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팬 캐릭터

덤프버전 :

1. 설명
2. 인터넷 팬 캐릭터 일람
2.1. 한국
2.2. 일본
2.2.1. 2ch 파생
2.2.4. 마리오 시리즈 계열[1]
2.2.12. 미분류
2.4. 미국
2.5. 기타


1. 설명[편집]


인터넷에서 들의 설정과 그림들이 모여 정체성을 이룬 캐릭터. 원작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있더라도 그 역할이 '이런 건 어떨까요' 정도에 그칠 정도로 매우 적으며, 대부분의 설정은 팬들이 자체적으로 만들고 합의 과정을 거쳐 정립되는 경우가 많다. 히트한 동인지UCC의 설정이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따지고보면 동인설정의 연장선상에 있는 캐릭터.[2]

일본에서는 보통 ネットキャラ(넷토캬라; 넷 캐릭)라고 줄여 통용하는듯 하다. 5ch 및 그 영향을 받은 후타바 채널에서 동명의 게시판을 클릭하면 후타바 채널에서 만들어지거나 한 인터넷 팬 캐릭터들을 다루고 있다.
이에서 보듯 다른나라의 인터넷 팬 캐릭터들도 보통은 이런 류의 언더그라운드 커뮤니티에서 자생하는게 절대다수다. 한국의 경우 디시인사이드가 있으며 영어권에는 4chan이 있다.

팬들의 설정과 그림들이 모여 정체성을 이룬 캐릭터라 하더라도 원작자가 있으면 인터넷 팬 캐릭터가 아니다. 인터넷 팬 캐릭터가 아닌 사례로 르번구이쯔 모에화, 소일본 모에화, 츠이나 쨩 등을 등장인물로 설정한 大辺璃 紗季(오헨리 사키, おーへんりさき)를 원작자로 한 르번구이쯔 프로젝트(日本鬼子ぷろじぇくと)가 있다.


2. 인터넷 팬 캐릭터 일람[편집]



2.1. 한국[편집]


  • 각종 필수요소들: 실존 인물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중요한 특징만 남아 합성 등에 이용되기 때문이다.
  • 그레이스
  • 김근육 시리즈 - 개리모드에 기본적으로 사용가능한 밸브 소프트웨어 관련 캐릭터(주로 하프라이프 시리즈 대부분)를 원본으로 하고 있다.[3]
  • 너굴맨침팬빌런
  • 마법소녀 카나☆안카나
  • 민국엄마[4]
  • 사슬낫의 제니
  • 성지영[5]
  • 섹서
  • 섹스왕
  • 시우: 한국의 VOCALOID 계열 팬캐릭터.
  • 싱하형
  • 총알맨들
  • 치킨을 시켰는데 여고생이 배달
  • 해명이
  • 황근출해병문학/등장인물
  • LPG - 안전가족의 등장인물로 단일 에피소드에서만 등장했다.


2.1.1. 블루 아카이브 계열[편집]




2.2. 일본[편집]



2.2.1. 2ch 파생[편집]




2.2.2. 후타바 채널 파생[편집]




2.2.3. 동방 프로젝트 파생[편집]


  • 마리 (참조) [6]
  • 모리야 스와코의 모자
  • 야고코로
  • 윳쿠리
  • 쿠키☆
  • 罪袋
  • nezumi의 테스트 시리즈에 등장하는 모자 늘려쓴것처럼 보이는 캐릭터들. 후지와라노 모코우의 경우에는 아예 MOKO로 취급된다.


2.2.4. 마리오 시리즈 계열[7][편집]


  • Weegee
  • '슈퍼크라운'[8] 설정 차용 캐릭터
※ 캐릭터 디자인과 통용되는 명칭이 거의 확정적인 사례만 기재하십시오.


2.2.5.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성전환 버전[편집]




2.2.6. 아이돌 마스터 계열[편집]


니코마스의 각 캐릭터별 항목 참고.


2.2.7.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계열[편집]




2.2.8.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계열[편집]




2.2.9. 함대 컬렉션 계열[편집]




2.2.10. VOCALOID 계열[편집]



2.2.10.1. 하츠네 미쿠[편집]



2.2.10.2. 기타[편집]


2.2.11. 러브 라이브! 계열[편집]




2.2.12. 미분류[편집]


  • 듀라라라!!의 캐릭터송 앨범 커버 아트의 캐릭터들: 원작 캐릭터들의 색 배열이나 옷차림을 다르게 한 것에 각각 성격이 생겨서 파생 캐릭터화 된 것. 여기에서 또 한번 마개조가 이루어져 3차 창작에 이르기까지도 한다.
  • 마코 공주: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외모와 신분 외에는 접점이 없다.
  • 메카무스메: 초기 경우에 한정된다. 현재는 저작물.
  • 모루겟소요: 알펜시아 리조트의 한 동상이 일본 굴지의 황색일간지인 도쿄스포츠에 의해 발굴되면서 인터넷에서 온갖 합성/팬 캐릭터들이 생겨나기 시작함.
  • 베아코
  • 본텐마루: 전국 바사라 시리즈다테 마사무네 유년기 버전. 원작에서는 다테의 어린 시절 모습이 공식적으로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엄연한 파생 캐릭터인 셈이다. 주로 pixiv에서 관련 2차창작물을 종종 볼 수 있으며[9] 외모는 다테를 그대로 쇼타화시킨 모습. 그리고 진짜 공식이 나왔다.
  • 빗코
  • 엘런 베이커
  • 음수마녀: 스트라이크 위치스미야후지 요시카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팬 캐릭터. 다만 음수마녀 밈을 싫어하는 팬들 역시 많다.
  • 인고(Ingo), 에멧(Emmet):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시리즈에 나온 서브웨이 마스터 상행, 하행의 북미판 이름이지만 pixiv 등에서는 파생 캐릭터로 쓰이고 있다. 쌍둥이와 상반된 성격과 말투 덕분인지 상행, 하행의 인기가 높아졌고 그에 따라 해외판 버전도 만들어졌다. 처음에 인고, 에멧 말고도 다른 나라도 존재한 듯했지만 현재까지 활발한 건 이 둘. 쓰는 사람에 따라 외모는 천차만별이지만 주로 금발의 벽안으로 많이 그려진다. 부녀자들에 의해서 둘이 이어지거나근친상간 본래 캐릭터인 상행, 하행이랑 이어지기도 한다. 한국판 한정해서 검은 머리카락을 가진 상행, 하행이라는 캐릭터도 존재. 덕분에 평소의 상행, 하행를 좋아했던 팬들이 떨어져나가기도 했다. 2020년 현재는 시간이 시간이니만큼 블랙, 화이트와 관련된 2차 창작이 활발하지 않은데 파생 캐릭터들에 대한 2차 창작은 당연히 전멸되다시피 했다. 블랙, 화이트 리메이크가 나오지 않는 이상 예전 같은 활발한 창작 활동은 힘들 듯하다.
  • 이마이 치나
  • FL-chan: 제작사 공식이고 딱히 설정도 없음으로 애매하다.
  • 히나비타메우 메우 - 워커홀릭 사축메우 네타가 있다.
  • Pixiv레드


2.3. 중국[편집]



2.3.1. 소녀전선 계열[편집]


중국산 게임이지만 특기할만한 사항이 있다면, 여기에 언급된 것들의 대부분은 한국쪽 팬덤에서 재가공된것이다.

  • FNC: 급조 편성된 2성짜리 동료들이 반자이런으로 죽어가서 멘붕받는 캐릭터. 자세한건 항목 및 거지런 문서 참조.
  • MP5(소녀전선): MADCORE의 준공식 삽화 한정으로 프로틴맥스 근육질 MP5 캐릭터가 있다.
  • M4A1(소녀전선): 일부 대사를 왜곡해 혐성소재로 이용하는 혐포가 있다. 다만 이쪽은 재창작수준이 아닌 그냥 성격왜곡.
  • UMP45(소녀전선): 스킨에서 두드러지는 동생과 비교하여 매우 눈에 띄는 밋밋한 가슴 때문에 빨래판(…) 취급을 받는 캐릭터가 되어버렸다. 이 때문에 주로 가슴 컴플렉스가 심한 캐릭터로 그려진다.
  • 인푸쿤단: 일러스트레이터 Infukun이 그린 몇몇 캐릭터 스킨 삽화의 질이 좀 이상해서 개그 가공이 지나치다보니 좌우대칭한게 급기야 팬 캐릭터로 취급되기에 이르렀다. 이 외에도 오색의 깔맞춤 ㅇ인인푸인푸바인형들을 인푸레인저라 부른다.[10]
    • MG5(소녀전선): 사냥꾼 스킨 한정. 요상한 퀄리티때문에 온갖 합성이 흥하고, 좌우대칭한 '공포의 이도류 독일검사'가 나오기에 이르렀으며, 이는 인푸쿤단 시초로 볼수있다.
    • CZ75(소녀전선): 크리스마스 한정 스킨도 좌우대칭 합성의 대상이 되었다. 이쪽은 주로 좁은 면적을 좌우대칭해서 외눈박이처럼 묘사한 콩지클롭스가 되어 버렸다.(…)
    • G11(소녀전선): 이전부터 지적되어온 눈매와 나머지 부분의 괴리 등으로 인해 G11 눈을 다른 캐릭터에 합성하기 같은 밈이 있었으나, 상기한 두 사례가 하도 문제가 되다보니 이쪽도 좌우대칭 합성이 되어서 인푸쿤단에 정식편입되기에 이르렀다.


2.4. 미국[편집]




2.4.1.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계열[편집]




2.5. 기타[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0:07:32에 나무위키 인터넷 팬 캐릭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세계적인 인지도를 가진 게임인지라 인터넷 팬 캐릭터가 만들어진 나라를 하나만으로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원본 캐릭터이 만들어진 일본 쪽으로 분류.[2] 이러다보니 해당 캐릭터와 그 설정을 써먹는 사람들에 따라 기본적인 틀은 지키되 세부적 묘사는 중구난방화가 되는 경향이 좀 있다. 대표적인게 바로 실장석.[3] 예: 아이작 클라이너김근육, G맨눈물의 요정, 일라이 밴스탈모탄 조.[4] 문화체육관광부의 공익만화에 나온 캐릭터.[5] 성남시의 재활용품 배출 전용 그물망 사용 방법 만화에 나온 캐릭터.[6] 사실 발원지는 후타바이기에, 후타바 파생에도 포함되나, 원작은 동방 프로젝트이므로 이쪽에 옮겨 기재.[7] 전세계적인 인지도를 가진 게임인지라 인터넷 팬 캐릭터가 만들어진 나라를 하나만으로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원본 캐릭터이 만들어진 일본 쪽으로 분류.[8] 인간이 아닌 캐릭터를 피치공주를 닮은 인간 캐릭터로 변신시키는 아이템.[9] 전국무쌍이나 그 외 다른 전국시대 배경 작품의 파생작도 간간이 있기는 하지만 전국 바사라 버전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10] 아이돌 마스터의 립스의 색을 따왔다는 의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