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교사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나무위키에 작성된 실제 전/현직 사회교사
4. 창작물에서 일반사회교사인 캐릭터
5. 관련 단체 및 커뮤니티



1. 개요[편집]


중고등학교에서 (통합)사회, 정치와 법, 경제, 사회문화, 사회문제 탐구 등의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말한다.[1] 단순 ‘통합사회’ 교사 혹은 ‘사회교사’랑은 다르다. 뒤의 둘은 일반사회+지리+역사를 모두 합친 개념이다.


2. 상세[편집]


일반사회교사가 되기 위한 교원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으로는 대학에서 일반사회교육과를 졸업하는 방법이 있다. 그 외에도 사회학과, 경제학과, 정치외교학과, 법학과, 행정학과사회과학 계통의 학과에서 교직이수를 하거나 관련 학과 학사 취득 이후 교육대학원을 졸업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일반사회교사가 될 수 있다.

일반사회과의 경우 법, 사회문화(+사상), 정치, 경제라는 상당히 이질적인 학문들에 관하여 적어도 개론 이상의 지식을 요한다.

고등학교(2, 3학년)는 사회탐구영역으로 분과되어 있어서 덜하지만, 중학교와 고등학교(1학년) 같은 경우는 지리와 함께 사회로, 지리, 윤리, 역사와 함께 통합사회[2]로 묶여있기 때문에 주전공과 관련 없는 내용을 어쩔 수 없이 가르쳐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예를 들어, 일반사회교육을 전공한 교사가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의 지리 부분을 가르쳐야 하거나, 지리교육과를 전공한 교사가 일반사회 부분을 가르쳐야 하는 등. 중학교에서는 사회와 역사가 동일 교과군이기 때문에 한 학교 내에 역사교사가 모자라 일반사회교사가 역사 과목을 가르치거나 역사 과목을 한국사와 세계사 파트로 분리, 역사교사와 일반사회교사가 각각 시수를 나누어 가르치는 일도 있다[3]. 사실 전공 외 과목을 가르치는 일이 그렇게 드문 일은 아니지만. 더군다나 이런 일은 입지와 특수성이 확실한 국영수예체능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일어나는 일이기도 하다.[4][5]

대한민국 교육과정 중 사회과 교육목표만 봐도 대강 시대상을 짐작할 수 있을 정도이다. 가령 3차 교육과정에서는 민주주의를 가르친답시면서 10월 유신이 떡하니 자리잡고 있다.[6] 4차 교육과정에서는 5.16 군사정변혁명이라고 하고 있다.[7] 이 때 입바른 교사가 10월 유신은 독재다, 5.16은 군사반란이다 같은 소리를 했다간 쥐도새도 모르게 남산으로 끌려가므로, 뻔히 손으로 해를 가리려 하면서 쉬쉬해야 하는 황당한 일이 벌어졌다.

때문에 사회교사들은 사회 및 역사 현안에 대해 어떻게 교육시켜야 할지 많이 걱정하고 논쟁도 많이 한다. 이런 점이 다른 과목의 교사들하고 차이가 있다. 사회문제는 시비를 확연히 분별하기 어려우며, 좋아보이는 사례도 거의 필연적으로 부작용이나 반발이 있기 때문. 반면 나쁜 사례도 긍정적 작용이 있는 경우가 있으니.

  • 교사의 의견을 절대적으로 배제하고 사회 문제를 다루고 가르쳐야 한다는 교사
    • 모든 가치판단을 학생의 판단에 맡긴다. 교사는 자신의 의사표현을 최대한 삼가고 학생들간의 상호작용, 토론 등을 통하여 학생들의 가치관을 수립한다.
  • 교사가 적극적으로 가치판단을 하여 '올바른 가치'를 전수해야 한다는 교사
    • 모든 가치판단이 1차적으로 교사에게서 이루어지며, 교사를 자신이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지식을 추출하고 그것을 다듬어 학생들에게 교육한다.[8]
  • 사회적 상대주의적 관점에서 가르쳐야 한다는 교사
    • 이는 사회적으로 가장 '다수가 되는' 방향으로 가르치는 것과, 사회 변화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는 것 등 여러 갈래로 또 나뉜다.

많은 사회교사들이 다양한 교수법을 가지고 토론하고 있으며, 따지고 보면 다 일리가 있다. 어떤 교사들은 교과서가 쉽다는 이유로 잘 안 쓰고 기출문제 돌리며 문제풀이하는 교사들도 많다.

그 외에도 중시되는 교육목표와 교육방법에 대해서도 교사마다 의견이 다양하다. 사회교육과에서 흔히 읽히는 '사회과교육'(2007, 차경수, 모경환 공저, 동문사)에서 소개된 사회과의 전통만 해도 '시민성 전달모형', '사회과학모형', '반성적 탐구모형' 세개가 등장하고 여기에 학자에 따라 몇 가지씩 추가하기도 한다. 이것을 가지고 어떻게 개선하고 무슨 모형을 선택할지도 사회교사들에겐 큰 현안 중 하나이다. 세가지 유형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시민성 전달모형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주입하는 것[9]이며 사회과학모형은 학생이 사회 현상 내부에서 사회적 이론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10] 그리고 반성적 탐구모형은 토론과 대화를 통해 개인과 사회의 현상이나 문제 대한 의사결정력을 키우도록 하는 것이다. 비록 반성적 탐구모형이 대세이기는 하나, 시민성 전달모형, 사회과학모형 또한 필요한 구석이 분명히 있고 교육 현실을 고려하면 시민성 전달모형이 우세하기 때문에 이 또한 갑론을박하고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을 동시에 추구하기도 한다.


3. 나무위키에 작성된 실제 전/현직 사회교사[편집]




4. 창작물에서 일반사회교사인 캐릭터[편집]




5. 관련 단체 및 커뮤니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2:30:24에 나무위키 일반사회교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반적인 학교들은 앞서 언급한 과목들을 위주로 가르치지만, 학교에 따라서는 국제 정치, 국제 경제, 국제법, 한국 사회의 이해, 비교 문화, 국제 관계와 국제기구, 사회 탐구 방법, 사회과제 연구, 실용 경제 등을 담당한다.[2] 통합사회를 담당하는데 있어 다른 사회과목 교사에 비하면 그나마 일반사회교사가 나은 편이다. 통합사회에서 지리/윤리/역사 비중이 과거에 비해 늘어나긴 했지만 아직도 일반사회의 비중이 가장 크기 때문.[3] 물론 반대도 있다.[4] 일례로 교사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시골 학교에 경우 지리교사사회문화를 가르치고, 화학교사융합형 과학지구과학 파트를 맡는 등의 경우가 많다. 게다가 중학교는 고등학교처럼 전공에 맞게 사회나 과학과목이 세분화 되어 있지 않아서 본인의 전공이 아닌 분야를 가르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5] 그 외에도 원래 전공 과목은 국어인데 국어와 연관이 깊다는 이유로 한문을 가리치는 교사도 있고 원래 전공은 독일어프랑스어인데 영어교사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영어 교과를 맡는 경우도 있다.[6] 3차 시기 > 국민학교(1973.02) > 사회 > Ⅱ. 내 용 > 제 6 학년. 4. 민주주의와 우리의 생활. 나.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1) 10월 유신과 민주 헌법.[7] 4차 시기 > 국민학교(1981.12) > 사회과 > 나. 학년 목표 및 내용 > 6학년 > 2) 내 용. 사) 20세기의 민족사. (2) 대한 민국의 발전. (다) 4ㆍ19 의거와 5ㆍ16 혁명.[8] 교과서 위주로 수업하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 있으나, 사회교육 교과서의 의미는 '최소한의 이론'만이 있을 뿐이다. 그것을 어떻게 풀어내고, 그 속에서 어떤 가치를 풀어낼 지 교사가 충분히 상정할 수 있다. 필리버스터 제도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자. 필리버스터 제도를 사회 교사는 '소수당이 정당하게 다수당의 독주를 막을 수 있는 장치'와 '소수당이 다수당을 방해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 설명할 수 있다. 당연히 말 속에 들어있는 의도와 가치가 전혀 다르다.[9] 지식만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의 가치, 태도도 주입한다. 예를들면 한국사회에서 웃어른에 대한 예의범절 등. 따라서 기득권 옹호 혹은 보수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0] 흔히 사회교육과에선 '꼬마 사회과학자를 양성한다.'고 표현한다.[11] 전임 노옥희 교육감의 남편[12] 스핀오프 단편 <중고등 통합교 귀멸학원 이야기>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