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제스/기타 창작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장제스

장제스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생애 · 평가 · 대인관계 · 창작물 · 4대가족
인물
국민당
쑨원 · 쑨커 · 천치메이 · 천궈푸 · 천리푸 · 왕징웨이 · 후한민 · 쉬충즈 · 펑위샹 · 옌시산 · 리쭝런 · 바이충시 · 허잉친
탕성즈 · 다이지타오 · 장쉐량 · 성스차이 · 류샹 · 랴오중카이 · 탄옌카이 · 천부레이
공산당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미하일 보로딘
군벌
위안스카이 · 장쭤린 · 양위팅 · 우페이푸 · 천중밍 · 탕지야오 · 루룽팅
가족
장종패 · 장준명 · 장사천 · 장조총 · 왕차이위 · 쑹아이링 · 쑹칭링 · 쑹메이링 · 쿵샹시 · 장징궈 · 장웨이궈
열강 관련 인물
미국
프랭클린 루스벨트 · 해리 트루먼 · 조지 마셜 · 조지프 스틸웰 · 앨버트 웨드마이어 · 클레어 셰놀트
일본
다나카 기이치 · 고노에 후미마로
영국
윈스턴 처칠 · 루이 마운트배튼
독일
한스 폰 젝트 ·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소련
레프 트로츠키 · 이오시프 스탈린
사건
사건
신해혁명 · 쑹자오런 암살 사건 · 선후대차관 사건 · 계축전쟁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호국전쟁 · 장훈복벽 · 호법운동
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1차 직봉전쟁 · 1차 국공합작 · 강절전쟁 · 2차 직봉전쟁 · 광저우 상단 사건
국민당의 1차 동정 · 1925년 객군 반란 · 랴오중카이 암살 사건 · 국민당의 2차 동정 · 중산함 사건 · 국민당의 1차 북벌 · 영왕운동
상하이 폭동 · 난창 군무선후회의 · 천도논쟁 · 한커우 사건 · 난징사건 · 4.12 상하이 쿠데타 · 1차 산동파병 · 마일사변 · 국공결렬 · 영한합작 · 당계전쟁 · 장제스-다나카 회담 · 장황사변 · 국민당의 2차 북벌 · 제남 사건 · 동북역치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 · 1차 장계전쟁 · 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2차 장계전쟁 · 봉소전쟁 · 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창사 폭동 · 초공작전 · 제1차 초공작전 · 제2차 초공작전 · 제3차 초공작전 · 제4차 초공작전 · 제5차 초공작전 · 탕산 사건
나카무라 사건 · 만보산 사건 · 1차 양광사변 · 만주사변 · 장왕합작 · 제1차 상하이 사변 · 열하사변 · 대장정 · 하매 협정 · 진토 협정
왕징웨이 저격 사건 · 기동사변 · 12.9 운동 · 2차 양광사변 · 7군자 체포 사건 · 서안 사건
루거우차오 사건 · 중일전쟁 · 제2차 상하이 사변 · 난징 전투 · 난징 대학살 · 트라우트만 공작 · 왕징웨이 공작
1939년 동계공세작전 · 대륙타통작전 · 국공내전 · 2.28 사건 · 재정경제긴급처분령 · 대만 계엄령 · 국부천대 · 장제스의 사망#
단체
중화민국/국민정부 · 중국 국민당 · 국민혁명군 · 남의사 · CC단
기타
중정기념당 · 장공기념가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px-Chiang_Kaishek_signature.svg.png




1. 영화
2. 드라마
3. 게임
4. 소설



1. 영화[편집]


1980년작 영화 <대도하>에선 배우 조항다(赵恒多)가 연기했다.

파일:external/gb.cri.cn/1817034080599067045.jpg

1982년작 영화 <풍우하종산>에선 배우 쑨페이후가 연기했는데, 그는 1986년작 <동릉대도>와 1988년작 <외외곤륜>, 198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40주년 기념 영화 <개국대전>, 1994년작 <중경담판>, 2008년작 <진관동> 등지에서도 같은 배역으로 나와 특히 <개국대전>에선 그야말로 간지 폭풍의 인물로 나온다.

1997년작 영화 <송가황조>에선 배우 오흥국이 분했고, 2008년작 영화 <주은재래풍경>에서도 마효위가 맡았다.

파일:external/korean.cri.cn/9001285917124868709.jpg

2009년에 건국 60주년 기념으로 제작된 영화 <건국대업>에서 장국립이 맡았는데, 그는 2011년작 <중국 1945: 중경풍운>에서도 같은 배역으로 나왔다. 특히 <건국대업>에선 재평가된 장제스의 면모를 볼 수 있다. 장국립이 분했는데 마오쩌둥만큼은 아니지만 근엄한 걸물로 나오며 국민당은 국민당 손으로 망했다고 씁쓸하게 읊조리며 퇴장하는 등 가볍게 나오지 않았다.[1] 마오쩌둥의 공산당과 대립하면서도 나름대로 중국의 발전과 통일을 위해 노력하는 인물로써 긍정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타이완으로 쫓겨나기 직전 장징궈와의 대화가 인상적이다.

파일:/pds/201312/02/96/a0007296_529b6ab691381.jpg

후술할 드라마 장정에서 장제스 역을 맡았던 진도명은 중일전쟁 중의 허난성 대기근을 다룬 2012년작 1942(영화)에서 또 장제스 역을 맡았는데 여기에서 장제스는 카리스마는 있으되, 기근에 허덕이는 국민들은 별로 신경 안쓰는 암군으로 그려진다.

파일:존라베장개석.jpg

난징 대학살을 다룬 영화 존 라베에서도 잠깐 나오는데 큰 비중은 없다. 배우 임동보(林栋甫)가 분했다.

파일:건군대업장개석.jpg

한국에서 후난성 전투로 개봉한 영화 건군대업에서도 등장한다. 대만의 가수 겸 배우 곽건화가 분했다.

파일:건당위업장개석.jpg

2011년작 영화 건당위업에서는 대만 배우 장첸이 분했다.

2015년작 영화 <개라선언>에선 배우 마샤오웨이가 연기했는데, 같은 해 <백단대전>과 2016년작 <해당의구> 및 <동방전장>, 2017년작 <혈전상강>에도 같은 배역으로 나왔다.

2. 드라마[편집]


1984년작 중국 CCTV 드라마 <말대황제>에선 배우 조항다가 맡았고, 1985년작 한국 KBS의 국군의 날 특집드라마 <전웅실록: 오성장군 김홍일>에선 배우이자 한양대 교수였던 양동군이 연기했다.

파일:장정장개석.jpg

2001년 중국 CCTV에서 만든 공산당 창당 80주년 기념 드라마 장정에선 황제 전문 배우 진도명이 장제스 역을 맡았다.

2016년작 CCTV 드라마 <펑더화이 원수>에선 배우 마샤오웨이가 연기했고, 2020년작 <태행지척>에서도 심보평이 맡았다.

3. 게임[편집]


파일:호이4 장제스.jpg
4편 초상화[2]
Hearts of Iron 시리즈에서 중화민국 정부수반으로 등장하다 호이4에서는 중화민국 국가원수로 등장한다. 1.5패치와 Waking the Tiger DLC 출시 이후 일본의 침략에 맞서 대원수(방어 전쟁시 안정도 40% 부여)라는 개사기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게 얼마나 개사기냐면 다른 나라는 전쟁에 들어가면 안정도가 감소하지만 중화민국은 오히려 더 안정적으로 변한다. 1.5 버전까지는 약 41~42년정도까지 버티다가 붕괴되었는데, 1.6버전 이후 AI의 상향과 점령 시스템 패널티 기능이 추가되는등 조정이 되며 긴 소모전을 나름 구현해 두었다.. Road to 56 모드에서는 중화민국의 국가원수 겸 야전원수로 나오는데 능력치가 무려 5티어 원수다! Eight Years' War of Resistance 모드에서는 1.5패치로 구현된 트레잇이 방어 집중 AI성향으로 바뀌었고 안정도 부여는 루산성명 디시전#으로 대체되었다. 디시전 자체가 지휘력 소모를 통해 15일이면 발동되니까 큰 부담은 없다.

같은 게임의 대체역사[3] 모드인 카이저라이히에서는 시작시점(1936년)에 이미 사망해서 등장하지 않는다. 설정에 의하면 랴오중카이 암살 미수 사건을 빌미로 후한민 등을 처형하며 국민당 우파의 어그로를 산 상태에서 소련 대신 프랑스 코뮌의 지원[4] 으로 국민혁명군을 강하게 무장해 북벌을 개시했다. 군벌들을 상대로는 승승장구 했지만 프랑스 코뮌을 극도로 경계하던 독일이 북양정부를 도와 한스 폰 젝트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을 보내 개입하자 최신 무기와 1차대전을 겪은 베테랑들에게는 상대가 되지 못했던 국민혁명군은 붕괴한다. 패배 후 일단 군을 추슬러서 광둥으로의 귀환을 시도하지만 국민당 우파의 사주를 받은 누군가에게 암살당한다. 장제스가 사망하고 리쭝런, 주페이더 등은 당을 떠나 지역군벌화되면서 당 내 우파는 쑨커 정도를 제외하면 완전히 사멸하고 국민당은 완전히 좌경화된다. 카이저라이히 국민당 좌파 팩션으로 잡아서 중국 통일을 완수하면 국가집중을 통해서 쑨원과 장제스의 기념당을 지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체역사 모드인 TNO에서는 영프가 멸망하고 미국이 독일에게 핵공격을 받아 전쟁에서 이탈한 상황에서 마오쩌둥과 연합해 끝까지 일본과 싸웠지만 끝내 충칭에서 전사했다. 이후 룽윈이 그와 마오쩌둥에게 충성하는 이들을 다시 불러 모아 운남에서 호국군을 다시 일으켜세워 일본과 싸우게 된다.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에서는 실제 역사와 다르게 소련의 침공을 받고 중국 대륙을 마오쩌둥에게 내어주게 된다. 처음에는 이념 대립으로 갈등했지만,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스탈린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던 현실 역사와는 다르게 이 세계관에서는 매우 적대적이었을 것으로 보인다.[5] 그 이후의 행적은 불명


4. 소설[편집]


조선, 혁명의 시대에서는 진기미의 부하로 나오며 한국인 요원 신규식과 함께 신해혁명에서 활약한다. 호국전쟁 당시에 쑨원을 구출한 덕분에 중화민국의 요직에 올랐다. 일본에 의해 자신의 고향인 절강이 침탈 당하고 관동대학살에서 중국인 노동자들이 학살당하자 분노하며 무슨한이 있더라도 도쿄에 불바다를 꼳아 넣을것을 다짐한다.

대통령 각하 만세에서는 후한민이 물러난 이후 새 군사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중화민국이 일본에 개처럼 끌려다니는 상황에 큰 불만을 가지고 있다. 반란 모의를 했다가 다이리에게 체포되었지만 사실 자신을 조사하러온 다이리를 만나 회유하기 위해 일부러 잡힌 것이었고 화려한 말발과 체포된 다른 군벌과 달리 탄탄한 논리로 다이리를 포섭하는데 성공. 풀려난 뒤 쿠데타를 일으켜서 중화민국 우창 정부를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에서는 조지프 스틸웰 대신에 휴 알로이시우스 드럼이 중국에 고문으로 왔지만 소련영국이 중국으로 갈 랜드리스를 가져가고 본인이 내정에서 무능한것은 변하지 않아서 결국 국공내전에서 결국 절체절명의 위기를 겪고 미국에서 받은 핵무기우한에 투하했고, 결국 장강 이남의 중화민국 총통으로 남을 수 있게 되었다. 냉전에서는 떨어진 권위로 인해 군벌들의 내분과 내정의 무능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거센 민주화 시위에 하야하지만, 중공의 대약진 운동의 여파로 혼란이 거세지고 군벌들이 준동하자 그의 복귀 여론이 다시 거세져서 복귀, 군벌들과 피터지게 싸운 끝에 드디어 절대 권력을 얻는다. 중공의 혼란을 틈타 유진 킴의 돈벌이 조언대로 3S 정책을 펼쳐서 정권을 안정시키는 데도 성공한다.

내 독일에 나치는 필요없다에서는 군벌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해 독일이 일본과 싸우라고 보낸 무기들을 일본에 팔아넘기는 막장 짓이 벌어지는 중이다. 이 때문에 산하단체 정도였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독일과 단독으로 접촉해 승인을 받아낸 것에 대해 언짢아했지만 독일이 이 사실을 언급하자 오히려 꿀먹은 벙어리 신세가 된다. 그래도 불굴의 의지로 일본을 몰아내고 독재를 통한 군사 국가를 만들며 통일을 부르짖으나 현실은 냉혹했고 결국 중국 통일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죽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7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7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4:49:53에 나무위키 장제스/기타 창작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실제 장제스를 묘사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장제스는 죽는 그 순간까지도 타이완을 잠시 머물 공간으로 삼았을뿐, 언젠가는 본토로 돌아가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2] 파일:장제스2.jpg이 사진을 기반으로 했다.[3] 1차세계대전에서 동맹국이 승리하고 영국과 프랑스는 혁명으로 생디칼리즘 국가가 되었다.[4] 이 세계의 프랑스는 1차대전 패전 이후 분노한 민중과 군인들의 봉기로 영국과 사회주의 국가가 된 반면 러시아는 레닌이 멘셰비키에게 암살당하고 트로츠키가 전사하는 와중에 독일 제국이 백군과 불가침 조약을 대가로 지원을 해주면서 적화되지 않았다.[5] 특히 레드얼럿 세계관에서도 일본제국은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는데 히틀러가 존재하지 않아 영국과 프랑스의 대독 유화책이 성공적이어서 연합국이 되었기 때문에 영불 제국주의의 최대 라이벌인 소련과 아시아의 식민지를 늘려야 하는 일본제국과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져 일본제국의 물주 노릇을 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