잣나무

덤프버전 :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 펼치기 · 접기 ]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6위
7위
8위
9위
10위
아카시아나무
향나무
대나무#
동백나무
감나무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편백나무
6위
7위
8위
9위
10위
은행나무
동백나무
아카시아나무
대나무#
잣나무
11위
12위
13위
전나무
향나무
버드나무
# 대나무는 풀이지만, 통계 분류상 나무로 포함.

같이 보기: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좋아하는 산, 좋아하는 음식




잣나무
(백자목(柏子木), 홍송(紅松))
Pinus koraiensis


파일:external/dendrome.ucdavis.edu/pinus_densiflora_general.jpg

학명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1]
분류

식물계(Plantae)

구과식물문(Pinophyta)

구과식물강(Pinopsida)

구과목(coniferales)

소나무과(Pinaceae)

소나무속(Pinus)

잣나무(Pinus koraiensis )

1. 개요
2. 명칭
4. 꽃
5. 가로수
6. 여담



1. 개요[편집]


소나무과의 나무로, 잘 모르는 사람이 보면 생김새가 비슷한 소나무와 구분하기 힘들다. 구별하는 방법은 나무를 자세히 살펴보면 잣은 이파리가 5장 뭉쳐 있기 때문에 오엽송이라고 불리운다. 하지만 소나무는 2~3개가 뭉쳐있다. 이파리 개수로 소나무와 잣나무를 구별할 수 있다.

멀리서 봤을 때는 소나무는 잎이 온통 녹색이지만 잣나무는 잎에 은빛이 약간 돈다. 그 외에도 잣나무는 줄기의 껍질이 부드럽고 매끈한 반면 소나무의 껍데기는 갈라진 형상에 거칠고 우둘두툴하기 때문에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주로 한국, 만주, 일본동북아시아 한반도 인근에서 자생하며 남부는 해발 1,000m 이상, 중부는 해발 300m 이상에서 잘 자란다. 추운 곳에서 잘 견디며 영하 수 십도로[2] 떨어지는 혹독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강인한 나무이다.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는 상록수이다. 나무의 높이는 30m가 넘게 자라며 흉고직경은 1m가 넘는다. 높이는 큰 건 40m나 하는 데 목재로도 질이 좋아서 유용하게 쓰인다.

한국 고유의 나무이기 때문에 영어로도 '코리안 파인(korean pine)'이라 불린다.

여타 침엽수처럼 피넨[3]이란 물질을 내뿜는 데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잣나무숲으로 산림욕을 가기도 한다.

비슷한 나무로는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눈잣나무와 울릉도와 일본에 서식하는 섬잣나무, 그리고 북미에서 들여온 스트로브잣나무가 있다. 이탈리아에는 돌잣나무가 있다. 이탈리아에선 이 돌잣나무 열매를 피노키오라고 한다.

화석상의 기록으로는 조상격이 태국 중부 펫차부리 지방의 농야 플롱 분지(Nong Ya Plong Basin) 올리고세 후기 지층에서 발견된 것이 최초이고영어 논문, 현재의 잣나무 형태의 화석은 홀로세 중기에 등장한다고 한다. 영어 논문


2. 명칭[편집]


언어별 명칭
영어
Korean pine
한국어
잣나무
중국어
红松(hóngsōng
일본어
朝鮮(ちょうせん(まつ
중국에서는 오랫동안 이 소나무를 신라에서 건너왔다고 하여 신라송(新羅松)이라 불렀다. 정사인지 야사인지는 불명확하지만, 신라 시대의 김교각이라는 신라 왕자 출신 스님이 신라에서 중국으로 가져갔다고 전해지는 오차송(五叉松)이 이 잣나무로 간주되고 있는데, 잣나무의 다른 이름 중 하나가 오엽송(五葉松), 오수송(五鬚松), 오립송(五粒松)으로도 불렸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훙쑹(红松)을 공식 표기로 사용하며, 나머지는 구어 혹은 지역 방언 정도로 사용되는 데에 그치고 있다.
서역에서 가져왔다는 기록도 몇 개 있으나, 김교각은 티베트나 인도 등으로 간 적이 없기 때문에 그 기록은 정설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3. 열매[편집]


파일:external/d2ouvy59p0dg6k.cloudfront.net/49_korean_pine_nuts_238491_361096.jpg
솔방울이 국내 구과식물 가운데 가장 크며 워낙 위 아래로 길쭉하기도 해서 알아보기 쉽다. 여기서 을 채취한다. 소나무와 달리 날개가 없어 스스로 퍼지지 못하는데, 도토리처럼 잣을 먹는 새나, 청설모, 다람쥐 등에 의해 씨를 퍼뜨린다. 한국의 잣은 유독 따기 힘든 것으로 악명높은 데, 나무가 높기도 하면서 꼭대기에만 달리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4. 꽃[편집]


파일:h5fpOOy.jpg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는데, 암꽃은 가지 끝에서 녹황색으로 피고 수꽃은 붉은색이다. 꽃은 5월에 핀다. 꽃말은 '만족'이다. 솔방울도 5월에 핀다.

잣나무 잎을 백엽(柏葉)[4]이라고 하는데 잣나무 꽃과 잣나무 잎, 그리고 잣나무 순으로 술을 빚기도 한다.


5. 가로수[편집]


소나무와 잣나무가 미세먼지 저감에 있어서 탁월하다는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가 발표되면서 잣나무를 조경수로 배치하려는 움직임이 종종 포착된다. # 소나무과 침엽수가 기존 가로수들에 비해 평균 두배 이상의 미세먼지 저감능력을 보였고, 이로 인해 도시숲 조성 사업에서 수요가 증가한 것. 관건은 경제성이지만 꽃의 색이나 활용성을 고려해보면 잣나무가 소나무에 비해 조경면에서 뛰어나기 때문에 부유 도심에서는 적극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다만 가로수로 자주 쓰이는 잣나무는 그냥 잣나무인 Pinus koraiensis가 아닌 내구성이 뛰어난 스트로브 잣나무, 북아메리카 원산의 Pinus strobus이다.


6. 여담[편집]



  • 경기도 가평군에 가면 잣나무 숲이 많이 있어, 휴양지로도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 또한 가평군에는 잣나무 관련 제품들도 많이 있다.

  •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잣나무도 소나무처럼 송이버섯이 공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 친구가 잘 됨을 기뻐한다는 뜻으로 송무백열(松茂柏悅)이란 사자성어가 있다. '소나무가 번성하니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이다.

  • 산을 살 때 잣나무가 많이 있는 산을 사지 말라는 말이 있다. 우리나라에 식재된 잣나무의 상당수는 국가에서 심은 것인데, 그래서 잣나무를 베어낼려면 국가에 돈을 추가로 지급해야하기 때문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2:27:21에 나무위키 잣나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koraiensis는 한국 고유종임을 뜻한다.[2] 최대 영하 90°C까지 견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흔히 피톤치드라고 하지만 단어 자체는 식물이 뿜어내는 살균, 살충성분을 뭉뚱그려서 지칭하는 표현이다. 소나무과 식물에서 분비되는 피톤치드로는 α-피넨과 β-피넨이 있다.[4] 일본에서는 떡갈나무 잎(=곡엽)을 뜻한다. 비슷한 사례로 椿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참죽나무이나 일본에서는 동백나무를 뜻한다.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문서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