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으면서 바로 써먹는 어린이 시리즈/설정

(♥ 0)




1. 개요
2. 단무지 입[1]과 머리
3. 배경
3.1.1.1. 초등학교[2]
3.2. 수수께끼 나라
3.3. 랭기지 행성[3][4]
4. 등장 아이템
4.1. 일상편
5. 오류
5.1. 캐릭터 성격 및 특징
5.1.1. 본편
5.1.2. 스핀오프
5.1.3. 이야기가 내용이 서로 다른 오류
5.1.4. 볼과 관련된 오류[5][6]
5.1.5. 눈썹과 관련된 오류
5.2. 그 외


1. 개요[편집]


읽으면서 바로 써먹는 어린이 시리즈의 설정을 정리한 문서.

여기서는 다음과 같이 작품명을 서술한다.

2. 단무지 입[7]과 머리[편집]


2기(관용구) 이후로 머리와 단무지 입이 등장했다.

파일:오리부리가 있기 전..png파일:오리부리가 있고나서.png
머리와 단무지 입이 있기 전.머리와 단무지 입이 있고나서.
[8]

캐릭터들의 변신 전 • 변신 후 모습은 다음과 같다.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모두 단무지 입이 생겼고 찹이는 단팥 머리, 모네는 솥뚜껑 모자, 두야는 동글동글 귀, 래야는 포인트 김을 착용하게 되었는데 쎄세, 뽀기는 단무지 입을 제외하면 변한 게 없다.

단무지 입은 실제 단무지처럼 노란색이며 오리의 부리처럼 생겼고 아래 사진과 같이 붙였다 땠다가 가능하다. 모티브는 단무지+오리부리
파일:오리부리와 가발.png

여기 6인방 외에 단무지 입을 착용한 캐릭터는 달리, 초코, 래야 엄마, 쎄세 동생, 쎄세 아빠, 랭이 등이 있다.



3. 배경[편집]



3.1. 지구[편집]



3.1.1. 한국[편집]


찹이 패밀리가 사는 곳.

3.1.1.1. 초등학교[9][편집]

찹이와 친구들이 다니는 초등학교. 가끔 반 배정이 바뀐다.

3.1.2. 프랑스[편집]


세계사 퀴즈에서 찹이 패밀리가 여행 갔던 곳이다. 루브르 박물관이 있는 걸 보면 배경은 파리다.

3.2. 수수께끼 나라[편집]


수수께끼에서 첫 등장.

3.3. 랭기지 행성[10][11][편집]


맞춤법 행성에서 등장. 여기도 한국어가 주 언어이다.

4. 등장 아이템[편집]



4.1. 일상편[편집]


초기에 자주 등장했었다. 딱지치기 할 때 쓴다. 작중에서 보면 문방구 같은 데서 자주 구입한다. 최종적으로 6기(명심보감) 3화에 마지막으로 등장했다.

5. 오류[편집]


가끔씩 오류가 일어난다.[12]

5.1. 캐릭터 성격 및 특징[편집]



5.1.1. 본편[편집]


  • 1기(속담) 15화에서는 두야가 게임을 아주 못 한다고 하지만 2기(관용구) 56화에서는 잘 한다고 한다.[13]
  • 1기(속담) 52화에서는 찹이가 래야보다 키가 커졌다가 다시 래야보다 작아졌다.
  • 모네는 고소공포증이 있다는데 1기(속담) 16화에서는 아무렇지 않게 산 정상에 올라왔다.
  • 2기(관용구) 7화에서 찹이가 간식을 쏜다고 할 때 래야의 몸을 둘러싸고 있는 김이 없어졌다.[14][15]
  • 2기(관용구) 31화에서 찹이가 과학을 싫어했는데 6기(명심보감) 84화에서 실험이 과학적이지 않다고 한다.[16]
  • 2기(관용구) 76화에서 찹이가 높은 곳을 무서워했는데 8기(사자성어) 40화에서 열기구가 높은 곳에 있다고 착각했을 때 무섭지 않다고 했다.
  • 3기(고사성어) 12화에서 쎄세, 찹이가 내릴 역을 지나쳤는데도 찹이와 쎄세의 표정과 몸짓이 다르다.

5.1.2. 스핀오프[편집]


  • 읽으면서 바로 해보는 어린이 게임에서 초반에는 쎄세가 눈치 제로로 나오지만 후에는 눈치 빠름이라고 바뀐다.
  • 읽으면서 바로 해보는 어린이 게임에서 찹이의 볼이 없어진다.[17][18]

5.1.3. 이야기가 내용이 서로 다른 오류[편집]


  • 3기(고사성어) 97화에 래야가 모네에게 옛날에는 전등이 없어서 반딧불이를 모아서 공부했다고 공부 열심히 하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지만 후에는 우등생으로 나온다.
  • 초반에는 모네도 게임을 좋아했으나 7기(속담: 바이러스편)에서는 게임을 안 좋아 한다고 나온다.
  • 3기(고사성어) 40화에서는 뽀기가 그림을 잘 그린다고 나오지만 5기(영단어) 74화에서는 뽀기가 그림을 굉장히 못 그린다고 나온다.
  • 캐릭터들의 반 배정도 자주 바뀐다. 예를 들자면 뽀기가 찹이와 같은 반인 에피소드가 있는데 이후 에피소드에는 뽀기와 찹이가 다른 반인 에피소드가 있다.
  • 6기(명심보감) 11화에서 쎄세가 춤을 가장 못 춘다고 했는데, 8기(사자성어) 95화에서 찹이와 2인 1조 댄스로 댄스 대회 결승전까지 갔다. 또, 2기(관용구) 73화에서 쎄세의 춤을 본 친구들이 환호했다.
  • 6기(명심보감) 10화에서 찹이가 동요 부르기 대회 대상을 받았지만, 2기(관용구) 26화에서는 찹이가 노래를 부르자 쎄세가 음정,박자 다 틀렸다고 하고 찹이가 사실 자신은 음치라고 밝혔다.[해당대사1]연습한 거겠지
  • 3기(고사성어) 70화에서는 쎄세가 모네보다 영어를 잘 했는데 4기(맞춤법) 41화에서는 모네가 한 번도 영어 시험 100점을 놓친 적이 없다고 나오고 쎄세가 0점이라고 나온다.

5.1.4. 볼과 관련된 오류[19][20][편집]


  • 3기(고사성어)에서 쎄세의 볼이 매우 많이 없어진다.[21]
  • 3기(고사성어)에서 모네의 볼이 없어진다.[22]
  • 3기(고사성어) 51, 61화에서 래야의 볼 색이 찹이의 볼 색이랑 비슷해졌다.
  • 9기(신체관용구) 39화에서 쎄세의 볼 색깔이 뽀기의 볼 색[23][24]으로 바뀐다.
  • 12기(세계 여행)에서 찹이의 볼이 많이 없어진다.[25]
  • 12기(세계 여행) 15, 93화에서 쎄세의 볼이 없어진다.

5.1.5. 눈썹과 관련된 오류[편집]


  • 4기(맞춤법) 74화에 모네의 눈썹 한쪽이 없어졌다.

5.2. 그 외[편집]


1기(속담) 2화에서는 그네가 2칸으로 나오는데 맨 마지막 장면에는 그네가 1칸만 있다.
  • 1기(속담) 24화에서 쎄세가 기절했을 때 그네 하나가 없어졌다.
  • 2기(관용구) 17화에서 모네가 붕어빵을 먹었는데 계속 붕어빵 모양이 모네가 먹기 전의 모습과 같다.
  • 2기(관용구) 83화에서 래야가 들어간 화장실의 '사용전' 폰트(글씨체)가 바뀌었고 화장실이 4개에서 2개가 되었다.
  • 2기(관용구)85화에서 찹이가 쎄세를 래야라고 불렀다.[26]
  • 8기(사자성어) 19화에서 돌고래를 물고기라고 한다.[해당대사2][27]
  • 게임 14화에서는 찹이, 뽀기, 두야, 쎄세만 등장하는데 중후반에 모네가 등장한다.
  • 6기(명심보감) 48화에서 쎄세, 래야, 뽀기가 스노노에게 갔는데 갑자기 쎄세 대신 모네가 나온다.
  • 6기(명심보감) 54화에서 두야가 옆에 누워있는데, 스노노가 만두를 먹는다.[28]
  • 3기(관용구) 47화에서 쎄세, 래야, 찹이가 눈을 각각 하나씩 던졌는데 갑자기 4개가 되었다.[29]
  • 퀴즈 3기(한국사 퀴즈) 1권 극초반에서 날씨요정이 상자를 보여줄때 날씨요정의 오른쪽팔과 상반신이 사라져있다. 그리하여 마법지팡이만 있는 모습을 볼수있다. 공중부양?
  • 퀴즈 3기(한국사 퀴즈) 2권 '조선 시대'에서 뽀기와 두야는 세종대왕이 만든 문자의 당시 이름을 훈민정음이 아니라 한글이라고 한다. 또 래야와 모네는 훈민정음을 한글을 당시의 이름이 아니라 책 이름이라고 한다.[해당대사3][30]
  • 파일:세계 여행 6화 오류.jpg 12기(세계여행)에서 몽골제국이 역사상 가장 큰 제국이라고 한다.그러나 실제로는 대영제국이 가장 크다.[31]
  • 남캐, 여캐가 같은 화장실이나 목욕탕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10-07 01:23:17에 나무위키 읽으면서 바로 써먹는 어린이 시리즈/설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읽으면서 바로 써먹는 어린이 놀이북에서 확정된 명칭. 대부분 '입'이라고 한다.[2] 명칭은 불명. 교문패를 보면 그냥 '초등학교'라고만 써있다.[3] 11기(맞춤법 행성) 한정으로 맞춤법 행성.[4] 13기(감정 표현)에서 보리노스가 이 이름으로 부른다.[5] 어떨땐 감정에 따라 볼색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겁에 질리거나 기절할때 가끔 찹이의 볼색인 하늘색이나 회색이 된다.[6] 그러나 볼 모양이 원 모양인 캐릭터들의 볼이 색깔뿐만 아니라 타원 모양으로 변하면 오류라고 할 수 있다.[7] 읽으면서 바로 써먹는 어린이 놀이북에서 확정된 명칭. 대부분 '입'이라고 한다.[8] 해당 인물은 찹이다.[9] 명칭은 불명. 교문패를 보면 그냥 '초등학교'라고만 써있다.[10] 11기(맞춤법 행성) 한정으로 맞춤법 행성.[11] 13기(감정 표현)에서 보리노스가 이 이름으로 부른다.[12] 사실상 아래에 오류가 엄청나게 많은 걸 보면 가끔씩이 아닌 '자주'다.[13] 물론 나중에 게임 실력을 키웠을 수도 있다.[14] 김이 사라졌으므로 단무지 입도 사라졌을 확률이 높다.[15] 이는 3기(고사성어) 39화랑 비슷한 오류다[16] 과학을 좋아하게 된 것 또는 과학을 더 믿게 된 것이다.[17] 읽으면서 바로 써먹는 어린이 속담을 보면 캐릭터들의 눈이 안경처럼 변할때 볼이 계속 있는 것을 볼 수 있다.[18] 1, 11, 38, 68화[해당대사1] 찹이:사실 나 음치야.이번 시험은 망했어.(흑흑)[19] 어떨땐 감정에 따라 볼색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겁에 질리거나 기절할때 가끔 찹이의 볼색인 하늘색이나 회색이 된다.[20] 그러나 볼 모양이 원 모양인 캐릭터들의 볼이 색깔뿐만 아니라 타원 모양으로 변하면 오류라고 할 수 있다.[21] 3, 12, 17, 18, 23, 27, 41, 44, 62, 64, 71, 79, 80, 98, 99, 100화 [22] 35, 46, 47, 53화[23] 빨간색 [24] 신기하게도 쎄세의 볼이 뽀기의 볼 모양인 타원 모양으로 바뀐다.[25] 7, 25, 44, 49, 69, 71, 75(한쪽 볼), 93, 95화[26] 현재는 수정된 상태이다.[해당대사2] 찹이: 큰일났어! 물고기는 물 밖에서 살 수 없잖아![27] 실제로 돌고래는 어류가 아니라 포유류의 일종이다.[28] 그외에도 관용구편에서 뽀기앞에서 떡볶이도 먹으니까 어쩌면 얼굴만 그럴뿐 똑같은 음식인듯 하다.[29] 아마도 누가 하나 더 던진것 같다[해당대사3] 모네: 이곳은 바로 한글을 만들었던 곳이라고! 래야: 앗! 그건 훈민정음이잖아![30] 여담으로 세종대왕마저도 한글의 당시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하지 않으며 한글이라는 단어를 알아듣는다.[31] 몽골제국은 역사상 두번째로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