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 잔디

덤프버전 :

파일:NISI20180111_0000092947.jpg

1. 개요
2. 기타
3. 최근
4. 관련 문서


人造莎草. Astroturf.

1. 개요[편집]


사람이 인공적으로 잔디 모양을 만든 것을 말한다.

대개 합성섬유를 사용하며 발명은 1956년 미국에서 탄생했다. 스포츠 구장에 처음 도입된 건 1966년이다. 인조 잔디가 처음 깔린 곳이 바로 세계 최초의 돔구장인 애스트로돔이다. 이 인조 잔디를 만든 회사가 몬산토로, '애스트로터프'라는 브랜드로 이름을 날려 한때는 제록스마냥 인조 잔디계의 상표의 보통명사화 취급을 받기도 했다. 지금은 몬산토에서 분리된 뒤 여러 회사들에 팔려 나갔지만 여전히 개량된 인조 잔디를 사업으로 하고 있다.

이 astroturf라는 단어는 보통명사로 정착해 이제는 풀뿌리 민주주의(grassroot democracy) 와는 반대로 정부나 기업, 정치세력이 동원이나 SNS 조작, 여론조작으로 마치 국민들의 여론인 양 위장하는 대중적인 여론조작을 부르는 말로 쓰이고 있다. 한국은 과거 정부나 기업의 지원을 받는 관변단체를 동원해 친정부 반공 집회 시위를 하는 등 관제여론을 부추키던 사례가 있다.

대개 지속적으로 천연잔디를 관리해주기 어려운 스포츠 구장 등에서 사용된다. 대개 우레탄, 나일론 등으로 만든다.

식물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햇볕과 물을 주는 등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고 주변 환경의 제약이 없으나[1] 계절감과 질감이 다소 떨어지고[2] 시간이 오래 되면 색이 바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인공적으로 만든 물건이다보니 습기가 차면 구석구석에 곰팡이가 필 수도 있다.

한국에서는 프로야구 경기장에서 주로 쓰였으나 현재 메인 그라운드에 인조 잔디가 깔린 KBO 리그 1군 정규 경기장은 실내 경기장인 고척 스카이돔 뿐이다.[3][4] 반대로 NPB의 경우 주로 인조 잔디를 깔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야 수비의 경우 인조 잔디를 깔 수록 땅볼이 빠르게 굴러가서 송구를 천천히, 불안정하게 해도 아웃을 잡기 쉽다보니 수비가 용이하다고 평가받는다는 듯. 천연 잔디는 반대로 땅볼의 속도 감속이 빨라서 내야안타가 되기 쉽다 보니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송구를 해야만 아웃을 잡을 수 있다. 그게 안 되면 내야안타, 실책 등으로 이어지는 것이고.[5][6]

일선 학교운동장에도 자주 쓰였으나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했다. 그러나 일반 모래밭 운동장에 비하면 관리 측면에서 나은 편이기에 인조 잔디로 바꿔버리는 학교들이 여전히 많다. 그리고 몇년전에 재질의 발암물질 논란 때문에 인조 잔디를 갈아엎고 맨땅으로 바꾸는 학교들도 있었는데 신설 학교 중에서는 인조 잔디를 넣는 걸 보면 재질을 바꾼것 같다.

반면 인조 잔디의 대우가 좋은 분야가 있는데, 바로 필드 하키. 필드 하키는 A급 국제대회에서는 반드시 물을 뿌린 인조 잔디 경기장에서 진행해야 한다는 규칙이 있기 때문에 이 쪽에서는 인조 잔디가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다.

원산지인 미국 스포츠에서는 미식축구에서 좋은 대접을 받고 있다. 플레이 특성상 천연잔디는 빨리 갈려나가고, 슈퍼볼 할 때 되면 거의 죽어나가서 단점이 크게 부각되어 기피하고 있다.



2010년경부터 시작된 미국 서부 가뭄 문제로 인해, 잔디에 물을 주는 횟수나 시간을 조례로 정하거나,[7] 유타 주에서는 원래는 흉하다고 금지했던 인조잔디를 합법화 시키기도 하고, 심지어 네바다주 처럼 관상용 잔디를 금지하는 주도 나오는 등,[8] 갈수록 관리가 힘들어져 가정집 마당 천연 잔디를 인조 잔디로 대체하는 추세이다.


2. 기타[편집]


여름에는 한낮에 인조 잔디에서 뛰어다니지 않는게 좋다. 인조 잔디가 땡볕의 열을 받아 가열되어 온도가 매우 높아지고 여기서 넘어질 경우 추가로 마찰열이 발생해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9] 설치된 지 오래되어 닳아서 딱딱해진 경우에도 부상을 당할 위험이 높다.[10] 이 때문에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에서는 폐쇄식 돔구장이 거의 사라진 상태다.[11] 그러나 이 모든 단점은 흙바닥에서 더 심하게 더 많이 일어나며 인조 잔디는 천연 잔디에 비해 그 정도가 심할 뿐이지 흙바닥과는 비교할 거리조차 안된다.

2009년, 2011년에 위기탈출 넘버원에서 인조 잔디의 위험성을 방영했다.

3. 최근[편집]


최근 들어 메이저리그의 많은 구단들에서 다시 인조 잔디가 사용되고 있다. 인조 잔디에 대한 연구가 계속됨에 따라 최근에 훌륭한 인조 잔디들은 여러 스포츠적인 측면이나 부상 방지 차원에서 오히려 더 좋다고 평가하는 선수들도 많다. 2019년부터 애리조나의 체이스 필드가 인조 잔디를 사용중이고 텍사스의 2020년 신축 구장 글로브 라이프 필드와 마이애미의 말린스 파크도 인조 잔디를 채택했다. 두 팀은 오랜 조사 끝에 최근 개발된 최신식 인조 잔디는 부상 방지에도 더 나을거라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2]

한편 축구계에선 천연 잔디와 인조 잔디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잔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추세다. 발명 자체는 무려 1980년대에 됐을만큼 오래되었으나 보수적인 축구계 특성상 도입이 상당히 늦어졌다가[13] 2010년대에 일부 구단들이 경제성을 이유로 서서히 도입하다가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을 기점으로 하이브리드 잔디를 택하는 구장이 상당히 많이 늘어났다.[14]

하이브리드 잔디는 천연 잔디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인조 잔디가 천연 잔디를 고정해주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축구의 태클이나 슈팅 등 거친 플레이도 비교적 잘 견딘다. 또한 천연 잔디에 비해 오히려 생육이 쉬운 편이다. 다만 인조 잔디의 단점도 그대로 남아있는데 아직까진 천연 잔디에 비해 꽤 미끄럽다는 말이 많다. 또한 생육이 쉽다는 얘기도 어디까지나 유럽이나 해당되는 얘기지 유럽과 기후가 상이한 한국에선 오히려 천연 잔디보다 어려운 면이 있다고. 한국에선 2018년 경에 파주 NFC에 시범적으로 설치한게 처음이다. 다만 이전까지 설치해 본 적이 없어서 생육에 꽤나 애를 먹은 모양. 2022년에 서울월드컵경기장에 설치되었는데 정식 경기장으로는 처음이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3:29:13에 나무위키 인조 잔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히 일반 모래운동장은 비나 눈이 오면 모래가 젖어버려서 질퍽질퍽해지고 요철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바닥에 웅덩이가 자주 생긴다. 이렇게 되면 당연히 모래가 햇볓에 의해 다 마를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2] 인조 잔디 매트 안에는 조그마한 규조토 알갱이가 있는데 이것이 유출되어 사라지면 눈에 띄게 성능이 하락한다. 특히 후술할 위험성도 재질 때문에 발생한다.[3] 한국 최초의 인조 잔디 야구장은 사직 야구장이었다. 이후 인조 잔디 그라운드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널리 퍼져 2000년대까지는 부산 사직야구장(1985~2006), 대구 시민야구장(1994~현재), 인천 숭의야구장(1996~2008), 대전 한밭야구장(1996~2012), 광주 무등야구장(2004~2011) 등 KBO 리그 1군 정규 경기장 중 절반 이상이 인조 잔디 구장이기도 했다. 그러나 사직구장의 인조 잔디도 2006년 철거됐다.[4] 고척 스카이돔을 제외한 KBO 리그의 1군 정규 경기장은 모두 천연 잔디가 깔려 있다. 다만 포수 뒷쪽과 내야 쪽의 파울 지역에 인조 잔디가 깔린 곳은 꽤 있다.[5] 이 때문에 일본 내에서도 내야에 잔디가 아예 안 깔려 있는 한신 고시엔 구장이나, 천연 잔디가 깔린 마츠다 줌줌 스타디움 등은 내야수비 난이도가 헬이 된다.[6] 또한 이 이유 때문에 KBO 리그의 내야수들의 수비가 일본에 비해서 많이 낮다는 평가를 받지만, 실제로는 크게 차이가 안 날지도 모른다는 말이 있다.[7] 동네마다 차이는 있으나 비온뒤 몇시간 내에는 잔디에 물주기 금지, 낮시간대에 물주기 금지, 요일제로 1주일에 한번만 가능.[8] 2027년까지 운동장에 깔린 잔디처럼 기능용 잔디를 제외하고 모두 제거해야 한다.[9] 그래서 인조 잔디 구장의 경우 여름에 물을 주기적으로 뿌려줘야 한다. 물론 동네 운동장은 안 뿌려주는 경우가 대다수다[10] 대표적인 부상 사례가 박진만이다. 애초에 고등학생 시절부터 무릎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내야 각 베이스 근처를 뺀 모든 부분에 인조 잔디가 깔린 대구 시민야구장을 홈으로 쓰다보니 고질적인 무릎 부상이 악화된 것.[11] 의외로 일본은 제1홈구장 기준 3개 구장(한신 고시엔 구장마츠다 줌줌 스타디움, 라쿠텐생명파크 미야기)을 제외하고 다 인조 잔디이다. 지리적이나 주변 환경의 문제 등으로 천연 잔디 생육이 불가능한 ZOZO 마린 스타디움이 대표적으로 이런 경우. 돔구장이 많아서란걸 감안하더라도 특이한 부분인데, NFL의 경우 신구장이 폐쇄형 경기장으로 지어지는 경우도 꽤 있다. 이쪽은 종목 특성상 천연 잔디를 거의 제대로 유지를 할 수가 없어서 인조 잔디 사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며 그러다 보니 사무국에서도 인조 잔디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12] 추신수는 이러한 인조 잔디들을 경험하고 난 뒤 천연 잔디랑 똑같더라며 신기해했다고 한다.[13] 다만 초창기의 하이브리드 잔디는 사실상 인조 잔디와 별 차이가 없는 물건이었다. 당연히 인조 잔디의 부상 위험이 그대로 남아 있었기에 높으신분들은 물론 선수들마저 기피를 했다.[14] 러시아 월드컵을 치른 12개의 구장 중 무려 8개의 구장에서 하이브리드 잔디를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