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편제

덤프버전 :

분류



파일:일본 황실.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1. 총군
2.2. 방면군
2.3. 군
2.4. 사단 편제
2.4.1. 진대 편제
2.4.2. 청일전쟁 당시 사단 편제
2.4.3. 러일전쟁 당시 사단 편제
2.4.4. 군축과 상설사단 일람
2.4.5. 관동군과 중일전쟁
2.4.6. 태평양 전쟁
2.5. 연대 편제
2.5.1. 보병 연대 편제
2.6. 대대 편제
2.7. 중대 편제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일본군편제를 설명하는 항목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국의 방위를 담당하는 자위대의 편제를 알고 싶으면 자위대/편성을 참고하라.


2. 일본 육군[편집]


평시에는 사단-연대-대대-중대-내무반 구조이며 소대와 분대가 없다.
전시에는 총군-방면군-군-사단-여단-연대-대대-중대-소대-분대 순의 편제가 된다. 군은 타군의 군단에 해당한다.

일본군은 장성 계급이 대장-중장-소장으로 3단계여서 총군 및 방면군 사령군에는 대장, 군사령관과 사단장에는 중장, 여단장에는 소장이 임명된다.


2.1. 총군[편집]


1945년 4월 5일 일본 본토의 통수 조직을 총군 체제로 개편한다.

제1총군(스기야마 하지메 원수, 사령부 도쿄)
제11방면군(토호쿠 지방), 제12방면군(간토 평야), 제13방면군(토카이 지방)
단, 홋카이도의 제5방면군은 대본영 직할

제2총군(하타 슌로쿠 원수, 사령부 히로시마)
제15방면군(츄고쿠, 시고쿠), 제16방면군(큐슈)
항공총군(카와베 마사카즈 대장, 사령부 도쿄)

제1항공군(동부 혼슈), 제2항공군(만주)[1], 제5항공군(조선, 만주일부), 제6항공군(서부 혼슈, 시코쿠, 큐슈)

위와 같으며 기존 있던 관동군, 지나파견군, 남방군도 총군급에 해당한다.
관동군은 조선의 17방면군과 북지나방면군을 합쳐 제3총군으로 개편하기를 대본영에게 요청 했지만 씹혔다.

부대명
부대통칭
창설일
해체일
편성지역
소재지
상급부대
부대별칭
만주군[2]
-
1904.06.20
1905.12.20

펑톈
전시대본영

관동군

1919.04.12
종전

신징
대본영

지나파견군

1939.09.12
종전

난징
대본영

남방군

1941.11.06
종전

달랏
대본영

제1총군
東方
1945.04.07
종전

도쿄
대본영
1GA
제2총군
西方
1945.04.07
종전

히로시마
대본영
2GA
항공총군

1945.04.07
종전

도쿄
대본영

방위총사령부

1941.07.07
1945.04.07

도쿄
대본영



2.2. 방면군[편집]


일본에서는 '方面軍'으로 표기하며 타군의 야전군에 해당한다. 통상 대장 보직이나 부대 규모에 따라 중장이 임명되기도 한다.
조선군(일본제국)의 경우 독립적으로 존재하다가, 일제 패망 직전인 1945년 2월 6일에 조선군관구로 명칭 변경 후 새로 창설된 제17방면군 산하로 배속되어 한반도 남부 및 제주도를 담당하였다.

태평양전쟁 말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총군(관동군/남방군/지나파견군) – 군 – 사단 체계였고 방면군이 없었다. 그러나 말기로 갈수록 규모가 커져서 총군과 군 사이의 중간 지휘 부대인 방면군들이 속속 창설된다.

예를 들자면 남방군에서 제15군은 태평양 개전 첫날 부터 태국 및 버마를 점령·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3년 무다구치 렌야가 군사령관에 임명되고 버마 서역의 방위 태세를 확립하려고 하자 잉를 지원 하기 위해 상급 부대로 ‘버마방면군’이 창설 되었다. 제15군 사령부의 주요 임무가 ‘내면지도’라고 하여 버마 정부(바모 수상)와 인도 임시정부(찬드라 보스)에 대해 정략적 지도를 하는 것인데 이 임무에서 해방 시켜주어, 제15군을 작전에만 전담하게 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방면군 예하에 군이 몇 개씩 있는 것은 아니고 버마방면군의 경우

방면군 직할 – 제18, 제56사단, 독립혼성제24여단
제15군 – 제15, 제31, 제33사단
뿐이었다.

반면 싱가포르에 사령부를 둔 제7방면군은 예하에 3개 군을 통솔하고 있었지만 종전당시를 기준으로
제29군 – 제94사단
제16군 – 제48사단
제25군 – 근위사단
이게 끝이었다. 즉 남방군에선 병력규모만 따지면 ‘군’과 그 상급부대인 방면군은 큰 차이 없는 경우가 보통이었다.

반면 지나파견군에서는 방면군의 규모가 훨씬 커서 패망당시 제6방면군은 2개군-8개사단, 북지나방면군은 4개군-6개 사단이나 있었다.(지나파견군 직할 2개군 11개 사단 제외)

1945년 1월 20일에는 대본영이 <제국육해군작전대강>을 책정하여 기존의 군제를 방위 위주로 대폭 개혁한다. 1월 22일에는 기존의 군사령부[3]를 폐지하고 작전군인 ‘방면군사령부’와 군사행정을 담당하는 ‘군관구 사령부’를 신설 하였다. 방면군사령관과 군관구 사령관은 동일인이나 참모부장 이하는 별개로 구성하여, 작전군인 방면군이 후방을 염려하지 않고 작전준비와 결전에 전념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생겨난 부대가
제5방면군/북부군관구(삿포로)
제11방면군/도호쿠군관구(센다이)
제12방면군/동부군관구(도쿄)
제13방면군/동해군관구(나고야)
제15방면군/중부군관구(오사카)
시코쿠군관구(젠츠지)[4]
제16방면군/서부군관구(후쿠오카)
제17방면군/조선군관구(경성)
제10방면군/대만군관구(타이페이)

이상 8개 방면군이었다. 조선의 예를 들자면 기존의 조선군은 19사단, 20사단, 30사단이 남방으로 출정되어 껍데기만 존재하였다. 그러다 관할지역을 대동강 이남으로 하는 제17방면군이 창설되고 일본과 만주에서 창설된 4개 사단을 받았다.[5] 다만 제주도만은 별도로 58군이 창설되어 2개 사단 1개 혼성여단이 담당하는데, 17방면군의 예하부대이나 지휘를 받지는 않는 반독립적 부대이다.

군관구는 예하에 사관구 그 아래 연대구를 두었다. 기존의 유수사단이 사관구로 개편된 것. 사단장과 달리 사관구 사령관은 친보직이 아니며 재향[6] 장관중 임명 되었다.

부대명
부대통칭
창설일
해체일
편성지역
소재지
상급부대
부대별칭
북지나방면군

1937.08.26
종전

베이징
지나파견군
NCHA
중지나방면군

1937.10.30
1938.02.14

난징
대본영

남지나방면군

1940.02.10
1941.06.24

광둥
지나파견군

제1방면군

1942.07.01
종전

둔화
관동군
1HA
제2방면군

1942.07.01
1945.06.22

아이퐁
남방군
2HA
제3방면군

1943.10.29
종전

펑톈
관동군
3HA
제5방면군

1944.03.10
종전

삿포로
대본영
5HA
제6방면군

1944.08.25
종전

한커우
지나파견군
6HA
제7방면군

1944.03.22
종전

싱가포르
남방군
7HA
제8방면군

1942.11.09
종전

라바울
대본영
8HA
제10방면군

1945.02.01
종전

타이베이
대본영
10HA
제11방면군

1945.02.01
종전

센다이
제1총군
11HA
제12방면군

1945.02.01
종전

도쿄
제1총군
12HA
제13방면군

1945.02.01
종전

나고야
제1총군
13HA
제14방면군
尚武
1944.07.18
종전

루손 섬
남방군
14HA
제15방면군

1945.02.01
종전

오사카
제2총군
15HA
제16방면군

1945.02.01
종전

후쿠오카
제2총군
16HA
제17방면군

1945.02.01
종전

서울
관동군
17HA
제18방면군

1945.07.14
종전

방콕
남방군
18HA
미얀마방면군

1943.03.18
종전

모르멘
남방군



2.3. 군[편집]


일본에서는 "軍"이라고 표기하며 타군의 군단에 해당한다.
일본군은 평시에 사단 단위로 편성되어 있다가 전시에만 상급부대를 편제하는 시스템이다. 최초의 '군'은 청일전쟁 전해인 1894년에 창설되었다.

일본군은 ‘3개 사단은 1개 군, 3개 군은 1개 방면군’ 식으로 규모에 따른 편제가 아니라 일본군은 4각편제이긴 하지만, 지역에 따른 편제를 하였다.

예를 들자면 1941년 11월 남방작전 당시
남방군 직할 - 21사단
제14군(필리핀) - 제16, 48 사단, 독립혼성제65여단
제15군(태국 및 버마) - 제33, 55사단
제16군(인도네시아) - 제2사단, 독립혼성제56여단
제25군(말레이) - 근위사단, 제5, 18사단
으로 편제되었다.

이로 인해 같은 ‘군’ 단위라도 그 규모의 차이가 매우 컸다. 중지나 전선 이치고 작전 당시 제11군은 무려 8개 사단이나 편제 되었지만[7], 1942년 5월에는 동부 뉴기니 지역 작전을 위해 제17군을 창설했는데 초기엔 사단이 없고 몇 개 연대급(35여단 일부, 남해지대, 아오바지대, 41연대)뿐이었다. 그러다 작전 지역내 과달카날에서 전투 벌어지자 동부 뉴기니는 제 18군을 창설하여 맏기고 17군은 과달카날만 전담했는데 이때 예하 병력은 새로 배속된 이치키지대(1개 대대)가 전부였다. 이런 식으로 같은 ‘군’이라도 병력 규모가 대단히 유연하였다. 다만 군사령관은 규모에 상관 없이 항상 중장급이었다.

  • 청일전쟁 이전
- 제1군, 제2군, 제3군, 제4군 : 청일전쟁을 위해 1894년에 편성 되었다가 1년 만에 해산했다. 이후 러일전쟁 시기에 1904년에서 1905년까지 존속했고, 중일전쟁 발발 후 1907년에 편성되어 패망까지 유지되었다.
- 웨이하이점령군(威海衛占領軍) : 시모노세키 조약에 근거해 산둥성 북부에 있는 웨이하이시를 점령하기 위해 1895년 4월에 편성한 부대였다. 1898년 5월에 해산하였으며 산하에 2개 여단 (혼성11여단, 혼성2여단) 밖에 없는 작은 부대로 사령관도 소장이었다.
- 압록강군(鴨緑江軍) : 러일전쟁을 위해 1905년 1월에 편성되었다. 제1~4군과 함께 만주군(방면군 급)에 편입되어 한반도에 배치되었고 봉천 전투에 참가하였다가 1906년 1월에 해산했다. 예하에 11사단, 후비 제1사단을 두었다.
- 랴오둥 수비군(遼東守備軍) : 랴오둥 반도를 수비하기 위해 1904년 8월 14일에 편성되어 1905년 4월 27일에 해산했다. 후비보병제33ㆍ48연대와 후비보병제15ㆍ4여단을 두었다.
- 칭다오 수비군(青島守備軍) : 중국 산둥성 동부 칭다오시를 수비하기 위해 1914년 11월에 편성되었다가 1922년 12월 해산했다. 사령관은 중장이었으나 산하에 칭다오수비대(소장급, 4개 대대)만 두었다.
- 조선군 : 조선주차군이 1904년 3월 11에 조선군으로 개편된 것이 시초로, 1945년 조선군관구, 제17방면군으로 사실상 개편되었다가 1945년 9월 9일 해산했다. 가장 오래 존속했던 군사령부이다. 통상 군사령관은 중장이나 가끔 대장이 임명되는 경우가 있었다. 산하에 19사단과 20사단을 두었다. 자세한 것은 조선군(일본제국) 문서 참조.
-블라디보스토크 파견군(浦塩派遣軍) : 1차세계대전 시베리아 출병을 위해 1918년 8월에 편성 되었다.
-사할린 파견군(サガレン州派遣軍)


2.4. 사단 편제[편집]



2.4.1. 진대 편제[편집]


초창기에는 보병연대 중심으로 편제하였다. 1870년 프랑스군을 본보기로 천황의 군대를 건설하기 시작하여, 71년에는 사쓰마, 조슈, 도사, 히젠번에서 번병을 차출시켜 중앙군인 어친병을 만드는 한편, 지방의 치안담당을 위해 번병을 재편성하여 도쿄, 오사카, 친제이(구마모토), 도호쿠(센다이)의 4개 진대를 설치 하였다. 72년에는 어친병을 근위병으로 개칭하고, 73년에는 나고야와 히로시마에 진대가 설치되어 6개 진대 체제를 만들었다. 4월부터 징병제가 시작되어 평민출신이 각 진대에 입대하였고 74년에는 최초의 보병연대 9개가 처음 편성되었고, 각 연대는 천황의 군대를 상징하는 군기(연대기)를 천황으로 부터 수여 받았다.(자세한 것은 일본군/역사 참조)

진대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1873년 1월 도쿄 진대의 예)
보병연대(도쿄 소재, 각 보병대대 2개)
보병연대(사쿠라 소재)
보병연대(니가타 소재)
기병대대 2개
포병소대 2개
공병소대
치중대
예비포병소대 4개
해안포대(시나가와, 요코하마, 니가타 소재)

보병연대의 수는 1874년 최초 9개가 편성되었고, 1874년 14개, 1875년에 15개였으며, 84년에 3개 증설, 85년에 4개 증설, 86년에 5개 증설, 87년 1개 증설로 총 28개 연대가 된다.

1878년 기준(14개 연대 시절임)으로 평시 TO 43,229명이고 말은 2,858필이며 실병력은 34,348명이다. 병과는 오병이라고 하여 보병, 기병, 포병, 공병, 치중병만 존재했다.

6개 진대 상비군 합계는 31,100명이며 말은 2,183필이다. 전시에는 예비군 병력이 증원되는데 그 수는 11,250명 내외이다.

각 연대는 3개 대대로 편성되었고 병력은 2,285명에 말 94필이며 연대장, 부관, 초병사령[8], 기수, 계관[9], 연대부속무기관, 서기, 나팔장, 의관, 부의관, 간병인, 총기수리장 각 1명을 둔다.

보병 대대는 4개 중대로 편성되어 병력은 757명에 말은 2필이다. 그리고 대대장, 부관, 하부관, 서한괘[10], 계관, 초병장, 무기관, 서기, 병실관, 나팔장, 의관, 부의관, 간병인 각 1명, 간호수 3명, 총공[11] 2명, 봉공[12], 혁공[13] 각 1명을 둔다.

보병 중대는 4개 소대를 두고, 소대는 좌우 반소대가 하나로 합쳐 1개 소대를 이루며 초졸[14] 2명을 둔다. 반소대는 2개 분대로 이루어지고, 분대당 10명을 둔다. 즉 1개 소대 병력은 45명.

기병 1개 대대는 2개 중대가 합하여 이루어지고 중대는 4개 소대로 구성한다. 소대는 2개반 4개 분대이며 기병 1개 분대는 8명이다.

야포병 1개 대대는 2개중대가 합쳐서 구성되고 중대는 3개 소대로 이루어진다. 1개 소대는 2개반 4개 분대이며 각 분대는 8명이다. 그리고 소대 2개 포를 좌우반에 1문씩 배치한다.

공병 1개 대대는 2개 중대가 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대는 4개 소대로 구성한다. 1개 소대는 2개반 4개 분대이며 각 분대는 10명이다. 병사들마다 목공과 말편자 수리공의 일을 보고 배운다.

치중병 1개 중대는 2개 소대가 합하여 이루어진다. 소대는 기병 56명과 오장 8명을 합해 64명으로 구성된다. 각 오마다 8명의 병사가 있다.

근위국 보병은 2개 연대로 편성하고 각 연대는 2개 대대 편제이다. 대대는 4개 중대로 편성한다. 근위국 기병은 4개 소대로 구성된 1개 중대를 둔다. 포병은 2개 중대로 구성되는 1개 대대로 하며, 각 중대는 3개 소대로 이루어진다. 공병은 4개 소대로 구성된 1개 중대를 둔다. 근위국 총원은 3,929명이며 말은 360필.

부대 구성은 진대와 동일하지만 각 소대에 총졸[15] 2명, 초병 2명씩이 추가로 더 있다.

병력은 각 진대에서 3개월간 훈련이 마친자중 선발하며 3~5개월 더 복무하는 대신 급료를 조금 더 준다. 보병은 매년 8월, 포병과 공병은 9월, 기병은 10월에 선발한다.

진대와 근위대 외에 도쿄에 육군하사를 보충하기 위한 교육기관인 교도단(보병 1개대대, 기포공병 각 1개 중대, 군악 1개 대)과 장교를 교육하기 위한 사관학교와 유년학교가 있다. 이시기 보병과 기병은 3년교육, 포병과 공병은 5년간 교육하며 졸업 후 진대 소위로 임관하여 3년 후에는 중위가 된다.



2.4.2. 청일전쟁 당시 사단 편제[편집]


사실 진대 편제 중에서도 초창기부터 프랑스 군제를 따라야 하나, 프로이센 군제를 따라야 하나 다소 논란이 있었다. 그런데 프로이센-프랑스 전쟁(1870년~71년)에서 프랑스가 프러시아에게 패하면서 대세는 프로이센 군제를 따르는 것으로 바뀌게 된다. 이에 일본육군대학의 교관도 최초의 프랑스 교관에서 프로이센 교관이자 일본군사사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멕켈 소령으로 교체하였고, 1886년에는 모범병제를 프랑스식에서 독일식으로 바뀌게 된다. 다만 이와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군의 특징인 백병 돌격전과 기병 중시 전술은(프로이센은 신속한 기동으로 화력 집중 전술) 일본군의 스타일이 딱 맞았는지, 일본군 멸망 때 까지 이어지게 된다.(단 러일전쟁시기는 화력주의 채택, 러시아군은 백병주의)

1888년에는 기존에 설치된 6개 진대를 폐지하고 1사단~6사단을 새로 편성하였고, 91년에는 근위병을 근위(고노에)사단으로 편성한다. 이때 단순히 명칭을 사단으로 변경 한 것이 아니라 부대의 군사적 성격이 변화하게 된다. 진대란 일정 담당 지역을 방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사단은 전략 단위로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기동성을 갖추었다. 이는 명백히 대륙에서 전투를 염두에 둔 조직이였다.

사단 개편 직후인 1890년 평시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
사단 총원 9,199명, 군마 1,171마리
└사단사령부(중장, 37명, 16핊)
보병여단(3,499명, 33필) 2개-보병연대(1,721명, 14필) 2개-대대(560명, 3필) 3개–보병중대(136명) 4개
└여단사령부(소장, 7명, 5필)-연대본부(대좌·중좌, 41명, 5필)-대대본부(소좌, 16명, 3필)
기병대대(512명, 462필)-중대(169명, 150필) 3개
└대대본부(중좌·소좌, 35명, 12필)
포병연대(722명, 311필)-야포대대(228명, 120필) 2개-중대(111명, 58필) 2개
-산포대대(228명, 62필)-중대(111명, 29필) 2개
└연대본부(대좌·중좌, 40명, 9필)-대대본부(소좌, 6명, 4필)
공병대대(408명, 19필)-중대(126명, 5필) 3개
└대대본부(소좌, 30명, 4필)
치중병대대(622명, 298필)-중대(290명, 146필) 2개
└대대본부(소좌, 32명, 6필)

청일전쟁 한 해 전인 1893년경 사단 편제는 다음과 같다. 전시의 편제로 보인다.
사단 총원 18,000명, 말 약 5,500마리
└사단사령부(175명, 95필)
보병여단(5,806명, 752필) 2개-보병연대(2,896명, 188필) 2개-보병대대 3개–보병중대 4개
└여단사령부((14명, 9필)
기병대대(509명, 488필)-기병중대 3개
야포병연대(1,267명, 944필)-야포병대대 2개, 산포병대대 1개–각 2개중대
공병대대(525명, 239필)-공병중대2개
대가교종열(大架橋縱列, 336명, 239필)
소가교종열(120명, 78필)
탄약대대(1,505명, 1,287필)
치중병대대(輜重兵, 1,328명, 1,345필)
위생대(416명, 51필)
야전병원(116명, 44필) 6개

종열은 '단레츠'라고 부르며 탄약·물자등을 운반한다. 대소가교종열은 이름 그대로 가교(다리) 설치 부대이며, 치중병은 보급부대를 뜻한다. 야포병연대는 70밀리 야포로 무장했으며, 이외에도 경량화 되어 분해 운반이 가능한 산포로 무장한 산포병연대도 존재한다. 중포병 연대는 1차대전기인 1918년에서야 6개 연대가 등장한다.

방면군 사령관에는 대장(또는 중장), 군 사령관은 중장, 사단장은 중장, 여단장은 소장(또는 중장), 연대장은 대좌가 임명된다. 평시에도 보급/행정부대를 간소화 하여[16] 전투부대 비중이 높도록 편제가 되어 있다. 청일·러일 전쟁 시기에는 사단정원중 보병여단 2개가 차지하는 비율이 60%정도였으며, 훗날 중일전쟁 때에는 60~65%를 차지한다. 이런 극단적인 보급/행정/전투지원부대 경시 풍조는 두고두고 일본군의 발목을 잡게 된다. 이 부분은 어째 현대 북한군과 비슷하다

보병연대는 사단내에서도 핵심이라 천황이 내리는 군기(연대기라고도 함)가 수여되었고, 1896년부터 기병대대가 기병연대로 확장되자 역시 연대기가 수여 되었다. 그런데 기병연대가 말대신 차량을 이용하게 되자, 이건 천황의 군대가 아니라고 생각했는지 군기가 반납(...)되었다. 물론 신편되는 기갑연대 같은 곳에도 군기는 수여되지 않았다.

이러한 보병 2개여단, 4개연대로 구성되는 4각편제는 1차대전 당시만 해도 유럽군은 물론 미군의 일반적인 편제였다. 그러나 이후 세계적인 기조가 각종 전투지원부대의 강화와 전투부대 지휘부담을 덜기 위해 3각 편제로 바뀐다. 일본군의 경우는 그보다는 각 사단에서 1개 연대씩 차출하여 신편 사단을 만들기 위해 저절로 3각편제가 되어 중일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그러나 정통있는 사단들은 가능하면 4각 편제를 유지할려 했기 때문에 3각편제와 4각편제가 혼재되었다.

어느 군대와 마찬가지로 일본군 역시 전시편제와 평시편제가 있었는데, 평시에는 수송∙위생 관계 부대 대부분과 전투부대 일부를 결원으로 남겨 두고, 전시에만 동원령을 발동해 정원에 맞게 보충하는 것이다.

청일 전쟁 중인 94년에 1개 사단이 증설되는데, 연대는 진대시절 편성된 그대로인 28개 체제로 진대가 사단으로 변환된 88년 이후 추가된 연대는 없었다.


2.4.3. 러일전쟁 당시 사단 편제[편집]


기존의 8개 사단(근위, 1~7사단)에 더하여, 러일전쟁 직전인 1898년 5개 사단(8사단~12사단) 20개 연대를 추가로 증설한다.[17]

러일전쟁 당시인 1899년 기준으로 사단 편제는 다음과 같다.

사단 총원 18,360명~18,400명, 5020~5490필
└사단사령부(230병, 120필)
보병여단(5,817명, 443필) 2개–보병연대(2919명, 216필) 2개–보병대대 3개–보병중대 4개
└여단사령부(19명, 11필)
갑종 기병연대(724명, 679필)-기병중대 4개
※을종 기병연대(519명, 484필)-기병중대 3개
야포병연대(1,190명, 1,047필)-포병대대 3개-포병중대2개
※산포병연대(1,369명, 782명)
공병대대(788명, 110필)
가교종렬(345명, 216필)
갑종 탄약대대(741명, 562필)
갑종 치중병대대(1,530명, 1,186필)
위생대(487명, 60필)
야전병원(104명, 28필) 6개

기병의 경우 4개 중대 체제인 갑종 연대와 3개 중대 체제인 을종 연대가 있다. 포병은 청일전쟁 당시는 1개 연대 안에 2개 야포병 대대, 1개 산포병 대대가 있었는데, 러일전쟁 편제에서는 야포병 연대와 산포병 연대중 택1 하도록 변경되었다. 탄약대대와 치중병 대대는 갑종과 을종이 있었는지, 또는 일부 갑종 사단에만 편제 되어 있었는지 불명.

1886년에 도입된 프로이센 군제로 화력주의를 채택한 일본군은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후 러일전쟁을 참관한 유럽열강은 기존의 백병주의를 화력주의로 변경하게 되었고, 특히 중기관총과 중포(150밀리 이상의 유탄포 혹은 100밀리 이상의 캐논포)를 개발하여 집중 배치 하였다.

그런데 정작 승리한 일본군은 화력주의 노노! 백병주의 OKOK! 라는 희한한 결론을 내려 다시 프랑스식 백병주의로 회기하게 된다.

러일전쟁이 종료한 1905년에는 4개 사단 16개 보병연대 5개 포병연대, 3개 기병연대가 창설되어 총 17개 사단 68개 연대, 24개 야산포병연대, 20개 기병연대 체제가 되었다.

이후 <제국국방방침>에서 ‘제국국방에 필요한 병력’으로 1907년에는 평시 25개 사단, 전시 50개 사단을 규정하고, 18년에는 전시 40개 사단, 23년에는 작전초동병력 40개 사단, 36년에는 작전초동 병력 50개 사단에 항공 140개 중대를 목표로 하게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07년에는 2개사단, 1개 포병연대, 대만보병 1,2연대(독립 연대), 08년에는 8개 보병연대가 창설되었다.

16년에는 조선에 7개 보병연대를 창설하고 이를 중심으로 나남(청진)에 주둔하는 19사단을 창설하고, 19년에는 서울 용산에 20사단을 창설한다(부족분 1개 연대는 20년 창설). 앞서 18년에는 1차세계대전에서의 대포병전에 자극을 받아 야전중포병 연대 6개를 창설한다.


2.4.4. 군축과 상설사단 일람[편집]


1차세계대전 종결후 채결된 워싱턴조약으로 해군예산이 줄어들었다. 이에 세수대비 재정압박이 심한 육군 예산 역시 삼각하라는 요구가 높아서 1922년 8월 야마나시 한조 육군대신에 의한 군축이 일어난다.

19년 기준으로 육군은 260,753명(해군 77,626명), 21년 기준으로 21개 사단 86개 보병연대, 30개 야산포병연대, 6개 중포병연대, 29개 기병연대로 구성되었다.[18]

야마나시 1차 군축으로 육군 정원을 장교 2,268명, 준사관 이하 5만 7,296명, 말 1만 3천필을 삭감하고, 각종 단위부대에서 대대까지는 건드리지 않고 보병 252개, 기병 29개, 공병 7개, 치중대 9개 등 중대급에 한해서 폐지하여 감축하는등 육군을 크게 자극하지 않는 정도의 온건한 방식이였다. 단 육군 전반에 만연한 포병 경시 풍조 때문인지 야산포병 만은 9개 연대급이 감축되고 대신 독립 야산포병연대 2개, 중포병 연대 2개가 증설되었다.

다음해인 23년 4월의 야마나시 2차 군축에서는 요새·학교·관청을 대상으로한 감축이 있어 1·2차 합계 4,033만 엔의 경비가 절약 되었다.

그러나 25년에는 우가키 가즈시게 육군대신의 주도로 대규모 군축이 이루어졌는데, 우가키 군축은 기존의 야마나시 군축처럼 온건한 방식이 아니라, 4개 사단 16개 연대, 기병/야포병 각 4개연대, 공병/치중병 각 4대대 등, 총 4개 사단을 일거에 삭감하여 병력 총 감축은 3만3,900명, 말 6,000필에 그쳤다.[19] 여기에 27년부터는 기존의 현역 복무기간을 2년 6개월에서 2년으로 단축 시켰다.

이러한 3차에 걸친 군축으로 절약된 인원과 예산 중 일부로 전차부대·항공대·고사포 부대 창설을 포함하여 장비의 근대화에 힘을 썼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26년에 전차 독립 1개중대(10대), 28년에 6개 비행대대를 창설하였다.

군축이 끝난 25년 기준으로 육군 사단 목록은 다음과 같다.
사단
사령부소재지
편성연원일
예하보병연대
근위사단
도쿄
1891.12.14
근위보병 1~4연대
제1사단
도쿄
1888.05.14
1,3,49,57연대
제2사단
센다이
1888.05.14
4,19,29,30연대
제3사단
나고야
1888.05.14
6,18,34,68연대
제4사단
오사카
1888.05.14
8,37,61,70연대
제5사단
히로시마
1888.05.14
11,21,41,42연대
제6사단
구마모토
1888.05.14
13,23,4547연대
제7사단
아사히카와
1894.10.19
25,26,27,28연대
제8사단
히로사키
1898.10.01
5,17,31,32연대
제9사단
가나자와
1898.10.01
7,19,35,36연대
제10사단
히메지
1898.10.01
10,39,40,63연대
제11사단
젠쓰지
1898.10.01
12,22,43,44연대
제12사단
구루메
1898.10.01
14,24,46,48연대
제13사단
다카다
1905.02.07
폐지
제14사단
우쓰노미야
1905.07.06.
2,15,50,59연대
제15사단
도요하시
1905.07.17
폐지
제16사단
교토
1905.07.18.
9,20,33,38연대
제17사단
오카야마
1907.11.30
폐지
제18사단
구루메
1907.11.13
폐지
제19사단
나남
1916.04.01
73(나남),74(함흥),75(회령),76(나남)
20사단
용산
1916.04.01.
77(평양),78(용산),79(용산),80(대구)

이상 17개 사단이 상설 사단이라 하여 명문 대접을 받았고, 향후 전선이 확장되면서 대부분 관동군에 배치된다(상대적으로 중국전선과 남방전선은 대부분 신설사단 배치됨). 폐지된 4개 사단은 25년 5월 1일 우가키 군축으로 일시에 감축되었다. 위의 표에는 없지만 22년에 창설된 대만 1,2 보병 연대도 있어 총 보병 연대는 70개 연대였다.


2.4.5. 관동군과 중일전쟁[편집]


1931년 만주사변이 발생하면서 관동군의 괴뢰국인 만주국이 탄생하였다. 이에 만주에 상시로 1개 사단, 33년 이후에는 3개 사단이 교대로 파견되었다. 다만 만주사변이라는 전쟁에도 불구하고 사단 단위로 증설은 일어나지 않았고, 33년에야 야전중포병 연대 1개가 창설되고 기존의 2개 전차대대가 2개 전차연대로 증편 되었다. 34년에 이르러야 군축후 처음으로 1개 보병연대 창설, 35년과 36년에 각각 보병 2개 연대가 창설 되었다. 이러한 증편 보병 연대는 사단 소속이 아닌 독립연대들로 그중에서 36년에 창설된 연대는 지나주둔군 소속 지나주둔보병 1,2연대였다. 또한 같은해에 보병연대 외에도 야산포연대 3개, 중포병연대 1개, 고사포연대 2개, 기구연대 1개가 창설된다. 여기에 기존에 사단에 편입되어 있던 공병대대와 치중병대대가 연대급으로 증편되었다. 전반적으로 대소련 작전을 염두에 둔 증편이였다. 질적으론 별 쓸모가 없지만 중국 군벌군(친일성향 군벌군 및 장학량에게서 강탈한 동북군 세력)을 끌어들였으므로 수적인 면에선 대대적 증편까진 필요 없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끌어들인 중국 군벌군은 훗날 만주국 군대인 만주군의 인적 토대가 된다.

그런데 만주사변 당시 6개 사단 뿐이였던 극동 소련군이 자신들의 턱밑까지 진출한 일본군에 자극 받아 37년 기준으로 20개 사단 37만명으로 대폭 증강된다. 이에 일본군 역시 자극 받아 관동군을 두배로 대폭 늘려 6개 사단을 배치 한다. 이후 상호간에 상대방을 보고 점점 병력을 늘리는 병림픽을 벌여 극동 소련군은 1940년에는 30개사단까지 늘렸다가 독일의 기습공격으로 병력을 대폭 전용해 동부전선으로 돌려 2선급 부대들만 남아 있다가, 45년에 45개 사단 150만명으로 일본을 압살할 준비를 한다. 반대로 일본은 만주에 주둔하여 대소전을 목적으로 한 관동군을 40년에 상설사단을 중심으로 12개 사단 40만명까지 편재하여 절정에 달했다가, 중일전쟁 전선이 확장되고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 남방전선이 생기면서 일부 병력을 전용함에도 불구하고 관동군이 병력 늘려달라는 징징거림에 점점 사단과 병력을 늘리다가 45년에는 24개 사단 66만명으로 절정에 달한다. 그러나 주력 부대는 대부분 43년~44년경 남방전선으로 전용되어 소모되었거나 막판에는 본토결전에 대비한답시고 본국에 돌아가서 부실한 2선급 부대만 남았다. 그동안 2선급 부대들을 배치했지만 동부전선이 정리돼 감에 따라 주력 부대들은 동부전선에서 극동전선으로 옮겨온 소련군과 정확히 반대되는 상황.

전반적으로 관동군은 중국전선이 확대 되거나, 태평양 전쟁이 터져 남방전선이 생기면서 대거 사단들이 필요 할 때, 오히려 관동군이 점점 늘어나는 요술을 보여준다. 그때마다 이유는 소련이 공격해 올 것 같아 병력을 증설해야 한다고... 이것만으로 부족했는지 38년에는 신편사단 1개를 중일전선으로 보내주고 대신 지나군에서 상설사단 2개를 관동군으로 받게 된다.

관동군의 징징댐은 심각할 정도여서, 중일전쟁에 의해 중국 전선이 끝도 없이 확장되었지만, 일본 본토내에 있는 정예부대인 상설 사단은 한가하여 할 일이 없는 관동군으로 보내주고, 급조한 특설사단만을 전쟁터인 중일전선으로 보낸다. 특히 38년에는 관동군 8개사단중 무려 7개 사단이 제1, 2, 4, 7, 8, 11, 12사단등 상설 사단으로 구성된 정예였으니 대본영에서 얼마나 관동군을 편애하며 신경썼는지 알만 하다. 특히 38년부터는 비정규전이라 할 수 있는 비적토벌 임무[20]를 만주국의 군대로 창설된 만주군이 떠맡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상당수의 사단들은 정규전을 대비하여 소만국경에 전진 배치되었으니 더욱 할 일이 없었다.

반면에 정작 전선이 끝도 없이 늘어나 현기증 나는 중일 전쟁에서는 신편사단 위주였다. 우가키 군축으로 감축된 17개 상설사단 체재에서 37년까지 7개 사단이 신편 되었다. 그런데 37년 기준으로 상설사단 5개와 신설사단 1개가 관동군에 배치되고, 상설사단 10개와 신설사단 나머지 전부가 중국 전선에 배치되었다.[21]

지역별 사단 배치는 다음과 같다.
연월
본토
조선
대만등
만주
중국
남방
합계
1936.00
12
2
0
3
0
0
17
1937.12
1
1
0
6
16
-
24
1938.12
1
1
0
8
24
-
34
1939.12
5
1
0
9
27
-
42
1940.12
9
2
0
11
27
-
49
1941.12
4
2
0
13
22
10
51
1943.12
6
2
0
15
24
23
70
1944.03
3
3
0
12
24
30
72
1944.12
14
0
8
9
25
43
99
1945.08
58
7
9
25
26
44
169

위의 사단 배치는 다소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는데, 본토는 지시마와 가라후토에 배치된 제5방면군을 포함하고, 대만은 오키나와와 오가사하라를 포함한다. 남방은 동남아에 배치된 남방군과 태평양지역의 제8방면군을 포함한다. 물론 조선은 조선군, 만주는 관동군, 중국은 지나군을 뜻한다. 1936년에 배치된 17개 사단만이 상설사단이다.

이와 같은 사단 증설에도 불구하고 1938년에는 중일전선을 위해 추가로 10개 사단이 필요 하였다.(도합 34개 사단 131개 연대, 115만명) 이에 새로 창설된 사단중 9개는 중국 전선으로 가고 1개 사단은 관동군으로 갔다.
이런 중일전선의 급박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관동군에서는 계속 병력을 늘려달라고 징징대어 관동군에서 중일전선으로 37년에 신설된 26사단을 보내주고, 대신 중일전선에서 정예 부대인 상설 사단 7사단과 11사단을 보내주는 부대 이동이 있었다. 참고로 이때 10개 사단 증설 때문에 본국에서는 기존의 현역인 갑종 외에도 보충역인 제1을종과 제2을종까지 징병된다. 또한 현역이 끝나고 예비역 5년 4개월이 있는데 이들도 징집된다.

1939년에는 중국전선의 제9, 10, 14, 16사단이 일본으로 귀환하고 37년에 임시 편성된 101, 109, 114사단이 폐지되었다. 대신 11개 사단, 32개 보병연대가 편성되어 그중 한 개만 관동군으로 가고 나머지는 전부 중국 전선으로 간다. 중국 전선의 상설 사단이 점점 줄어드는 것 같으면 눈의 착각이 아니다. 이에 육군은 총 42개 사단 124만명이 된다.
이런 급속한 병력 확대로 인해 기존에 보충병역 기간이 총 12년 4개월이였지만(현역+예비역+후비역 기간 합계) 17년 4개월로 5년 연장되고 최고 38세까지 소집가능 하게하는 법 개정이 이루어 진다.

1940년에는 2개 사단이 폐지되고 새로 9개 사단 11개 보병연대가 편성되어 49개사단 135만명이 된다.

1941년에는 2개 사단 10개 보병연대가 편성되어 51개 사단 210만명으로 늘어난다.

세부적으로 보자면 중일전쟁 이전의 17개 사단 체제에서 태평양 전쟁 직전까지 사단의 수가 정확히 3배 늘어 난다. 보병 연대는 75개에서 184개로 2.45배 늘어나고, 야산포병연대는 23개에서 59개로 2.57배, 중포병 연대는 12개에서 47개로 3.92배, 기병(수색) 연대는 25개에서 46개로 1.84배, 전차연대는 2개에서 16개로 8배(...), 공병연대는 18개에서 61개로 3.39배, 치중병연대는 17개에서 69개로 4.06배가 되었다.

그중에서 기병연대는 39년경부터 말이 자동차로 개편된 결과 본래의 연대중 3개가 폐지되고 12개가 수색연대로 개편되었다. 여기에 새로 수색연대 18개가 편성되고 1개가 폐지되었고, 기마로 구성된 기병연대도 새로 7개가 편성되었다.

위의 수치를 보면 사단은 3배로 늘었지만 보병연대는 2.45배 밖에 안늘었는데 이는 1940년 이후 기존의 사단내 4개 연대 체제가 3개 연대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또한 신편 사단은 거의 3단위 사단이 된다. 또한 차량화가 많이 진행되어 기존의 4단위 사단의 말은 5천필에 차량 40대 정도 였지만, 신편 3단위 사단의 경우 말 2천500필에 차량 500대가 된다. 다만 4단위 사단과 3단위 사단은 섞여서 존재 하였다.

1941년 12월 기준으로 4단위 사단인 제18 사단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

  • 사단 총원 21,710명, 말 5,550필, 자동차 50대
    • 사단 사령부(330명, 165필, 4대)
    • 보병여단(7,103명, 874필)
      • 보병여단 사령부(65명, 16필)
      • 보병연대(3,525명,429필) 2개-연대본부, 기관총중대, 보병대대 3개-보병중대 4개, 기관총중대)
    • 산포병연대(2,407명,1,402필,34대)-연대본부, 연대단열, 산포대대 3개-산포병중대3개, 대대단열
    • 기병대대(451명, 431필)-기병중대 2개, 기관총중대
    • 공병연대(672명, 99필)-공병중대 2개
    • 치중병연대(1,898명, 1,451필, 2대) - 만마(輓馬)중대 4개, 마창(馬廠)
    • 사단통신대(245명, 45필)
    • 사단병기근무대(121명, 11대)
    • 사단위생대(1,095명, 128필)
    • 사단야전병원(236명, 75필) 3개
    • 사단병마창(病馬廠, 48명, 5마리)

위는 한가지 예 일뿐으로 기병대대 대신 기병연대가 소속되어 있다면 사단 총병력이 25,000명 까지 가는 편제도 있다. 단열은 보급대를 뜻하며, ‘만마’는 수레를 끄는 말, ‘병마창’ 병든 말을 치료하는 곳이다. 사단내에 있는 차량은 대부분 산포병 연대에 배속되어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위와 동년동월의 3단위 사단인 제 16사단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

  • 사단 총원 14,640명, 말 2,470필, 차량 490대
    • 사단 사령부(304명, 40대)
    • 보병단(8732명, 1227필, 41대)-보병연대(2881명, 409필, 11대) 3개
      • 보병단 사령부(89명, 8대) - └연대본부(107명, 17필, 11대)
      • 보병대대(810명, 98필) 3개, 보병포중대(132명, 62필, 4문), 속사포중대(72명, 13필, 4문), 통신중대(133명, 23필)
        • 대대본부(103명, 59필), 보병중대(180명) 3개, 기관총중대(122명, 29필, 중기8정), 보병포소대(25명,10필,대대포2문)
    • 수색연대(439명, 35대, 경장갑차16대)-연대본부, 승차중대2개, 경장갑차중대 2개, 통신소대 1개
    • 야포병연대(1,766명, 896필, 80대)-연대본부, 대대(75밀리 야포 12문) 2개, 대대(100밀리 유탄포 12문) 1개
      • 대대본부, 산포병중대 3개, 대대단열
    • 공병연대(875명, 32필, 32대) - 연대본부, 공병중대 3개, 기재(器材)소대 1개
    • 치중병연대(749명, 296필, 89대) - 연대본부, 만마중대, 자동차중대 2개
    • 사단통신대(246명, 45필) - 유선소대, 무선소대 2개
    • 사단병기근무대(123명, 13대)
    • 사단위생대(491명, 36대) - 본부, 담하(擔荷)중대 3개, 차량소대 1개
    • 사단야전병원(242명, 22대) 3개
    • 사단병마창(52명, 10필, 4대)
    • 사단방역급수부(196명, 24대)

사단위생대의 담하중대는 들것중대로 번역 할 수 있다.[22] 포병의 경우 보병과 함께 전진을 중요시 하여 사단 포병의 주력은 경량급의 75밀리 야포였고, 연대포는 분해해서 운송이 가능한 산포였다. 대대포의 경우 기관총좌 제압 역할을 맏는 등 전반적으로 경량포였다. 야전중포병으로 가야 150밀리 유탄포야 100밀리 캐논포, 고정 진지에서 발사하는 공성 중포, 대항공기용 고사포가 있었다. 그러나 역시 사거리 보다는 기동성을 중시 하였다.


2.4.6. 태평양 전쟁[편집]


1941년말 진주만 공습으로 인해 미국, 영국 등과의 태평양 전쟁이 시작되자 남방작전을 위해 또다시 엄청난 병력이 필요 하였다. 기존의 51개 사단 184개 연대 210만명에 더하고 1942년에는 7개 사단 보병 4개 연대, 43년에는 12개 사단 보병 3개 연대를 증설했다. 보병 연대가 늘지 않는 이유는 이시기에 기존의 4단위 사단(상설/갑종 사단, 특설/을종사단)을 3단위 사단(병종 사단)으로 개편하고 남는 1개 연대를 모아서 신편 사단을 편성했기 때문이다. 또한 어떤 사단은 아예 연대가 없고 독립보병대대 8개만 모아서 사단(정종 사단)을 만들기도 하였다.

여기에 본토방위태세가 조금 정비되어, 1941년부터 일본 각지에 중포병연대 20개가 설치되고, 방공연대와 고사포연대가 26개 편성되었다.

1942년 6월에는 드디어 전차사단 3개와 전차 6개 연대가 편성 되었다. 다만 야전 화력의 핵심인 야전중포병연대의 경우 41년에는 2개, 42년에는 겨우 1개, 43년에는 아예 편성조차 안되어 여전히 화력을 경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뉴기니와 솔로몬 제도 등에서 연합군의 압도적인 화력에 대패하면서 여전히 백병주의에 대한 믿음을 포기하지 않았다.

결국 일본은 화력과 기동력보다 보병의 수를 중요시 하는 중일전쟁 적인 마인드로 천조국과 싸우는 패기를 보였던 것이다.

사실 일본은 그동안 연합군과의 일련의 패배는 고립된 섬과 정글에서 패퇴가 보급의 두절과 보병부대의 기동 제한 등 예상치 못한 전장에서의 전투 때문이라고 해석해 왔다. 즉 보병부대와 이를 지원하는 각 부대가 종횡으로 움직일 수 있는 광대한 전장에서 대소작전을 응용해서 싸운다면 육군의 정예가 질 리는 없다고 생각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1944년 6월 마리아나 제도 전투에서 상당히 넓은 사이판 섬에서의 패배는 도저히 설명할 수가 없었다. 이에 육군 내부에서 항공전력과 포병화력 증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 졌다.

결국 44년에는 육군 29개 사단, 51개 연대를 편성함과 동시에 포병연대 15개, 중포병연대 13개, 전차연대 10개라는 전에 없던 규모의 편성을 하였다.(도합 99개사단 191개 보병연대 420만명) 이를 위해 징병 연한이 20세에서 19세로 낮춰 졌고, 전에는 잘 징집 안하던 20세도 실시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45년에는 본토 결전을 위해 무려 70개 사단 190개 연대가 추가되었고, 최전선에서 싸워야할 정예 상설 사단들은 본토 결전을 대비한답시고 본국으로 이동하고 그 자리를 신편 사단들이 매우게 된다.


2.5. 연대 편제[편집]


일본군은 연대가 기본이다. 1874년 1월 근위보병연대가 최초의 연대이며, 보병연대와 기병연대는 덴노가 하사한 군기를 수여 받는다. 다만 기갑부대로 개편되면 군기를 반납한다(...). 일본의 전역은 21개의 병사구로 나뉘어 병사구마다 병력을 모집하여 1개 사단을 편성하며, 각 연대는 '연대구'라는 지역단위에서 모인 같은 동네 사람들이다. 그러나 근위사단의 각 연대만은 위수구역은 도쿄이지만 사병('하사졸' 이라고 함)들은 전국 단위로 징병하였다. 기병연대와 일부 병과는 연대아래 대대 없이 바로 중대로 내려간다.

보병연대는 524연대까지 있으며[23], 독립보병연대는 13연대까지, 근위보병연대는 10연대, 대만보병연대는 2연대, 지나주둔보병연대는 3연대까지 있다. 기병연대는 약간 듬성등성 있는데 보통 1사단은 제1기병연대를 보유하며, 근위사단은 제1근위기병연대를 보유한다. 상설사단들은 기병연대가 다 있으나 중일전쟁 이후 마구 찍어낸 특설사단은 대부분 기병연대가 없어서 제79사단의 79 기병연대가 유일하게 1945년에 창설 되었다. 다만 100단위 사단 중에서는 유일하게 106사단이 106 기병연대를 보유하였고, 71사단은 특이하게 171기병연대를 갖고 있었다.

연대의 종류에는 군기가 수여되는 보병 연대, 기병연대, 수색연대(수색연대 포함), 포병연대(아포병연대, 산포병연대, 중포병연대, 야전중포병연대, 기마포병연대, 박격포병연대, 기동포병연대, 고사포연대, 대공연대, 포병정보연대, 기구연대), 공병연대(철도연대 포함), 치중병연대(자동차연대 포함), 전차연대, 항공부대(항공병계열연대, 비행연대, 교육비행연대, 항공정보연대, 관측연대, 기상연대), 공수부대(낙하산연대, 활강보병연대), 선박부대(선박포병연대, 선박기관포연대, 선박공병연대, 선박통신연대), 전신연대가 있다.

그외 혼성연대/독립혼성연대라 하여 보병 포병을 더한 전투단화 한 연대가 있고, 패망직전엔 유격전 전문의 기동전연대가 만들어 졌다. 역시 대전말기에는 현지 소집 군인들로 임시연대를 만드는데 이를 특설연대라고 하였다. 각종 훈련부대에는 교도 연대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었다.


2.5.1. 보병 연대 편제[편집]


1874년~1875년에 14개 보병연대가 군기수여 되었으며, 1984년~1986년에는 15연대~24연대에 군기가 수여 되었다. 1988년에는 기존의 6개 진대(鎮台) 6개 사단으로 개편되며 24개 연대는 각 사단별로 4개 연대씩 소속되게 된다. 또한 연대별로 위수지역(衛戍地)이 생겨 연대들은 해당 '연대구'에서 징병하였다.

1연대와 3연대는 도쿄를 위수지역으로 하며 제 1사단 소속이다. 제8연대가 밀리터리에 관심 있으면 한번쯤 들어본 전설의 오사카 연대이다. 물론 오사카를 위수지역으로 하고, 4사단의 핵심 부대로 창설 직후 부터 '또 다시 패배한 8연대'라며 조롱 받았다. 수많은 전투에서 불사조 처럼 살아남아 도망 다녔으며 희한할 정도로 전사자 숫자가 적었다. 패전시에도 매우 드믄 사례로 옥쇄 대신 항복하며 태국 람팡에서 전설을 마감 하였다. 인생은 오사카 연대 처럼 후대사람들은 오사카는 장사꾼 기질이 있어 계산에 밝아 전쟁시에도 충용무쌍 보다는 생명보존을 더 중시했기 때문으로 해석 한다. 또한 전국시대가 끝나며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오사카 성을 지어 놓고 오사카를 중시하였는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집권하고 오사카 전투로 권력이 완전히 에도로 넘어가고 오사카가 변방이 되자 오사카 사람들은 정부에 대한 반골 기질이 생겼다고 한다. 4사단항목에서 나오듯이 4사단을 오사카 사단이라고 하지만 그중에서 핵심은 한번도 사단이나 위수구를 바꾸지 않고 종전시 까지 오사카를 위수지로 유지한 8연대이다.

8연대가 오사카 4사단의 핵심이라면, 1사단에서는 1연대, 2사단에서는 4연대, 3사단에서는 6연대 등이 한번도 사단과 위수지를 바꾸지 않고 해당 부대의 핵심으로 존재 했었다.

근위보병연대라는 것도 있었는데 다른 부대와 달리 전국 단위로 1874년에 제 1, 2 연대를 모집하여 도쿄 방위를 담당하였다. 다이쇼 덴노와 쇼와 덴노도 황테자 시절 근위1연대 소속이었다. 이어 3연대(1885년), 제4연대(1887년)에게 군기가 수여 되어 1891년에 근위사단이 창설 된다. 이후 근위 5연대~10연대 까지는 1939년부터 순차적으로 생겨 근위2사단, 3사단을 만들게 된다. 근위사단이라고 해서 도쿄 황궁 경비만 선게 아니라 중간에 청일전쟁, 러일전쟁, 중일전쟁 등에도 참전하였다.

1907년에 군기수여된 대만보병 1연대와 2연대는 특이한 케이스인데 사단 소속이 아니라 대만 수비대 소속이었다. 태평양전쟁 때야 처음으로 48사단 소속이 되어 필리핀 공략전에 참전한다.

지나주둔보병연대는 역사가 있는데 의화단의 난(1898년)때 북경의 공관 보호를 위해 열강은 군대를 주둔시킬 권리를 얻었다. 이에 일본은 북평 주둔 보병 부대와 천진 주둔 보병부대를 두었는데, 이를 1936년에 개편하여 북평 주둔 보병부대는 1연대, 천진주둔 보병부대는 2연대가 되었다. 1938년에는 지나주둔 3연대가 창설되었으며 같은해 27사단에 소속된다.

독립보병 연대는 관동군 독립혼성 제11여단에 속해있는 것이 시초이며 이후 에도 계속 생겨 독립보병 13연대까지 생겼다. 그외 '기동 보병 연대'라는 이름으로 전차사단 소속 기계화 보병 부대가 3개 여단이 있으며, 보병대대 규모 밖에 안되지만 활강보병연대라는 이름의 글라이더 부대가 2개 연대 있었다.

1890년 11월 1일 육군정원령에 따르면 연대 평시 정원은 다음과 같다(메이지 23년 11월 1일 칙령 제 267호).

메이지 23 년 (1890년) 11월 1일 제정시 "육군 정원 령」(메이지 23년 11월 1일 칙령 제 267호)에 따르면, 당시의 보병 연대의 평화 정원은 다음과 같았다 . 1개 연대는 3개 대대 12중대 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이 장에서 단순히 "상사"라고 한 것은 1등 중사 (판임관 3등) 또는 2등 중사 (판임관 4등)의 의미이다. 또한 제공장은 1등 중사 상당관이며 제공 아래 길이는 2등 중사 상당 관이다.

연대 본부는 연대장 이하 41명과 승마용 말 5마리로 구성된다. 연대장(대좌 또는 중좌), 연대부(連隊附, 소좌), 부관(대위), 연대기수(소위), 무기계(군조), 나팔장(군조), 서기 2명(군조), 2등군의정(소좌상당, 예하 3대 대대중 1개의 군의를 겸함), 봉공장(縫工長, 피복계), 또는 봉공하장(縫工下長) 1명, 봉공 20명, 화공장(靴工長, 구두) 또는 화공하장(靴工下長) 1명, 하공 10명이다.

연대에는 3개 보병대대와 12개 보병중대가 있으니 연대 전체 인원은 장교 70명, 준사관 이하 하사 145명, 군졸 1,440명, 각부 66명 등 총원 1,1721명에 군마가 14마리였다. 이중에서 연대용 군마 5마리는 연대장용 2마리에, 연대부, 부관, 군의관용이 각 1마리이다.

박정희/일생의 만주군시절 경력을 보면 소위이면서 연대 기수라고 하여 혹시 오타가 아닌가 싶었지만, 소위가 군기의 기수로 있는 것은 무려 1890년 부터 내려오는 일본군의 정식 편제였다. 이때는 소위가 군기의 기수였는데 대전기로 가면 오히려 중위급으로 격상되어 중위 기수인 경우도 있다. 연대부(連隊附)는 부연대장과는 한자가 다른데 연대의 부사령관이 아니라 연대본부중대장이라는 의미가 있다. 전쟁시기 일본군의 편제를 보면 연대부와 부관이 동격인 대위일 때가 종종 보인다. 또한 이시절의 군의는 정식 군의가 아니라 소좌 상당으로 되어 있지만, 이후 정식 군계급을 받게 되며 군마의 숫자가 늘어남에 따라 수의관이 추가된다.

연대 본부에서는 연대장(대좌 또는 중좌), 연대작전참모(소좌), 연대부관(대위), 병기장교(대위), 정보장교(중위), 병참장교(중위), 회계장교(대위, 소위), 군의장교(대위, 소위), 수의장교(대위, 소위), 기수(소위)가 있다. 또한 본부에는 수송부대, 관리반, 암호 및 정보반, 병기반, 경리반, 대공반, 연대 경비대가 있었다. 아래는 대전 말 편제이다.

  • 을종 보병연대
연대본부(176명) + 통신중대(132명) + 보병포중대(122명) + 대전차중대(116명) + 보병대대 3개(1,100명) = 3,846명
소총 2,130정, 경기관총 112정, 척탄통 108문, 중기관총 32정, 37/47mm 대전차포 6문, 70mm 대대포 6문, 75mm 연대포 4문
-통신중대 : 유선소대(4개반), 무선소대(4대반)
-대전차중대 : 대전차소대(2개반 - 37/47mm 대전차포 1문) 3개, 탄약소대
-연대포중대 : 연대포소대(2개반 - 75mm 연대포 1문) 2개, 탄약소대
-보병대대 : 4개 중대, 기관총중대, 대대포소대
└소총중대 : 3개 소대(3개 분대, 1개 척탄통분대)
└기관총중대 : 3개 기관총소대(4개분대 - 중기관총 1정), 탄약소대
└대대포소대 : 2개분대(70mm 대대포 1문), 탄약분대

  • 갑종 보병연대
연대본부(195명) + 보병포대대(364명) + 통신중대(150명) + 공병대(100명) + 보병대대(1,626명) 3개 = 5,687명
소총 2370정, 경기관총 115정, 척탄통 147문, 중기관총 36정, 20mm 대전차소총 24정, 37/47mm 대전차포 12문, 70mm대대포 20문, 75mm 연대포 8문
-보병대대 : 4개 중대, 기관총중대, 대대포중대, 대전차중대
└소총중대 : 3개 소대(3개 분대, 1개 척탄통분대), 중화기소대(중기관총분대2개, 대전차총분대2개), 탄약분대
└기관총중대
└대대포중대
└대전차중대

각 이상 각 보병 연대 편제에 의무대가 배속되며 필요에 따라 노무대가 편제된다.


2.6. 대대 편제[편집]


1890년 11월 1일 육군정원령에 따르면 대대 평시 정원은 다음과 같다(메이지 23 년 11 월 1 일 칙령 제 267 호).

대대 본부는 16 명, 말 3마리로 구성되며, 대대장(소좌), 부관(중위), 하부관(군조), 무기계(군조), 나팔장(군조), 서기 2명(군조), 요리계 2명(군조), 각부7명(군의, 총기장, 간호장 약간명, 서기 약간명)이다. 군조는 1등군조와 2등군조로 나뉜다. 총기장은 군조에 상당한다.

일본군의 특징인데 부사단장, 부연대장, 부대대장, 부중대장, 부군수, 부서장, 부형무소장 등 하여튼 '부'자 붙은 것은 없다. 부관이 대대장을 보좌하여 대대본부 일을 하며 하부관은 현대의 대대 주임원사에 해당한다. 한국군/미군의 경우 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병력이 소총중대 1개에 달하여 행정/군수 기능을 하는데 일본군은 별도의 본부중대가 아예 없고 평시에는 예하 소총중대 내에서 상당히 많은 병력이 행정, 군수, 급양등의 근무에 임한다.

군마는 대대장용 2마리에 대대장 부관용 1마리이다.

예하에 4개 중대가 있는데, 각 136명(장교 5명, 하사 10명, 군졸 120명, 각부-간호수 1명)이 있다. 따라서 대대 전체로 보면 장교 22명, 하사 47명, 군졸 47명, 각부 11명으로 총원 560명이다.

이러한 편제는 러일전쟁,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전쟁을 겪으며 지속적으로 변화 하는데 행정/군수 지원을 위해 대대본부가 120명으로 확 늘어나고, 각 중대 병력은 194명에 달하게 된다. 대전말기 일본군 대대 편제는 다음과 같다.

  • 을종 보병대대
본부(147명) + 소총중대(181명) 4개 + 중기관총 중대(174명) + 보병포 소대(55명) = 1100명.
소총 677정, 척탄통 36문, 경기관총 37정, 중기관총 12정(8정), 70mm대대포 2문

  • 갑종 보병대대
본부(283명) + 소총중대(262) + 기관총중대(73명) + 대대포중대(122명) 대전차중대(100명) = 1626명
소총 730정, 척탄통 49문, 경기관총 37정, 중기관총 4정, 70mm대대포 4문, 20mm대전차소총 8정, 37mm대전차포 4문

비슷하면서 약간 다른 자료인데 갑종기준으로는 4개 보병중대에 기관총 중대가 편성되며, 56명 규모의 대대 보병포 소대를 두기도 하고, 보병포 소대 대신 연대 보병 포 중대를 두는 경우도 있었다. 을종편제에서는 보병 중대가 하나 적어 대대에 3개 보병중대, 1개 기관총중대, 1개 보병포 소대로 구성된다고도 한다.

단대호의 경우 00연대 1대대 1중대, 2중대, 3중대, 4중대, 1기관총중대, 1보병포 소대
2대대 5중대, 6중대, 7중대, 8중대, 2기관총중대, 2보병포 소대
3대대 9중대, 10중대, 11중대, 12중대, 3기관총중대, 3보병포 소대 식으로 부여 되었다.

대대장은 소좌가 기본이나 중좌가 하는 경우도 있었고, 반대로 중대에서는 대위가 원칙이나 중위가 일반적이었다. 반면에 기관총중대는 왠만하면 다 대위 중대장이고, 보병포 소대장은 물론 소위였다.

대대에는 기병마가 수십필 있어 장교들의 승마용이었고, 짐말은 그 이상이었다. 중일전쟁 이후 차량화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의 부대는 패망할 때 까지 말타고 다녔다. 한국전쟁시기에도 김석원 장군등 일본군 출신은 계속 말타고 다니기를 고집 하였다.

야포 대대의 경우 대대본부 아래 3개 중대가 있고, 대대단열(보급부대)이 추가로 있는 경우도 있다.

일본군은 육사를 졸업하면 소좌까지는 연공서열에 의하여 승진하며 그 이상은 발탁승진에 의하는데 육군대학을 안나오면 승진이 거의 어려웠다. 그래도 대부분의 장교들은 소좌에서 정년을 맞아 예편하는데 12년 이상 근무한지라 거액의 은사금을 받아 생계에는 문제 없었다. 또한 예편후 동척(동양척식주식회사))이나 만철남만주철도주식회사, 도는 고교/대학의 교련교사 자리가 보장 되었다.


2.7. 중대 편제[편집]


일본군 편제에서 가장 특이한 점은 평시에는 내무반별로 생활하고, 전시에만 분대와 소대가 설치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평시에는 소대장, 분대장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장교와 하사관들은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병졸들이 없고 각자 주어진 근무를 한다.

입대 1년차를 초년병이라고 하는데 일본군은 신병훈련소+후반기 교육을 모두 자대에서 받는다. 예를들어 소속이 관동군이면 입대하자 마자 만주까지 이동하여 자대에서 교육을 받게 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6개월간 초병 교육을 받는다. 그리고 3~4개월째 1기 검열을 받는데 여기서 합격하면 일등병으로 승진하며 간부후보생이 될 기회를 받는다. 불합격 하면 재교육이며 승진도 늦어 지는데 아무리 못해서 2년차가 될때는 일등병이 될 수 있다.

이때 장교들은 교관, 하사관은 조교, 일부 고참병(최소 상등병 이상)들은 조수가 되어 훈련을 시키는데, 장교들은 본인의 검도·승마 실력을 갈고 닦거나 육군대학 입시 준비에만 몰두 하기 때문에 초병 훈련을 하사관 이하가 전담한다. 초년병들은 '소총반', '척탄통반', '경기관총반'으로 나뉘어 훈련 받는데 하사관들이 각 반의 반장이 된다.

병사들이 기거하는 병사는 몇개의 내무반으로 나눠져 있다. 반쯤은 고참병(고헤이)이며 각자 신병 한명씩이 배당된다. 신병은 고참병의 잡일을 모두 맡아서 완벽하게 해주어야 한다. 매일 침대를 정리하고 총검과 군화를 닦고 내무반으로 식사를 날라 온다. 식사후에 설거지와 청소를 해주는 것은 물론이며 훈도시까지 빨아 준다. 초병 교육은 언제 받는데?

이렇게 짝이 된 사람을 원수 전우(센유)라고 했는데, 실제로는 주종관계였다. 신병이 고참병의 수발을 들어주는 대신, 고참병은 자기들의 신병을 여러가지로 도와주거나 다른 고참병에게 지켜줘야 하는데 실제로는 그런거 없다. 폭력은 주로 밤10시의 점호시간에 이뤄 지는데 고참병들을 신병을 마구 때렸다. 기합은 '기아이'라고 하는데 군인칙유나 교범을 을 못 외울때 기아이를 받게 된다. 그런데 교범을 꽤나 길고 어려워 처음부터 기합을 위한 구실이 되었다. 똑똑한 조선인 학병의 경우는 교범 이해가 안되 그냥 외웠다고 하고, 징병자의 경우 아예 일본어를 몰라 교범 암송만은 예외가 인정되었다. 기합을 받을 때는 쓰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 "가마에(준비)!"라고 호령하면 신병은 다리를 벌리고, 두 손을 허리 뒤에 맞을 준비를 하고 똑바로 서야 했다. 장교는 물론 간부후보생만 되도 폭력은 없었으며, 하사관도 병졸들 앞에서 맞는 일은 없었다. 심지어 고참병도 잘 맞지 않았으니 불쌍한 것은 신병들이었다.

신병 훈련이 끝나면 위병근무 등 각자 근무를 서게 된다. 일병 중 우수한 자는 총원에 10%에 한해 상등병에 임명하며, 하사관이 부족하여 이중에서 극히 우수한 자를 '오장 대우 상등병'이 되어 주로 내무반장을 담당한다. 1941년에는 '오장 대우 상등병'이 '병장'이라는 새로운 계급이 되었다. 2년 근무후 전역하지 않고 계속 복무하는 자는 하사관이 될 기회가 있는데 행정 업무를 담당하거나 조교가 되어 초년병들 훈련을 담당하였다.

검열은 군생활 중 총 6번을 받는데 1~4회는 연대장 검열, 5~6회는 여단장 검열이다. 고학력에 1기 검열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자는 시험을 봐서 간부후보생이 된다. 대충 고졸 이상은 갑종 간부후보생, 그 이하는 을종 간부후보생이 된다. 다만 대학 다니다 온 사람도 시험을 잘 못보면 을종으로 간다. 조선지원병의 경우 학력이 소학교 졸업이라 을종 후보생 밖에 될 수 없었고, 고학력인 조선인 학병은 간부후보생 시험에 합격한 일부만 갑종 또는 을종이 되었다. 반면 일본인 학병의 경우 모두 합격이 되어 반은 갑종 반은 을종이 된 것에 비하면 차별이었다.

간부후보생이 되면 즉시 오장이 되어 칼라장에 둥그런 금속인 사가네(座金)를 달았다. 그래도 고참병들은 사가네는 정상적인 계급이라고 인정안하고 심지어 몇 주는 같은 내무반 생활을 해야 됐기 때문에 계급은 오장이라도 자신의 원래 전우인 고참병들의 수발을 들었다.

이후에야 중대에 별도의 간부후보생 내무반이 만들어져 3개월쯤 자체교육을 받았고[24] 이후 을종은 하사관학교·교도학교·하사관교육대 등에 가서 3개월쯤 교육 받고 자대로 돌아와 하사관이 되어 군림하게 된다. 반면 갑종은 병종별로 예비사관학교에 가서 1년간 교육을 받으며 교육 기간 중 군조로 승진한다. 그리고 교육 수려후에는 조장이 되어 자대[25]로 돌아와 4개월쯤 견습 사관 생활을 하다가 2년간의 군생활을 마치고 예비역 소위로 임관하며 제대하게 된다.

또한 중대별로 '준위'가 존재하여 선임하사관 같은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일본군의 하사관은 장기근무가 없으며, 30세 후반에 준위로 승진하여 40에 예편한다. 전시에는 30 전에도 준위를 다는 경우가 속출 하였다.

1890년 11월 1일 육군정원령에 따르면 중대 평시 정원은 다음과 같다.
보병 : 136명, 기병 : 159명, 야전포병·근위포병 : 111명, 요새포병 : 134명, 공병·근위 포병 : 126명, 치중병 : 290명 (운전병을 제외하면 110명), 근위치중병 : 220명 (운전병을 제외하면 100명), 둔전보병 : 221명

동 규정에 의하면 보병 중대 평시 정원은 장교 5명(대위1, 중위2, 소위2), 하사관 10명(조장1, 일등군조5, 이등군조4), 병 120명(상등병16, 일등졸 36, 이등졸68), 간호수 1명, 총 136명이다.

간호수(看護手)는 간호졸이라고도 하는데 이후 위생병(衛生兵)으로 명칭변경된다.

중대장은 물론 대위이며, 그 외 장교들은 중대부속장교라고 하여 병사 훈련을 시키거나 당직근무를 서며, 이 시기에 육군대학 입학을 준비한다. 장교가 부족할 경우 견습사관으로 소위대행을 시켰다. 견습사관은 육군사관학교 또는 육군예비사관학교에서 실습의 일환으로 부대에 파견되어 오며 계급은 군조 중 선임으로 대우 하지만 준위 보다 위에 있는 것으로 친다.

위관들은 무조건 연공서열로 진급하기 때문에 중대장은 30세를 넘었으나, 전시에는 극심한 장교 부족으로 중위 중대장이 보통이였다.

하사관은 이후 조장 위에 '준위'가 생겼으며, 이등군조는 오장이 된다. 초기에는 조장이 내무계(内務掛, 내무괘) 또는 인사계(人事掛)라고 불렸으나 준위가 생긴 이후, 준위가 내무계를 담당하고 조장은 서무계 또는 회계계, 후방계라고 불려졌다. 이 항목의 글은 고미가와 준페이의 소설인 인간의 조건을 많이 참고하여 작성 하였는데, 해당책의 4권 첫째줄은 '내무계 히노 준위가 말했다.'로 시작하는 등 중대의 준위를 내무계, 군조를 서무계로 부른다. 책을 보면 장교들이 직접적으로 병졸들을 터치하는 일이 거의 없고, 훈련 및 내무생활 관리, 행정은 전적으로 하사관들이 다 하며, 하사관 위에서 통제하는 것이 내무계이다. 장교들은 T/O에 비하면 많이 부족하며 주로 당직 근무만 선다.

일등군조는 무기계, 피복계, 진영도구(陣営具)계를 각각 담당하였다. 이등군조는 이후 오장(伍長)으로 명칭이 바뀌는데 주로 내무반장(内務班長)을 담당하였다. 내무반은 병사들이 숙식하고 훈련 받는 최소 단위였는데 중대에서 보통 1~5개의 내무반이 있었다. 좌관급 주번사령의 지휘하에 각 중대는 군조 또는 오장급 주번하사관에 의해 통제 된다. 계속하여 각 부대를 전근하는 장교에 비해 하사관들은 이동이 없었다.

중대장은 중대장실이 따로 존재하며, 장교들은 중대장교실, 준위와 하사관은 중대 사무실에서 근무하나 준위는 인사를 담당함으로 면접등을 위해 별실을 따로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외 병기계는 중대 무기고, 피복계는 중대 피복창고에서 근무한다. 급여, 피복, 무기, 진영도구, 금전, 물품, 회계, 식사등 중대 사무는 하사관들의 업무인데 각 계는 조수인 상병이 붙으며, 주판에 능한 일병을 사역병으로 근무시키기도 한다. 중대장실과 중대사무실에는 당번병이 붙는다. 이런식으로 장교 할일을 준위/하사관에게 시키고 하사관들은 병졸을 조수와 당번병으로 쓰기 때문에, 현대한국군에 비하면 희한할 정도로 행정 사무인력이 많다. 반면에 현대 한국군은 그냥 갓 들어온 이병이 중대행정병을 담당하기 때문에 누구를 안시키고 자기 혼자 해결하는 시스템이다. 2천년대 초만 해도 중대에 부사관이 2~3명 정도 밖에 없는게 보통이었다.

병졸들은 내무반별로 내무실에서 집단 거주하며, 하사관들도 영내거주한다. 내무반장급 이상 하사관들은 내무실과 이어진 별개의 하사관실에서 거주하며, 그 이하의 하사관들은 병사들과 잡거하는 경우도 있다. 준위 부터 영외거주가 가능하며, 특별한 경우 군조가 영외 거주 하기도 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 처럼 처음 입대하면 6개월간 1기 검열 동안 기초군사 훈련을 받는다. 훈련이 끝난 위병 근무등 근무도 서지만 사적으로는 전원이 당번병이 된다. 장교 개인에게 당번병이 붙지만, 장교들의 개인집에서 파견되어 당번병이 되어 장교 와이프의 속옷 빨래를 하고 불을 때는 등 하인으로서의 일을 한다. 준위는 물론 하사관 하나 하나에게도 당번병이 붙고, 심지어 같은 병졸이 고참병들 하나하나에게도 당번병이 붙어 총기를 닦아주고 식사를 타오는 등 하인처럼 산다. 중대에 파견온 간호수에게도 당번병이 붙는다. 그러다 2년병이 되면 반대로 초년병들의 시중을 받으며 왕처럼 산다. 평시에는 일등병, 상등병, 오장 대우 상등병이 다 같은 2년병이기 때문에 2년병만 되면 중대의 왕이다. 다만 2년 근무 후 전역이 안되는 전시의 경우 계급이 좀 꼬여 3년병인데 승진 누락되어 일등병이기도 하고 무려 5년병인데 승진 도 안되고 전역도 안되어 아직도 병장이기도 하다. 반대로 전시인지라 승진이 빠른 병사도 있고.

위관급 장교도 월급이 적어 가난에 시달리지만, 하사관 이하는 월급 문제가 더욱 심한데 영외거주가 안되기 때문에 가족을 꾸릴 수가 없어 직업으로 군인을 하기 어려웠다. 12년 복무 후에는 은사금이라고 하여 꽤 목돈을 주는데 이걸 보고 복무 하는 사람도 있지만, 보통은 기본 2년 복무만 끝내고 전역하여 현역 부사관이 부족하였다. 하지만 일본 제국은 수시로 전쟁을 반복하였기 때문에, 전역후 응소되는 경우가 많아 재복무 기간동안 승진 한 후 전역 했다가, 다시 응소되어 승진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전시에는 예비역 장교와 하사관들이 대량으로 들어와 보병 중대 인원이 확충 되는데 갑종과 을종 편제가 있다.

  • 소총중대 을종편제
총 181명. 중대본부는 19명이며 각각 54명으로 구성된 소총소대 3개가 있다. 각 소대는 13명으로 구성된 기관총 분대 3개와 척탄통분대 1개씩을 보유 한다.
-중대본부(19명) : 중대장, 준위, 조장, 위생병 4명 등.
-소대본부(2명) : 소대장, 선임하사관(군조)
└기관총분대(13명) : 분대장, 부분대장, 기관총요원 4명(사수, 부사수, 탄약수 2명), 소총수 7명, 96식 경기관총 1정.
└척탄통분대(13명) : 분대장, 척탄통사수 6명, 소총수 6명, 89식 척탄통 3문.
매우 드물게 분대장이 기관단총을 드는 경우도 있었다. 군도는 하사관에게만 지급 되었지만, 병졸들도 개인적으로 구해서 차기도 하였다. 척탄통은 하도 작아서 미군이 '무릎박격포(Knee Mortar)'라고 부르는 특이한 물건인데 총류탄과 박격포의 중간 정도 된다. 보통 3인 1조로 운영되었고(사수, 제1탄약수, 제2탄약수), 수량 부족으로 분대당 2정 만 지급되기도 하였다.
중대는 139정의 소총과 경기관총 9정, 척탄통 9문으로 무장 한다. 갑종편제는 주로 중국전선에 있었고, 태평양 전선에서는 을종편제가 보통이었다.

  • 소총중대 갑종편제
총 262명. 중대본부 19명이며 각각 62명으로 구성된 소총 소대가 3개 있다. 여기에 중화기 소대 46명, 11명의 탄약분대 추가 된다. 소대 편제에서는 을종에 비해 경기관총 3정은 동일하나 척탄통이 하나 늘어 4문이 된다. 을종편제 분대장 13명에서 갑종편제는 분대당 15명으로 증가한다. 중화기소대는 중기관총분대 2개과 20밀리 대전차총 분대 2개로 구성 된다.
-중화기소대본부(2명) : 소대장, 선임하사관
└중기관총분대(11명) : 분대장, 사수, 부사수, 탄약수 4명(총 9660발), 부품휴대병 2명[26], 예비 병력 2명(...), 92식 중기관총 1정.
└대전차총분대(11명) : 97식 자동포 1정(20mm).
-탄약분대(11명) : 분대장, 병 10명, 말 8필.
이러한 어마무시한 규모의 갑종 편제는 주로 중국전선에 배치 되었다. 특히 중기관총분대의 병력이 무려 11명이나 되는 등 무척 방만한데, 참고로 독일군의 MG34의 경우 사수, 부사수, 탄약수 2명으로 구성 되어 소총분대 1개당 1정씩 보유한다. 심지어 MG34는 이걸 경기관총은 물론 중기관충으로 사용하는 요술 방망이였다. 미군의 경우 M1919 브라우닝 경기관총은 분대장 포함 5명이며, M1917 수랭식 중기관총은 분대장, 사수, 부사수, 탄약수 3명에 지프차 운전병 1명하여 총 7명이다. 독일군이든 미군이든 당나라군이든 예비총열은 당연히 1개만 같고 다닌다.
중대 총 장비는 경기관총 9정, 척탄통 12문, 중기관총 2정, 대전차총 2정이다.

  • 기관총 중대
기관총 중대의 경우 92식 중기관총 12대를 운용하는데, 총원 223명이며 46명의 기관총 소대 3개가 있다. 기관총 소대는 전총(戦銃)분대 4개와 탄약 분대 1개로 구성 된다. 전총분대는 전시에 말 2마리가 추가 된다. 또한 전총분대에 말8필로 구성된 탄약분대가 합쳐져서 1개 기관총 소대가 되며 3개 기관총 소대가 1개 기관총 중대가 되어 보병대대에 배속 된다.

  • 보병포 중대
122명. 70밀리 보병포 소대 2개에 탄약 소대 1개로 구성된다.
-보병포소대(55명) : 보병포 분대 2개, 탄약분대 1개
└보병포분대(15명) : 70밀리 보병포 1문.
을종편제에는 대대에 보병포 소대 1개 2문, 갑종편제에는 대대에 보병포 중대 1개에 4문에 배치 된다.

  • 포병중대
포병중대는 야전포병중대, 기병포병중대, 산포병중대로 구분된다. 소대는 포차 1문과 탄약차를 갖는 분대 2개로 이루어져 있고 2개 소대가 전포대를 구성함으로 1개 포병중대는 4문의 포를 보유한다. 각 포병중대는 탄약소대가 있는데 부대에 따라 탄약 차량 2량 또는 4량으로 구성된다.

  • 기타 병과 중대
기병중대는 4개 기병소대로 구성되며, 기병기관총중대는 보병기관총 중대의 편성에 준한다. 공병부대는 보병에 준하지만 경기관총분대가 없다. 치중병부대는 차량치중병 부대와 기마치중병부대로 구분된다. 전차 소대 포전차는 3량, 총전차는 2량이 소대를 이룬다.


3. 일본 해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일본 제국 해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관련 문서[편집]


  • 육군항공대 편제
  • 헌병대 편제
  • 총군 및 군 목록
  • 해상기동여단
  • 철도 및 선박관리부대[27]
  • 제국 해군 편제
  • 조직 구성
  • 기갑부대[28]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3:55:16에 나무위키 일본군/편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편제 직후 항공총군에서 빠지고 대신 제5항공군이 편입됨[2] 잘 알려진 만주군은 관동군의 괴뢰국인 만주국 군대로, 관동군을 보조하는 2선급 전력이었다. 하지만 지금 여기 기입된 만주군은 러일전쟁 시기 만주에서 작전한 일본 야전군을 지칭하는 용어이다.[3] 조선군과 일본의 동부군/중부군/서부군이 이에 해당한다. 방위 및 경비에 관하여 관구내 군대를 지휘한다.[4] 제15방면군 예하 제55군사령관이 군관구 사령관을 겸임[5] 대충 대동강 이북은 관동군 예하 34군 관할[6] 예비역 또는 후비역에 편입된 군인의 총칭[7] 1945년 패망 당시에는 예하 제58사단 하나 뿐이었다.[8] 연락장교 정도의 뜻[9] 관리직책[10] 문서 담당 정도의 보직[11] 총기 수리병[12] 군복 수선병[13] 군화 수리병[14] 전령병을 뜻함[15] 이것만은 아무리 머리를 굴려도 의미 불명. 스나이퍼인가?[16] 현대 한국군 사단사령부의 인원보다 사단 병력이 두배 많은 일본군 사단사령부 인원이 한국군의 반의 반도 안된다. 참고로 한국군은 대대급 이하에서는 미군/유럽군에 비해 행정병력이 적은편이다. 대신 보병에서 차출해 쓰는 비인가 행정병이 많지[17] 포병연대는 두해전인 96년에 5개 연대 추가로 총 12개연대. 1개 사단분의 보병연대와 포병이 없는데 근위 사단으로 추정. 99년에 포병연대 7개 추가, 다음해에 보병연대 4개 추가 되어 완편됨[18] 21개 사단이면 42만명은 되어야 정상이겠지만, 평시는 전시에 비해 정원이 절반 가량이기 때문에 독립 부대를 합쳐도 총병력이 적다.[19] 폐지된 부대의 현역장교 2,000명은 남자 중학교 이상에 배치되어 학교교련을 실시 하였다.[20] 만주에 횡행하던 마적떼는 물론, 항일 무장세력 역시 비적으로 지칭했다. 단, 중화민국 정부의 정규군인 국부군을 비적으로 칭하진 않았다.[21] 총 24개 사단중, 관동군에 6개, 지나군에 16개가 배치되었으면 2개 사단이 남는다. 원래 조선에 19,20사단이 배치되어 있었지만 용산의 20사단을 관동군이 대본영의 허락도 없이 무단으로 만주사변에 동원하여 데려가버려 조선에는 19 사단만 남았고, 40년 이후에야 충원되어 다시 조선은 2개 사단 체제로 환원된다. 본토에는 근위사단 딱 1개만 남아 있었다.[22] 아직도 일부 부대에서 ‘당가’ 또는 ‘당까’라고 부르는 그것이다. 그게 일본말이었어? [23] 어느 나라처럼 4자를 빼지 않아 444연대도 있다. 10연대, 18연대는 당연히 있고[24] 자체 교육 후에야 갑종과 을종으로 구분된다는 책도 있음[25] 병사든 장교이든 처음 배치받은 연대에서 계속 생활한다. 육사를 갔다 오건 육대를 갔다 오건 파견 형식이라 다시 돌아오는 것이다. 다만 간부후보생은 자기 중대가 아닌 옆중대로 간다.[26] 예비 부품과 수리 도구, 예비 총열 등 20kg에 달하는 장비이다. 한쪽이 사망하여 장비를 분실할 때를 대비하여 2세트를 2명이서 든다[27] 육군에 선박관리부대가 있는 이유는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문서를 참조할 것.[28] 기갑부대가 존재하는 이유는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문서를 참조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