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 치즈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
3. 유사 브랜드 문제


1. 개요[편집]


임실 치즈(Imsil cheese)는 대한민국전라북도 임실군을 원산지로 하는 치즈이다. 아직까지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상 지리적 표시제에 등록되어 있지는 않으나, 대중적으로는 매우 유명하다. 한국인에게 '임실군'이라 하면 누구나 바로 치즈를 떠올리게 될 정도이다.


2. 역사[편집]


1958년 벨기에에서 선교사로 파견 온 천주교 전주교구 지정환(디디에 엇세르스테번스) 신부산양유를 이용해서 산양유 치즈를 만든 것이 시초다.[1] 한국에서 낯선 산양유가 잘 팔리지 않자 공장을 세운 후 산양유로 치즈를 만들기 시작했으나, 제조기술이 떨어져 품질좋은 치즈가 생산되지 않았다.

이에 지정환 신부는 산양유가 아닌 우유로 치즈 생산에 들어가고, 3년간의 고생 끝에 해외에서 기술을 배워와 비로소 1969년 카망베르 치즈 생산에 성공하였다. 이는 주한미군 부대에서 빼돌려 불법유통되는 치즈가 전부였던 시절 한국 최초로 치즈 생산에 성공한 역사적 순간이었다.

이후 한국에서 사업을 벌이기 위해 직접 농림부 차관을 만나 허가를 요청했으나, 농림부 차관은 치즈 사업이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단정하면서 허가하지 않았다. 결국, 지정환 신부는 허가 없이 공장을 운영하였다.

1970년에 저장기간이 짧고 보관이 힘든 카망베르 치즈 대신 체다 치즈를 생산하기 시작했고, 이렇게 만든 체다 치즈가 조선호텔[2]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 대량 납품 계약을 맺으면서 임실치즈가 본격적으로 생산되었다.

이후 1970년대 중반, 명동의 유네스코 회관에서 문을 연 한국 최초의 피자[3] 가게에서 모차렐라 치즈를 국내 생산해달라고 주문하면서 1976년, 한국 최초로 모차렐라 치즈를 만들었다. 이후 임실치즈공장은 주민 협동조합인 임실치즈농협으로 변경하였고, 창립자 지정환 신부는 운영권·소유권 등 그 동안 일구었던 임실치즈의 모든 것을 임실치즈농협에 전부 넘겼다.

임실 치즈의 브랜드는 임실치즈축산업협동조합(임실치즈농협)에서 관리하는데, 특정한 치즈 종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주로 생산되는 치즈는 이탈리아모차렐라 치즈이고, 이 밖에 농협 내 치즈몰에서는 스트링, 체다, 라클렛, 가우다(하우다) 등 다양한 치즈를 판매할뿐더러 요구르트 등 다른 유제품도 취급한다.

임실군의 치즈 산업은 그 규모에서 한국 제일이며 치즈의 브랜드 가치를 이용한 3차 산업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중이다. 제조공정 역시 선진국 수준의 첨단기술을 적용하여 관리한다.


3. 유사 브랜드 문제[편집]


임실 치즈 관련 브랜드들이 난립하는 가운데, 임실군 및 임실치즈농협에서 인증받은 업체는 임실치즈피자[4]임실N치즈피자[5] 두 곳뿐이다.

지정환 신부와는 정작 아무 관련이 없는 지정환임실치즈피자는 한때 임실치즈를 사용하지 않기도 하였다.[6] 이외의 브랜드 역시 임실치즈 이름만 걸어놓고 다른 종류를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4:37:04에 나무위키 임실 치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흥미로운 사실은 지정환 신부는 어릴 때부터 치즈를 그리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때문에 벨기에의 부모님에게 사정을 설명하고 공장 설립을 위한 돈을 빌릴 때 '치즈도 안 좋아하는 애가 무슨 치즈 공장이냐?'는 핀잔을 들었다고 한다.[2] 현재는 웨스틴조선호텔로 알려져있다.[3] 당시엔 피자파이라고 불렀다.[4] 임실낙농업협동조합 브랜드. 반원형로고[5] 임실군 합동브랜드[6] 지정환임실치즈피자는 어처구니없게도 사기로 만든 기업이다. 한국에 대해 잘 몰랐던 지정환 신부에게 거짓말로 이름 특허권을 낸 자가 멋대로 상표를 등록해버렸는데, 이 탓에 임실치즈피자와 서로 갈등이 심했고 애꿎은 지정환 신부가 별별 악성 루머에 시달려야 했다. 상표등록 한 자가 법정 싸움이라든지 여러 가지로 시달렸다가 2005년 지정환 임실치즈피자 상표를 팔아 버렸는데, 판매수익 대부분을 주식투자로 날리고 빚쟁이에게 시달리다 결국 잠적했다고 한다. 《치즈로 만든 무지개-지정환 신부의 아름다운 도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