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사

덤프버전 :


1. 개요
2. 설명
3. 각종 매체의 인형사
4. 격투게임 메탈 앤 레이스 원제목
5. 영화 인형사 (2004)
5.1. 개요
5.2. 예고편
5.3. 등장인물
5.4. 줄거리
5.5. 평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인형사(人形師, : 괴뢰[1])는 인형을 다루는 사람이다.


2. 설명[편집]


가공 매체에서는 인형술사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다. 국내에서는 미미인형미미쨩 등에서 유래하여 미미술사라는 호칭으로도 부른다.

현실에 있는 인형사는 보통 실을 연결하거나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꼭두각시 인형을 직접 조작하는 사람을 뜻하는데, 가상 매체에서는 이것 보다는 인형을 마법 같은 비현실적인 힘으로 조작할 수 있는 특이 능력자를 뜻하는 일이 더 잦다. 또한 오버 테크놀러지로 만든 일종의 로봇을 인형이라 칭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등장한다.

픽션에서 나오는 인형사들은 대개 음침하고 사교성이 부족하거나, 정신적으로 뭔가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사람이랑 못 노니까 인형을 사람처럼 대하고 논다 같은 식으로... 혹은 인형, 장난감을 다룬다는 점에서 어린아이 같은 외모나 정신연령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또 자신도 말 그대로 '인형 같은' 외모를 한 타입이 많다.

하여튼 기본적 설정 자체가 이런 탓에 주로 적으로 등장하는데, 의외로 많이 보이는 것이 사람 하나 붙잡아서 자기가 인형 다루듯이 조종하는 방식. 대개는 줄로 이어져서 이거 끊기고 주인공한테 관광당한다. 물론 늘 조종당하는 아군이 그렇듯이 끌려다니다가 정신 차려서 / 열받아서 종속 관계가 끊기고 역관광시키는 시나리오도 자주 등장한다. 애초부터 그냥 시체를 조종하는 사례도 있다. 아니면 쓰는 인형 자체가 고인드립이라든가... 가장 대표적인게 사소리. 모습을 감추고 있는 히루코도, 최강의 꼭두각시인 3대 카제카게 등 보유한 인형의 상당수가 생체 꼭두각시. 심지어 자신마저 생체 꼭두각시로 개조했고, 결국 죽어서 칸쿠로에게 조종당한다.

그 밖에, 직접 인형을 만들기 때문에, 또는 인형을 다루는 데에도 정밀한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손재주가 좋은 경우가 많다. 재봉이나 복화술 같은 부수적인 기술을 갖추기도 한다.

픽션에서 일어나는 중요사건의 당사자를 배후에서 조종한 악역을 인형사라고 주인공측에서 비꼬거나 악역 스스로 자칭하는 경우[2]도 있다.

현실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인형사로는 짐 헨슨이 있다.

현실에 있는 비선실세를 인형사라고 비꼬기도 한다.

3. 각종 매체의 인형사[편집]



3.1. 가상 인물[편집]



3.2. 게임 직업군[편집]



3.2.1. 겟앰프드인형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형사(겟앰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2. 던전 앤 파이터인형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형사(던전 앤 파이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3. 파이널 판타지 X-2인형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형사(파이널판타지 X-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4. 마비노기인형사 재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마리오네트 조종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5. 로스트사가의 용병[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형사(로스트사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6. 음양사의 식신(式神)[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형사(음양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격투게임 메탈 앤 레이스 원제목[편집]


파일:external/pds27.egloos.com/e0006522_58ef0ee8334e7.jpg
원제는 인형사(人形使い). 북미/국내판 제목은 메탈 앤 레이스다.

일본 에로 게임 업체였던 포레스트에서 1992년에 PC9801용으로 만든 대전 액션 게임, 같은 해인 1992년에 미국의 메가텍 소프트웨어가 MS-DOS판으로 컨버전한 게임이다. 바로 드래곤나이트3를 젠타의 기사라는 제목으로 컨버젼해 발매한 그 업체.그리고 수익금을 안주고 내뺐다

동서게임채널에서 1995년에 이 북미판 제목으로 연불 등급으로 발매했지만 여성 캐릭터 가슴노출같은 부분을 삭제하고 발매했다. 그런데 마이컴 95년 4월호 기사에 의하면 공윤문체부 심의를 받지 않고 판매된거라고 한다.
파일:external/pds21.egloos.com/e0006522_58ef0ee090c29.jpg

파일:external/pds21.egloos.com/e0006522_58ef0eeb8c3d6.jpg
게임 자체론 격투게임으로 많이 부족하긴 하지만 주사율 문제로 액션게임에 심각하게 취약했던 PC98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평작 이상은 된다.

게임에 대한 자세한 소개 블로그

파일:external/pds21.egloos.com/e0006522_58ef10a5f21fb.jpg

일본에서 2부작짜리 19금 애니로도 만들어졌고 제법 인기가 있어서인지 1996년에 2편도 나왔지만[16] 국내 정발은 되지 않았고 영어판으로도 발매하지 않았다.


5. 영화 인형사 (2004)[편집]


인형사 (2004)
The Doll Master


감독
정용기
제작
김익상
안영진
한만택
각본
정용기
출연
임은경, 김유미, 심형탁, 옥고운, 임형준
촬영
조철호
편집
남나영
제작사
필마픽쳐스
배급사
롯데시네마
개봉일
2004년 7월 30일
상영등급


5.1. 개요[편집]


구체관절인형을 소재로 한 임은경 주연의 2004년 영화. 감독은 원스 어폰 어 타임, 가문의 위기, 가문의 부활을 연출한 정용기.


5.2. 예고편[편집]


}}}


5.3. 등장인물[편집]


  • 임은경 - 미나 役
  • 김유미 - 해미 役
  • 심형탁 - 태승 役
  • 옥지영 - 영하 役
  • 천호진 - 최과장 役
  • 조성아 - 움직이는 인형 役
  • 안재범 - 순사1 役
  • 배효진 - 움직이는 인형 役
  • 정진환 - 움직이는 인형 役
  • 최유성 - 움직이는 인형 役
  • 김정자 - 창밖인형 役
  • 남명렬 - 중년남 役
  • 김도영 - 재원 役



5.4. 줄거리[편집]


지금으로부터 수십 년 전, 한 여자를 목숨처럼 사랑한 남자가 있었다. 그녀에게 차마 자신의 사랑을 알리지 못한 채 그는 여인과 꼭 닮은 인형을 만들어 대신 사랑을 쏟았다.

마침내 그녀가 그의 사랑을 받아들이고 남자는 인형을 잊은 채 행복한 날들을 보낸다. 그러나 어느 날 여인이 끔찍하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범인으로 몰려 죽음에 이르게 된 사내. 그가 마지막으로 본 것은 죽어가는 자신을 뚫어져라 바라보고 있는 인형, 사내 자신이 만든 인형의 싸늘한 얼굴이었다.


전형적인 클로즈드 서클 작품으로, 외딴 숲 속에 있는 한적한 미술관에 내성적인 조각가 해미(김유미), 발랄한 여고생 선영(이화), 구체관절인형 데미안을 자신의 분신처럼 여기는 내성적인 영하(옥지영), 야심만만한 사진작가 정기(임형준), 그리고 직업모델 태승(심형탁)이 모인다.

미술관에는 일행에게 무언가 감추는 듯한 최 관장(천호진), 휠체어로 이동하며 작업실에 틀어박혀있는 인형작가 재원(김도영). 해미를 오래전부터 알고 있다고 말하는 수수께끼의 소녀 미나(임은경)가 등장한다.

그리고 그들은 하나하나 괴상한 방법으로 죽어나간다.

구체관절인형은 중반까지는 음습한 분위기와 공포를 돋우는 배경으로만 등장하다가 알고 보니 인형의 복수였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해미, 영하, 선영, 정기는 수십 년 전, 살인 누명을 쓴 남자를 때려죽였던 순사들의 자손, 그리고 태승은 그 날 살인사건 진범의 손자였으며, 재원은 죽은 남자가 만든 그 인형을 발견한 후, 인형의 망령에 씌여 남자의 복수를 위해서 이들을 미술관에 불러들인 것이었다.

미나의 정체는 어릴적 해미가 가지고 놀던 인형의 생령이다. 재원에게 빙의한 인형의 망령으로부터 해미만은 살리기 위해 복수를 도왔으나, 계속 자신을 거부하는 해미의 태도에 슬퍼한다. 해미가 생령을 없애는 방법으로 태승을 죽이려는 미나를 멈추려 하자, 해미의 말에 흑화한 미나가 해미마저 죽이려 든다. 하지만 어린 해미가 오토바이로부터 팔을 크게 다치면서까지 자신을 보호해주었던 추억을 떠올리고는, 다시 해미를 지키다가 재원에 의해 처리당한다.

한편, 어떻게든 동생을 살리려는 최 관장과, 망령에 씌인 아내를 해방시키려는 재원의 남편(남명렬)은 난투를 벌인다. 그러다 재원의 남편이 재원에게 총을 쏘게 되고, 죽기 직전에서야 망령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런 재원을 지키기 위해 도끼가 꽂힌 채 왔던 최관장 또한 재원을 바라보며 미소 지으며 죽는다. 재원의 사망 후, 인형의 망령은 미술관의 인형들을 조종해 재원의 남편과 해미를 해치우려 하는데, 재원의 남편은 이 사건의 원흉인 인형을 부숴야 완전히 저주가 풀릴 것이라 말하고, 해미는 움직이는 인형들을 피해 도망치다 번개로 인해 깨진 마리아상 속에 숨겨진 이 사건의 원흉인 기모노 복장의 여성 인형을 찾아낸 재원의 남편 말에, 자동차로 마리아상을 밀고, 도끼로 부셔 드러난 인형의 두 눈을 찌르고 목을 잘라 인형의 망령을 완전히 없앤다.

이후 두 사람은 미나를 포함한 인형들을 불태우고, 마지막 연출 장면에서 과거 어린 해미가 미나 인형을 집 창 밖으로 던져 버리고, 창 밖 밑으로 떨어진 미나 인형이 클로즈 업 되면서 엔딩.

5.5. 평가[편집]


공포 영화로서는 그럭저럭 기본은 하지만, 영화로서의 완성도와는 상관 없이, 실제 구체관절인형을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평이 좋지 못하다. 흥행은 전국 34만 관객으로 당시 100만명 관객을 끈 분신사바 영화에 밀려 그다지 성공 하지 못 했다.

설정 오류가 있는데, 우선 적어도 현실에서는 인형 조형을 만드는 사람은 인형사가 아니라 조형사 또는 인형 작가 라고 한다. 그리고 작중에서 버려진 인형은 재질이나 사이즈나 아무리 봐도 대량 생산인데, 인형이 버려진 건 대략 10년쯤 전. 영화 개봉 시 구체관절인형은 상업적으로 생산 및 판매 된 지 몇 년 되지 않은 시점이었다.

게다가 작중 인형의 소유자들이[17] 인형 오너[18]에 대한 편견을 조장 한다는 비판이 있었다. 인형사 영화에서 소설 작가인 영하는 대인기피증이 있으며, 자신의 인형인 데미안에게 과한 애착을 가져 진짜 사람을 대하듯 한다.[19]

이러한 점을 제외하여도, 실제 구체관절인형 오너들이 재미있게 볼 만한 공포 영화는 아니다.'인형의 머리가 뽑히면 인형의 혼이 빠진다' 라는 설정이 있지만, 구체관절인형은 원래 소유자의 취향에 맞도록 해체 및 조립이 가능한 물건이다. 스타일링을 하면서 또는 취향에 따라 재조립 하면서 헤드와 안구는 물론 전신 파츠를 자주 분리 하게 되고, 아예 부위 파츠를 따로 따로 구매하여서 조립하기도 하기 때문에, 이런 점을 알고 있거나 인형에 익숙한 사람이 보기에는 괴기스러움이 덜하다. 생령이 깃든 인형의 복수라는 주제이지만, 인형사 영화상에서 깜짝 놀랄만한 잔혹한 특정 연출[20] 외에는 볼 만한 편이다.

이 영화를 본 실제 구체관절인형 오너들은 공포감은커녕, '구체관절인형들이 예쁘다.' '인형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다니 부럽다, 움직일 수 있다면 알아서 자기 사진 찍어줬으면 좋겠다'라거나 영화에서 등장하는 부품들을 보고 '보물이 쌓여있다'라면서 그저 개그 영화로 취급했다. 한편으로는 구체관절인형을 보고 '어? 그거 인형사에 나온 인형이네요?'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스트레스가 쌓였다는 반응도 많았다.

영화 촬영 장소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광주광역시 광산구, 강원도 태백시, 전라남도 담양군, 장성군, 경상북도 영주시.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1:22:50에 나무위키 인형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통적인 꼭두각시 인형을 다루는 사람(인간)을 가리키는 단어.[2] 가사라키의 고와 일족(특히 장남)이 바로 이런 경우다.[3] 실로 상대를 묶어 인형처럼 조종한다.[4] '아일라노레'라는 인형을 만들었다.[5] '니에니즈'라는 인형을 만들었으나 자신의 손으로 부수었다. 이유는 항목 참조.[6] 실제 컨셉은 황제이지만 인게임 플래이 메커니즘 특성상 인형사로도 분류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문서참조.[7] 그웬을 보면 확실히 가난한 재봉사라고 언급되고, 그웬 또한 그녀가 만들었기에 인형사임을 알 수 있다.[8] 슈프리트 능력이 The Zombie이다. 자세한 건 해당 목록 참조.[9] 인형사 컨셉의 아이돌로 멤버들을 인형 취급한다[10] 본인도 인형인간이다.[11] 인형술을 구사하면서 본직은 닌자로 활동중이다.[12] 스탠드체를 선으로 풀어낼 수 있다는 능력의 확장선이다.[13] 심연의 부름3 인형사 스킨 한정[14] 유일하게 작중 등장하는 인형술사 직업을 가진 캐릭터다.[15] 엄밀히 말하자면 음양사.[16] 2편은 당시 업계 유명 원화가였던 요코타 마모루가 원화를 담당하였다.[17] 수집가에 가까운 최 관장이나 옛날에 미나 인형 갖다 버린 해미를 제외하면.[18] 인형을 소유 하는 사람을 이르는 인형계 용어.[19] 이 애착 때문인지, 영하의 인형 데미안도 생령이 깃든 게 보여지는 상황이나 연출이 있다.[20] 미술관으로 초대 받은 사람들이 사망한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