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국 보수주의

최근 편집일시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보수주의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집권내각
대처 내각 · 메이저 내각 · 캐머런 내각 · 메이 내각 · 존슨 내각 ·
트러스 내각 · 수낙 내각
사상
우파 · 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반공주의 · 신보수주의 · 대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내셔널리즘 · 국민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 · 보수자유주의 · 일국 보수주의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유럽회의주의 · 우파적 자유지상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 군주주의 · 대안우파 · 엘리트주의
정치인
총리
존 스튜어트 · 윌리엄 피트 · 아서 웰즐리 · 로버트 게스코인세실 · 벤저민 디즈레일리 · 스탠리 볼드윈 · 네빌 체임벌린 · 윈스턴 처칠 · 앤서니 이든 · 해럴드 맥밀런 · 알렉 더글러스흄 · 마거릿 대처 · 존 메이저 · 데이비드 캐머런 · 테레사 메이 · 보리스 존슨 · 리즈 트러스 · 리시 수낙
야당 당수
윌리엄 헤이그 · 이언 덩컨 스미스 · 마이클 하워드
국무의원
리즈 트러스 내각
국회의원
제58대 보수당 국회의원
그 외 인물
토머스 칼라일
언론
데일리 메일 · 데일리 익스프레스 · 데일리 텔레그래프 · 이브닝 스탠더드 · 더 타임스 · 더 썬
관련 주제
미들 잉글랜드 · 일국 보수주의 · 자유시장 포럼 · 블루칼라 보수주의 · 근력 자유주의 · 토리 사회주의
영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파일:벤저민 디즈레일리.png

일국 보수주의
One-nation conservatism
1. 개요
2. 역사
3. 여담
4. 인물
5. 같이 보기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영국보수당에서 탄생한 개념으로 진보적 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와 연관이 있으며 보수주의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노동, 사회 복지에 관심을 가지는 등 사회적, 경제적으로 온건/개혁적 성향을 보인다.[1] 현대에 와서는 온건 보수주의 이념의 일종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2]

다른 말로는 일국주의(one-nationism), 토리 민주주의(Tory democracy)[3], 보수당 복지주의(Tory Welfarism)이라고도 불린다. 그래서 한국이나 미국과 달리 영국에서는 1870년대 이후 100년간 지속되어 온 전통적 보수주의이며, 1970년대 이후로 마가렛 대처를 기수로 급부상한 신우파가 신보수주의다. 영국 보수당의 신보수주의자들과 자유보수주의자들(mods)은 경제적 자유와 사회적 자유를 동일한 가치로 여기는 반면 영국 보수당의 가부장적 보수주의자들(rockers)은 사회적 자유 및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서는 전통적 가치를 들어 반대하기도 한다.[4]

한국으로 치면 소위 따뜻한 보수라고 칭해지는 개념과 비슷한 뉘앙스를 가지지만, 시대나 사회상이 다른만큼 뜯어보면 또 완전히 같지는 않다. 전통적 일국 보수주의는 자유주의 우파보다 공동체주의 우파에 더 가깝다는 평이 많다.

2. 역사[편집]


해당 개념은 19세기 영국 보수당의 온건파 인물이였던 벤자민 디즈레일리 총리가 어느 한 계급의 이익을 옹호하는 정당이 아니라 국민 모두 정당임을 표방한 "하나의 국민(one nation)"을 외치며 처음으로 주창했다.

차티스트 운동 등으로 선거권, 참정권 확대 요구하는 민중들의 목소리가 커져가자 당시 디즈레일리는 토지를 소유하던 젠트리 계급과 일부 자본가들에게만 한정되어 있던 선거권을 도시 민중과 노동자 계급에게도 부여했고, 전체 (남성)유권자 비율을 80% 이상 끌어올리는 결과도 받아들이며 사회문화적으로 꽤나 진보적인 요소를 품어 진보적 보수주의라고 보기도 한다.

디즈레일리는 제국주의를 옹호했고 딱히 사회주의자도 아니었지만, 매우 친노동적인 스탠스의 정치인이긴 했다. 유대인 출신이기도 했던 그는 과격한 자유방임주의(Laissez-faire)와는 거리를 두고 도시민중, 노동자 계급을 위한 온정적인 복지 확대를 추구했다.[5]보호무역을 중시해 당시 자유무역을 선호하던 필파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러한 그의 철학을 다수 계승한 영국의 일국 보수주의는 대처리즘이 등장하기 이전까지 보수당의 주류 이념으로 이어져왔고, 실제 2차 대전 이후 영국 보수당은 자유당~노동당 수준까진 아니여도 전후 복구와 민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전국민 의료보험과 빈곤층, 노동층에 대한 온정적인 접근, 일정한 시장 개입을 선호했다.

허나 이런 성향은 1970년대 이후 경제적 방임주의 등을 내세우며 성장한 신우파를 중점으로 한 대처주의자들에겐 당연히 거부감을 일으켰다.[6]

이때부터 일국보수주의는 한동안 보수당 강경파에 주도권을 내주게 되지만, 2010년대 데이비드 캐머런이 주축이 되면서 다시 주요 계파로 활동하고 있다. 테레사 메이, 조지 오스본 역시 데이비드 캐머런과 비슷한 당내 중도파이다.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항목 참조.

다만 데이비드 캐머런조지 오스본의 경우, 경제적 자유주의에 대한 지지 정도 측면에서 대처주의와 대립하던 일국 보수주의와는 거리가 있다. 보수당 내각의 총리와 재무장관으로 재임했을 당시, 캐머런과 오즈본은 전통적 일국 보수주의보다는 재정보수주의경제적 자유주의 노선에 입각하여 정부지출 억제, 감세, 규제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데이비드 캐머런, 조지 오스본 항목 참조. 그러나 캐머런의 경우 최저임금 대폭 인상과 그에 기업협조 요구 등의 정책도 폈다.

3. 여담[편집]


가끔 '디즈레일리주의'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나, 일국 보수주의도 거의 2세기 가량 시대가 흐르면서 여러 변형과 시대상에 맞는 변화를 추구해왔기 때문에 완전히 똑같은 개념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가령 전통적인 디즈레일리주의는 우익 사회주의가부장적 보수주의[7]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현대의 일국 보수주의자들은 우익사회주의나 전통적 맥락에서의 '가부장적' 면모가 약한 편이다. 다만 디즈레일리의 사회복지 옹호와 강자의 의무 강조 측면에서의 가부장적 보수주의진보적 요소는 그대로 계승했다.


4. 인물[편집]


  • 에드먼드 버크
  • 벤저민 디즈레일리
  • 네빌 체임벌린
  • 앤서니 이든
  • 해럴드 맥밀런
  • 에드워드 히스
  • 존 메이저
  • 데이비드 캐머런
  • 테레사 메이
  • 조지 오스본
  • 보리스 존슨[8]
  • 페니 모돈트[9]
  • 제러미 헌트

5. 같이 보기[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23 19:24:21에 나무위키 일국 보수주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1:36:59에 나무위키 일국 보수주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처칠의 토리 민주주의 이후 보수당 복지주의로 공식화되었다.[2] 실제로 Red Tory를 비롯한 영국 보수당 온건파들이 주로 주창한다.[3] 노동계급의 지지를 강조했던 윈스턴 처칠 시대의 용어다.[4] Mods and rockers return[5] 공공보건 법안, 섬유산업 노동자들의 하루 노동시간을 9시간 반으로 줄이는 공장법(1874)과 10세 이하 아동고용을 금지하는 공장법(1878)이 대표적인 예이다.[6] 오죽하면 경제적 자유주의 성향이 있던 상대당의 글래드스턴 자유주의를 고평가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7] 다만 여기서 말하는 가부장제는 현대 페미니스트들이 말하는 권위주의적 가부장제라기보다는 부성애적인 아버지의 태도처럼, 사랑을 주고 따뜻하게 베푼다는 의미에 더 가깝다. 물론 좌파적 시각에서 보면 이것부터가 시혜적인 잣대로 보는 스탠스라고 비판할 수도 있긴 하다.[8] 우익포퓰리즘적 성격은 있지만 애초에 일국 보수주의는 자유보수주의와 달리 문화적 자유주의를 지향하지 않고 사회보수주의인 경우도 있다. (물론 일국 보수주의=/=영국 사회보수주의) 보리스 존슨은 친노동적이고 계급간 안정을 중시하는 일국 보수주의자로 정의된다.[9] 대표적인 비수낙 성향 중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