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교차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상세
3. 한국에서 일교차가 적은 지역


/ Diurnal range


1. 개요[편집]


하루 동안의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의 차이를 말한다. 쉽게 말해 아침 최저 기온이 10℃고 낮 최고 기온이 20℃면 그날의 일교차는 10℃.


2. 상세[편집]


습도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1] 한반도에서는 늦겨울~초여름인 2월 하순 ~ 6월 중하순, 늦여름~가을철인 8월 중순 ~11월 상순에 나타나며, 특히 4~5월, 9월 하순~10월에 일교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며, 심지어 늦가을~겨울인 11월 중순~2월 중하순에도 일교차가 다소 있다.[2][3][4] 반대로 한여름인 7월~8월 초에는 일교차가 비교적 작다.[5] 그러나 말복~처서 넘어가면 다시 일교차가 커진다.

일교차가 크면 감기 등에 걸리기 쉽고 옷 입는데에도 애로사항[6]이 생기므로 일상 생활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인식이 많다. 여분의 겉옷을 챙기기 귀찮아서 안 챙겼다가 감기 걸린 사례도 다반사이다.[7] 반대로 농업의 경우 일교차가 큰 것이 유리한 경우도 많다. 대구사과의 산지로 유명해졌던 이유가 큰 일교차 때문이다. 그 외에도 경상북도 같은 내륙 지방으로 내려가면, 한여름이나 한겨울에도 일교차가 무지막지하게 큰 지역이 굉장히 많다.[8] 반면 열섬 현상이 있는 서울이나 해안 지역의 경우 일교차가 작다.

기온의 일교차는 기후의 지표로서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 흐린 날보다 맑은 날에 더 커지는데, 그 이유는 흐린 날은 구름이 지면에서 우주로 빠져나가는 복사열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1년 내내 강수량이 매우 적은 사막 지대의 경우 일교차가 60℃(!!!)[9]에 육박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연유로 일부 중동이나 아프리카 국가들은 낮에는 선풍기를 틀지만 밤에는 난로를 틀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10].

여름에는 일교차가 크게 벌어질수록[11] 낮 최고기온은 동일하더라도 더위로 인한 불쾌감이 줄어들며, 그 이유는 밤에 기온이 떨어지면서 건물에 열이 축적되지 않고 식어버리기 때문에 낮에도 실내로 들어가면 실외보다 시원하여 냉방의 필요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다만 이는 최저기온이 낮아야 성립되는데 1913년 여름이나 1976년 7월, 1993년 여름, 2009년 7월 말, 2020년 7월 초처럼 비가 적고 일조시간이 많은 비교적 건조한 여름에 최저기온이 낮으면 선선하고 쾌적하고 이상 저온이기도 한 날씨가 이어진다. 또한 밤에 시원해지는 것이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도 있다. 다만 이때는 이불을 제대로 덮지 않고 자면 감기에 걸릴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다만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열대야 상태에서 일교차가 크다면 2018년 폭염/대한민국과 같은 일이 벌어진다. 또한 2016년 8월, 2019년 8월 상순, 2021년 7월 중하순 같은 날씨기 나타나기도 한다.

다만, 긍정적으로 보자면 일교차가 큰 날은 보통 맑은 하늘을 누릴 수 있다. 또한 일조량도 많다.


3. 한국에서 일교차가 적은 지역[편집]


목포, 제주, 여수, 부산 등 섬이나 해안가에 있는 지역이 일교차가 적으며, 그 때문에 습도가 60퍼센트 이상으로 높다는 특징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1:36:43에 나무위키 일교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둘은 체감기온에도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다.[2] 밤에는 기온이 영하였다가 낮에는 영상을 기록하기도 한다. 그래도 봄하고 비교하면 양반인 편이다.[3] 가을의 특성이 강한 11~12월은 일교차가 다소 작고 1월은 일교차 편차가 다소 과도기적 경향이 있지만 대체로 심한 편은 아니다. 반면 봄의 특성이 강한 2~3월은 다소 벌어진다.[4] 원래 2월 하순~3월 초중순까지는 겨울 특성이 강해야 하는데 최근 온난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기상학적으로도 겨울이라 하기에 애매해졌다. 일교차도 커지면서 이 시기에 15°C가 넘는 초고온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5] 언제나 다른 계절에 비해 일교차가 작은 것이지, 일교차가 심하게 벌어지면 2016, 2018년 폭염 등이 나타나게 된다. 2019년에도 일교차가 커서 8월 초반에 최저 25~27도, 최고 34~37도를 기록하기도 했다.[6] 특히 4월, 5월, 9월 하순과 10월에 이게 심각하다. 특히 봄철인 4~5월에 더 심하다. 아침에는 3°C~16°C로 쌀쌀하다면 낮에는 15°C~31°C 안팎까지 오르는데다 일조량도 많아 강한 햇살로 덥게 느껴진다. 심지어 20°C(!) 이상 차이날 때도 있다. 정말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하는지 모를 정도이다. 그래서 이 시기에 길거리를 돌아다니다 보면 긴팔과 반팔이 공존하는 걸 볼 수 있다. 다만 4월과 10월은 이상 고온이 심하거나 유독 더위를 많이 타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다수가 긴팔을 착용하며 5월과 9월은 추위를 많이 타거나 이상 저온이 아니라면 반팔 착용이 더 많다.[7] 사실 14도만 해도 반바지라면 모를까 반팔로 돌아다니기 버겁다. 특히 밖에서는 쉽게 갈아입을 수 없는 하의가 난감하다. 얇은 긴바지나 반바지를 입으면 밤에 춥고 그렇다고 조금만 두꺼워도 낮에 덥고 오후 6시만 되어도 기온이 빠르게 떨어지기에 사실상 낮에 나가서 밤에 들어올거면 덥느냐 춥느냐 아니면 옷을 사느냐 셋 중 하나다.[8] 의성 등의 지역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한겨울엔 아침기온이 -15도인데 한낮에 4도까지 오른다던가, 한여름엔 아침기온이 21도인데, 한낮에 37도까지 오른다던가...[9] 참고로 평균 일교차는 평균 연교차보다 적다. 그런데 사막만큼은 예외 중의 예외이다. 연교차도 아무리 커봐야 평균적으로 50도에 불과하다.[10] SBS 뉴스 2006년 4월 12일 "중동에 '난로'를 파는 사람"[11] 일반적으로 8월 10~25일 사이에 나타난다. 절기로 본다면 처서(處暑) 이후에 이 현상이 두드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