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시기(중화민국)
(♥ 0)
분류
1. 개요[편집]
일본 제국이 중일전쟁 기간 동안 중화민국에서의 점령지에 설치한 괴뢰 정부들의 통치 시기를 총칭한다. 중국에서는 일치시기(日治時期), 일점시기(日佔時期)라 부른다. 대표적으로 왕징웨이 정권을 예를 들 수 있다. 내몽골 지역에 존재했던 정부는 몽강국 참조. 만주 지역에 존재했던 정부는 만주국 참조. 상하이 시 다다오 정부는 잠시간 존재했던 정부라서 포함되지 않고, 지둥방공자치정부는 중일전쟁 이전부터 존재했던 정부라서 제외되었다. 주로 북지나, 중지나 방면군의 점령지가 괴뢰정권의 영토로 설정되었고, 남지나 방면군의 점령지는 점령지의 크기가 들쭉날쭉하였고 주 영토가 홍콩 등지였기에 중일전쟁이 시작하고 끝나갈 때까지도 어떤 중국의 괴뢰정부의 영향력도 미치지 않는 일본군의 직접 통치 형태로 자연스럽게 흘러갔다.
2. 소개[편집]
일본군부의 호전적인 인물들은 만주사변 이후로도 중국과의 전쟁을 주장하였고, 특히 관동군은 이에 앞장서는 대표적인 파벌중에 하나였다. 결국 루거우차오 사건을 시작으로 제2차 상하이 사변을 거치면서 중일전쟁이 시작되기에 이른다. 난징 대학살등 일본 제국에 의한 전쟁 범죄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왕징웨이 공작을 기점으로 이전에 성립한 괴뢰정권들과 왕징웨이 공작 이후의 일본군이 점령한 중국 영내의 괴뢰정부를
3. 왕징웨이 공작 이전[편집]
일본은 중일전쟁을 속행하면서 중국 점령지 내에서의 통치 기관의 설립을 기도하였다. 하지만 관동군을 주축으로 한 북중국 지역을 장악한 북지나 방면군과 일본 본국의 대본영을 중심으로 한 육군과 해군이 장악한 난징-상하이 전역을 중심으로 한 남중국 지역을 장악한 중지나 방면군은 서로 자신들이 통합정부의 주도권을 쥐려고 했기에 통합정부 구성에 어려움을 겪었고, 왕징웨이 공작 이전까지 일본에 협력하는 유력한 지도자가 없었으며, 군벌을 이끌었던 전국적인 인지도를 가진 북양군벌의 수뇌들 또한 합류를 거부하기에 이른다. 대표적으로 우페이푸가 그 중 한명이었다.
3.1. 중화민국 임시정부[편집]
북지나방면군이 왕커민을 포섭하여 화북 지역에 수립한 괴뢰정부.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내용 참조.
3.2. 중화민국 유신정부[편집]
중지나방면군이 량훙즈를 포섭하여 화중 지역에 수립한 괴뢰정부.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내용 참조.
4. 왕징웨이 공작 이후[편집]
4.1. 왕징웨이 정권[편집]
중국 국민당의 핵심 인사인 왕징웨이가 왕징웨이 공작에 따라 포섭된 이후, 1940년 일본 제국의 도움으로 난징 시를 수도로 하여 '중화민국 난징 국민정부'를 수립한다. 자세한 것은 왕징웨이 정권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