, 푸조, BMW 등의 자동차, 혼다오토바이 하청 생산으로 잘 알려져 있다.

비슷하게 수하르토 시대에 성장한 살림(Salim) 그룹 역시 다양한 사업 부문에 걸쳐 있다. 살림 그룹 역시 자동차 회사 인도모빌(Indomobil)을 계열로 갖고 있다. 그 외에 상기한 인도푸드와 보가사리가 살림 계열이며, 인도네시아 유명 편의점 인도마렛(Indomaret)도 살림 계열이다.

알루민도(Alumindo Light Metal Industry)는 동남아시아 최대의 알루미늄 호일 제조사이며, 자바 동부를 거점으로 하는 마스피온(Maspion) 그룹 계열이다. 그 외에 시멘트 제조사 스멘 인도네시아(Semen Indonesia) 등도 대기업으로 유명하다. ABC 배터리(ABC Battery)는 전지/배터리 업체로 일부 상품을 수출하기도 한다.

가전제품과 스마트 기기를 생산하는 토착 기업도 몇 있다. 주로 인도네시아 내수 시장에 의존하며 전반적으로 기술력과 품질이 아직 국제 브랜드에 비해 부족하므로 차선으로 가성비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다. 폴리트론(Polytron)은 LCD TV, 냉장고, 세탁기, 각종 스마트 기기 등 넓은 부문에 걸쳐 있다. 아드반(Advan)과 악시우(Axioo)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 휴대용 스마트 기기에 집중한다. 다른 토착 스마트폰 브랜드로 에버크로스(Evercross)도 있다. 미야코(Miyako)와 산켄(Sanken)은 일본 이름이지만 인도네시아 토착 기업으로 각종 주방 가전과 선풍기, 세탁기 등을 만든다. 앞서 언급한 마스피온 그룹의 가전 부문 역시 세탁기, 냉장고, 주방 용품 등을 생산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스마트폰 시장인데, 사실 2014~2015년까지만 해도 인도네시아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에버크로스가 2위, 아드반이 4~5위였던 적이 있다. 2014년 4분기 1위였던 삼성(19.0%)과 2위였던 에버크로스(18.2%)는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샤오미, 오포, 비보, 리얼미 등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스마트폰이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약진하면서 마찬가지로 가성비에 주력하던 토착 스마트폰 기업은 빠르게 밀려났다. 그래도 아드반은 적응해나가며 꽤 오래 로컬 시장에서 자리를 유지하여 2019년 2분기까지도 7위였지만[5] , 2020년부터는 점유율이 상위권 5개사(2021Q2 기준 순서대로 샤오미, 비보, 오포, 삼성, 리얼미)에 90% 이상 집중되어 다른 토착 브랜드들과 마찬가지로 마니아층에 의존해야 하는 어려운 처지가 되었다.

2. IT[편집]


인도네시아는 전통적인 IT 강국은 아니었지만, 2010년대 들어 인도네시아에 다양한 IT 유니콘 기업들이 생겨났으며 일부는 구 대기업들의 아성을 위협하고 있다. 2010년대의 인도네시아 신생 유니콘 기업들 전체로 보아도 대부분 IT를 기반으로 한다. 이들 IT 유니콘은 많은 경우 국제적인 성공 모델을 인도네시아에서 토착화해 인도네시아의 거대한 국내 시장을 바탕으로 성공했다. 인도네시아 토착 유니콘 중 대표적인 것으로 택시 내지 승차 공유 분야의 고젝(Gojek)이 있다. 유사 업종으로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강세를 보이는 그랩(Grab, 싱가포르 기업) 역시 인도네시아에서 성업 중이다.

고젝 외에 중요한 인도네시아의 토착 IT 유니콘은 전자 상거래(e커머스) 분야의 토코페디아(Tokopedia)와 부칼라팍(Bukalapak), 관광, 레저, 숙박, 티케팅 분야의 트래블로카(Traveloka), 전자결제 및 전자지갑 분야의 오보(OVO)가 있다. 토코페디아와 부칼라팍이 C2C를 기반으로 하는 데 반해 B2C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e커머스 유니콘 JD.id도 있다. 운송·물류 유니콘 J&T Express도 e커머스 관련 부문이 크다. 2020년 전후 인도네시아 e커머스 부문의 시장 가치는 ASEAN 전체 e커머스 시장 가치의 절반을 근소하게 넘는 막대한 규모이며, 이에 따라 싱가포르의 e커머스 기업 쇼피, 라자다도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해 토착 기업들과 경쟁을 벌이고 있다. 2021년 현재 인도네시아 e커머스 분야는 시장 점유율 기준 토코페디아와 쇼피가 2강 체제인 가운데 부칼라팍, 라자다가 그다음이며, 다른 토착 플랫폼 블리블리(Blibli)도 어느 정도의 점유율이 있다.

상기한 기업들 외에도 2020년 전후 다양한 IT 스타트업들이 생겨나고 약진하는 중이다. 인도네시아가 전통적으로 불모지로 인식되던 게임 분야에서도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자 수의 급성장을 바탕으로 시장 규모가 커지는 중이며, 주로 소규모 인디 개발사이기는 하지만 인도네시아 회사들도 활발히 게임 제작에 뛰어들고 있다. 최근 인도네시아 인디 게임 Rage in Peace, Coffee Talk, 묶이지 않은 자들을 위한 우주 등은 해외에서도 어느 정도 호평을 받았다.

3. 농업[편집]


오늘날 어느 정도 경제가 고도화되었으나, 농업은 여전히 인도네시아의 주요 산업 중 하나이다. 2013년 기준, 인도네시아 농업 섹터는 GDP의 14.43%를 차지했고[6] 2012년 기준 노동력의 41%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다.[7] 인도네시아 농업의 GDP 비중은 한국(2.2%, 2017)이나 미국(0.9%, 2017)은 물론 인접국 말레이시아(7.1%, 2014)나 태국(8.4%, 2012)보다 높고, 시점을 고려할 때 베트남(15.3%, 2017)보다는 낮거나 비슷한 편이다. 2010년대와 2021년 현재까지 인도네시아 경제가 급변하기는 했지만, 2020년 전후에도 여전히 농업 섹터는 내수와 수출 시장 양측에서 인도네시아 경제의 핵심 동력 중 하나이다.

인도네시아는 2020년 전후 기준, 2위 말레이시아와 경쟁하는 세계 최대 팜유 생산국이며, 세계 최대의 코코넛 생산국이고, 태국 다음의 세계 2위 고무 생산국이며, 브라질, 베트남 다음으로 콜롬비아와 경쟁하는 세계 3~4위 커피 생산국이다.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는 커피는 대부분 로부스타인데, 다른 커피 생산 상위국보다 생산분의 인도네시아 국내 소비량이 상당히 많은 수준이다. 일부 인도네시아산 아라비카는 국제적 명성이 있다.

도 상당히 많이 생산하는데, 인도네시아는 2018년 기준 중국과 인도 다음 세계 3위의 쌀 생산국이었다. 매년 조금씩 생산량이 변동하지만 보통 3~4위 수준에서 방글라데시와 생산량이 비슷하다. 2018년 기준 카카오코트디부아르가나 다음으로 3위 생산국이며, 고추아보카도도 세계 4위 생산국이었다.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 파파야 등의 과일과 옥수수, 카사바도 4~6위의 주요 생산국이었다.

전통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각종 향신료의 주요 수출국이기도 하다. 단, 17~18세기처럼 향신료가 오늘날 수출액 기준 인도네시아의 핵심 수출 품목에 속하지는 않는다. 인도네시아는 2017년 기준 정향, 시나몬의 최대 생산국이었다. 후추는 2017년 기준 인도네시아가 베트남에 이은 세계 2위 생산국이었지만, 3위 브라질 및 4위 인도와 생산량이 큰 차이가 나지 않아 순위가 이후 달라질 수 있다. 18세기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설탕자바가 세계적 중요 생산지였고 오늘날까지도 어느 정도 생산되고 있기는 하나, 오늘날 인도네시아의 사탕수수 생산량은 세계 10위권 밖이다.

많은 지역에서 주민들이 농업과 축산업, 수산업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령 발리처럼 관광업 위주로 경제를 재편한 가운데 농업이 유지되고 있으면 서로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식량 위주의 존속 농·축산업의 비중만 높고 제조업, 광업, IT, 관광업 등 다른 강점 분야를 뚜렷이 발달시키지 못한 지역은 오늘날 인도네시아에서도 저개발·저소득 지역으로 남아 있다.

4. 광업[편집]


광업 분야에서도 인도네시아는 주요국 중 하나로 꼽힌다. 우선 에너지 분야에서 인도네시아는 주요 석탄, 천연가스 생산국으로, 석탄 생산량은 2020년 기준 세계 3위(4위인 미국과 비슷한 수준), 천연가스 생산량은 2015년 추정치(CIA 월드 팩트북) 기준 세계 9위였다. 석유도 생산되기는 하지만 오늘날 주요 산유국은 아니며, 생산량은 2020년 기준 20위 안팎이고 매장량 추정치도 20위권 밖으로, 베트남이나 인도보다도 적다고 평가되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인도네시아는 원유에 한해서는 자국 산업 수요가 늘어나 2000년대 중반부터 순수입국이었다.

지역별로 볼 때 인도네시아 에너지 산업에서는 오늘날 수마트라 지역과 칼리만탄 동부가 가장 중요하다. 수마트라는 지역별로 고른 석유 및 천연가스 분포를 보이며, 역사적으로도 인도네시아 원유 생산의 20%가량을 단독으로 담당했던 미나스(Minas) 유전(리아우 소재)을 포함해 인도네시아의 주요 유전들이 있는 지역이다. 아체 지역은 주요 천연가스전이 있다. 한편 칼리만탄 동부의 마하캄(Mahakam) 천연가스전은 인도네시아 천연가스 생산의 30%가량을 담당하던 곳이다. 남중국해 나투나 제도의 동나투나 천연가스전도 상당한 규모의 매장량이 있는 곳이지만, 중국과의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석탄도 서수마트라 등 수마트라 각지와 칼리만탄 동부에서 채굴되고 있으며, 석탄에 한해서는 남칼리만탄 지역에도 주요 광산들이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채굴되는 석탄은 고급 석탄의 비율이 낮은 편이다. 자바, 술라웨시, 서뉴기니 등에서도 원유나 천연가스가 약간씩 채굴되기는 한다. 티모르 근해에도 석유 및 천연가스가 있지만 이는 주로 동티모르 쪽에서 채굴하고 있다.

칼리만탄의 에너지 사업은 지역 개발에 큰 역할을 했고 인문지리적으로도 중요하다. 칼리만탄 동부의 동칼리만탄과 북칼리만탄 지역은 역사적으로 인구가 적었고, 전통 시대에는 보르네오에서도 남칼리만탄과 서칼리만탄에 비해 인구 밀도가 크게 낮고 그다지 개발되지 않았던 곳이었다. 그러나 천연가스 및 석유 산업의 발달로 인해 오늘날 동칼리만탄, 북칼리만탄 2개 주는 20세기에 빠르게 소득이 증가해 오늘날 자카르타 다음으로 인도네시아에서 두 번째, 세 번째로 가장 부유한 주들이 되었으며[8], 동칼리만탄은 인구도 빠르게 증가해 정치적으로도[9] 어느 정도 중요해지게 되었다. 인도네시아령 보르네오의 전통적 중심지는 남칼리만탄의 반자르마신, 서칼리만탄의 폰티아낙이었지만, 오늘날 인도네시아령 보르네오에서 가장 GRDP 규모가 큰 3개 도시는 모두 동칼리만탄에 있다(사마린다[10], 발릭파판, 본탕Bontang[11]). 반자르마신은 오늘날(2019년 기준) 북칼리만탄의 최대 도시 타라칸보다도 총 GRDP가 적었다.

에너지 부문 외에, 인도네시아는 주요 니켈 생산국이며, 특히 2010년대 후반에는 생산 시설을 대거 확충해 세계 1위 니켈 생산국(2019 기준)이 되었다.[12] 그 외에 인도네시아는 세계 2위 주석 생산국(2020)[13], 세계 5위 보크사이트 생산국(2020)[14], 세계 7위 생산국(2018)이며[15], 그 외에도 2010년대 세계 10위권 전후의 구리코발트 생산국이었다. 10위권 안쪽의 주요 생산자는 아니지만 특정 지역에서는 마그네슘, 망간, 다이아몬드, 도 어느 정도 채굴되고 있으며, 역청도 어느 정도 생산되고 있다.

에너지 외 광물 자원은 매장지가 다양한데, 가령 니켈은 주로 술라웨시 중부, 남부, 동남부 및 말루쿠 제도의 할마헤라 등지에서 채굴되며, 주석은 방카블리퉁 제도(특히 방카섬)와 리아우 제도, 보크사이트는 서칼리만탄, 리아우 제도, 방카블리퉁 제도가 주요 생산지다. 금은 수마트라 전역과 자바 서부에서 주로 채굴되지만 예외도 많다. 서뉴기니의 그라스버그(Grasberg, 흐라스베르흐) 광산은 단일 광산으로는 세계 최대 금광이자 세계 2위 동광인 동시에 주요 은광이기도 하다. 그라스버그 외의 주요 동광으로는 소순다 열도 숨바와의 바투히자우(Batu Hijau) 금은동광, 동부자바 바뉴왕이의 투주부킷(Tujuh Bukit) 금은동광 등이 있다. 북수마트라의 마르타베(Martabe) 광산이나 서뉴기니의 다른 지역에서도 금, 은, 동광이 개발되고 있다. 남칼리만탄 지역에는 인도네시아의 주요 다이아몬드 광산인 츰파카(Cempaka) 광산이 있다.

인도네시아 에너지자원부의 2013년 조사[16]에 따르면 인도네시아가 보유한 셰일 가스 매장량은 약 574조 ft³(tcf) 규모로 상당하며, 수마트라에 233조 ft³, 칼리만탄에 194조 ft³, 서뉴기니에 94조 ft³, 자바에 48조 ft³ 정도가 있었다. 이는 비슷한 시점인 2013년 조사 기준으로 665조 ft³로 조사된 미국의 셰일 가스 매장량보다 약간 적은 수준이다. 그러나 2021년 기준, 전통적인 천연가스나 원유에 비해 인도네시아의 셰일 가스 생산은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관련 기술이나 생산 설비 투자도 활발하지 않다. 인도네시아는 전통적인 에너지원(천연가스, 석탄, 석유)이 풍부한 편이라 굳이 셰일 가스까지 개발할 필요가 아직은 적기 때문이다.

5. 관광업[편집]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대인 20세기 초부터 개발된 동남아 주요 관광지 발리를 보유하고 있다. 자바에는 주요 불교 유적 보로부두르, 주요 힌두교 유적 프람바난 사원 등을 비롯해 다양한 전통 시대 사원 유적이 있다. 수마트라에는 세계 최대의 칼데라 토바 호수(Danau Toba)와 울창한 정글 관광지들이 있다. 자바에는 서부와 동부 모두 다양한 화산 관광지가 있고, 반둥을 비롯한 고원 휴양지도 일부 개발되어 있다. 자바 극동부와 소순다 열도에서는 도서부 동남아시아에서 희귀한 사바나 및 스텝 기후를 이용한 사바나 투어가 성행하고 있다. 보고르의 보고르 식물원은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동남아시아의 주요 식물원이다. 자카르타 등 대도시나 인근에는 주로 현지인들이 방문하는 각종 테마파크가 있으며, 대도시 주변 해안도 휴양지로 개발된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수많은 섬과 다양한 지형 및 생태계를 이용한 자연 관광, 복잡한 역사를 바탕으로 한 인문 관광 자원이 풍부하지만, 전반적으로 아직 개발이 잘된 곳은 상기한 바를 제외하면 많지 않다. 특히 칼리만탄, 술라웨시, 서뉴기니(파푸아) 지역은 다양한 자연 관광 자원에도 불구하고 아직 관광지로는 선호도가 낮다.

인도네시아는 2017년 기준 세계 20위권의 관광 국가였으며 인도네시아 관광업은 당시 아시아에서 세 번째(동남아시아에서는 첫 번째)로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17] OECD 통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관광업 섹터는 2017년 537조 루피아 규모로 당시 인도네시아 GDP의 3.96% 규모였고 약 1,270만명(총인구의 4.80%)을 고용하고 있었다.[18]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2020년 전후 상당한 타격을 받았다. 코로나 사태가 정상화되면 다시 빠른 성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6. 인도네시아의 GDPGDP(PPP)[편집]


인도네시아의 GDP/GDP(PPP) (단위: 10억 달러)[19]
연도
GDP
GDP(PPP)
1980년
99.3
184.4
1981년
110.8
217.0
1982년
113.8
235.6
1983년
103.1
255.2
1984년
107.2
284.3
1985년
107.1
304.8
1986년
101.2
333.3
1987년
95.2
364.3
1988년
107.3
403.3
1989년
122.6
457.1
1990년
138.3
516.7
1991년
154.6
581.5
1992년
168.3
633.6
1993년
190.9
700.3
1994년
213.7
769.1
1995년
244.2
849.7
1996년
274.7
932.8
1997년
260.7
993.4
1998년
115.3
872.4
1999년
169.2
892.7
2000년
179.5
958.5
2001년
174.5
1,016.0
2002년
212.8
1,078.1
2003년
255.4
1,152.1
2004년
279.6
1,243.4
2005년
310.8
1,356.4
2006년
396.3
1,475.0
2007년
470.1
1,610.3
2008년
558.6
1,764.1
2009년
577.5
1,861.1
2010년
755.3
2,004.5
2011년
892.6
2,171.5
2012년
919.0
2,344.9
2013년
916.6
2,515.2
2014년
891.1
2,688.5
2015년
861.1
2,850.2
2016년
932.4
3,032.1
2017년
1,015.4
3,242.8
2018년
1,075.0
3,492.2
2019년
1,152.9
3,764.2
2020년
1,247.7
4,053.1
2021년
1,340.8
4,361.6
2022년
1,440.9
4,684.9
2023년
1.548.5
5,033.4

2018년부터는 추정치와 예측치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1:29:44에 나무위키 인도네시아/경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ttp://en.wikipedia.org/wiki/Economy_of_Indonesia[2] 출처: Switzerland Global Enterprise 기사[3] "Executive column: 'We want Wardah to have 50 percent market share, we want to be the king'," The Jakarta Post. Jun 24, 2019.[4] "인도네시아의 스킨케어 화장품 현황," kotra 해외시장뉴스. 2021년 3월 2일.[5] "Indonesian Smartphone Market Grew 6% annually in Q2 2019," Counterpoint Research. Aug 7, 2019.[6] "Satu Dekade, Kontribusi Pertanian terhadap PDB Menurun," Kompas.com. Aug 12, 2014.[7] "Pertanian di Indonesia," Indonesia Investments. Dec 5, 2015.[8] 2019년 기준 자카르타의 1인당 GDP가 $19,029(PPP $55,184)이고, 동칼리만탄의 1인당 GDP가 $12,423(PPP $36,026)이며, 북칼리만탄의 1인당 GDP가 $9,286(PPP $26,929)다. 2019년 인도네시아 전체의 1인당 GDP는 $4,242였다.[9] 동칼리만탄은 단순히 인구가 많은 것 외에, 상당수가 외래 민족 인구로 이루어져 있어 매우 복합적인 인구 구성을 보이는 주로서 칼리만탄의 대표적인 경합주이다. 역사적인 부기스인 이민 지역으로 부기스인 인구가 20%가량인 것 외에도, 자바인 인구도 통계에 따라 다르게 집계되지만 대략 20~30%가량에 달해 칼리만탄에서 자바인이 절대적인 인구로도, 인구 비율상으로도 가장 많은 주다.[10] 사마린다는 오늘날 칼리만탄 최대 도시이며, 칼리만탄 도시 중 인구 100만을 가장 빠르게 돌파할 것이 유력한 곳이다.[11] 본탕은 인구가 적지만 1인당 GRDP가 20,000달러를 상회하는 곳이다.[12] 출처: "Nickel," US Geological Survey (pdf 자료)[13] "Tin Statistics and Information," USGS National Minerals Information Center[14] "Bauxite and Alumina," US Geological Survey (pdf 자료)[15] 다음의 자료에서 2010년부터 매년 순위 변동을 알 수 있는데, 인도네시아의 순위는 6~10위권에서 매년 변동이 심하다. 2020년까지 순위가 있지만 기사 게시 날짜상 2019, 2020년 자료는 추정치로 보인다. "Global gold production dragged down by Grasberg," mining.com, last modified Nov 5, 2019.[16] 출처: "Unconventional Oil and Gas Potential in Indonesia with Special Attention to Shale Gas and Coal-bed Methane" (ppt 자료)[17] "Indonesian tourism set to beat Thailand in 5 years," The Jakarta Post. Oct 23, 2018.[18] 출처: OECD 추계 자료[19] <출처>국제통화기금: 인도네시아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