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문화중심주의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구성요소
3. 개입
4. 장점
5. 문제점
6. 예시
7. 관련 문서


Ethnocentrism


1. 개요[편집]


문화를 바라보는 태도 중 하나이며, 자기 민족경험이나 전통에 비추어 다른 사회의 문화를 바라보는 문화 인식 태도를 말한다. 국수주의와도 유사점이 많으나 깊게 파고보면 다른 점도 많다. 일단은 자문화가 공통적인 기준이라고 생각하며 남들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한다면 자문화중심주의로 불릴 수 있다.[1] 절대주의의 일종인 문화절대주의와는 높은 확률로 결합되며, 반면 문화절대주의와 반대되는 사상인 문화상대주의와는 대립하는 경우가 많다.

최초의 용어 제안은 1906년 섬너(W.G.Sumner)의 저술에서 유래했는데, 자문화는 승격시키고 타문화는 멸시하는 경향을 가리켰다. 자문화중심주의가 반영된 가장 오래 된 문헌은 기원전 5세기 경의 헤카타이오스(Hecataeus) 및 헤로도토스의 저술로 알려져 있다.[2]

많은 문화 연구자들은 사실상 모든 사람들이 (심지어 문화 연구자 그들조차도!) 잠재적으로 자문화중심주의적 사고를 갖고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3]


2. 구성요소[편집]


고전적 섬너리안들은 내집단고양 + 외집단폄하의 집단역동의 양상까지 포함됨을 주장한다. 이는 특히 집단 간 경쟁의 환경에서 뚜렷하다.[4] 그러나 현대의 많은 문화 연구자들은 내집단고양과 외집단폄하 사이의 관계는 독립적이라 여기며[5] 그 양상이 전통적으로 가정되는 것보다 더 복잡하고 미묘하리라 본다. 특히 외집단폄하가 필수 요소인지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진화심리학자들은 이것이 인간 본성의 일부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특히 생물학적 취약성은 외집단에 대한 배타성을 증가시키며 이는 저질체력이나 보수적인 사고관을 가진 사람일수록 자문화중심주의에 강한 동의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6] 심리학자들은 나르시시즘, 종교적 근본주의, 낮은 우호성 요인, 권위주의적 양육 등이 자문화중심주의를 잘 예측함을 발견하였다.[7]


3. 개입[편집]


연구자들은 몇 가지 방법으로 자문화중심주의에 저항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타문화권 개인들과의 접촉이 (경우에 따라) 효과가 있고,[8]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타문화의 관용이 증가하며 특히 여성일 경우 효과가 더 크다는 보고도 있다.[9] 교과목 중에 문화에 대한 과목이 포함되는 것도 도움이 되고[10] 문화에 대한 정치적 올바름의 감수성을 높이는 것도 좋다는 연구 또한 존재한다.[11]


4. 장점[편집]


자기 집단과 지역 민족에 대한 구성원의 결속을 강화시킨다. 다른 문화에 동화되지 않고 정체성을 유지하며 존재감을 과시할 수 있다.

또한 자기 문화에 대한 애착심이 생기므로 과도하지만 않다면 자기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생기고 장점만을 수용하며 만족하면서 살 수 있다

5. 문제점[편집]


현대 사회와 같이 국제적 교류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다른 국가에 대한 이해와 협조를 어렵게 해 국제적 고립을 가져올 수 있다.


6. 예시[편집]


타 집단을 자신들의 관점에서 오랑캐로 인식하는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중국의 중화사상과 화이관 등을 들 수 있다. 브리짓 바르도가 한국의 개 식용 문화를 야만적이라고 비난한 것 역시 예로 들 수 있겠다.

200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부가 세계문화유산 가운데 하나인 바미안 석불우상숭배를 금지한 이슬람 율법에 어긋난다며 파괴시켜 버린 것도 일종의 자문화중심주의의 폐해인 셈이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9:04:59에 나무위키 자문화중심주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Price & Crapo, 2002.[2] 전자는 그리스 문화를 무시했고 후자는 비그리스 문화를 무시했다.(...)[3] e.g. Buliep, Hintz, & McCroskey, 2005; Shuya, 2007; Hofstede, 2007.[4] Pratto & Glasfor, 2008.[5] e.g. Brewer, 1999; 2007.[6] Navarrette & Fessler, 2006; Navarrette, Fessler, & Eng, 2007.[7] Bizumic & Duckitt, 2008; Altemeyer, 2003; Oliveira, 2009; Thomas, 1975; van Ijzendoorn, 2001.[8] Brislin, 2000; Borden, 2007.[9] Hooghe, 2008.[10] Pettijohn, 2009.[11] Dong, Day, Collaco,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