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수(독립운동가)

덤프버전 : r20200302



1. 김제군 출신 독립운동가, 장태수
2. 개성특급시 출신 독립운동가, 장태수



1. 김제군 출신 독립운동가, 장태수[편집]


건국훈장 독립장(單章) 수훈자 파일:건국훈장독립장약장.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건국훈장독립장.jp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영소
강진원
계봉우
고광순
고두환
고이허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궈타이치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마리아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월환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궁억
남정각
노병대
노응규
노태준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학
민양기
민필호
박건웅
박상진
박시창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서영석
서일
석호필
선우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신
안공근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승우
안춘생
안태국
안희제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우덕순
우재룡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도빈
장지연
장진홍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차이석
차희식
채기중
채응언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팔용
표영준
한성수
한시대
함석은
함태영
한상렬
한징
한훈
현익철
현정건
호머 헐버트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현




파일:장태수2.jpg
성명
장태수(張泰秀)

성안(聖安)

일유재(一逌齋), 남강거사(南岡居士)
생몰
1841년 12월 24일 ~ 1910년 11월 27일
출생지
전라북도 김제군 금구면 서도리
본관
인동 장씨
사망지
전라북도 김제군 금구면 서도리
추서
건국훈장 독립장

장태수는 1841년 12월 24일 전라북도 김제군 금구면 서도리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장한두(張漢斗)로 첨중추(僉中樞)를 지냈다. 그는 1861년 정기 과거시험인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섰고, 이후 승문원 군지부정자로 임명되어 외교문서를 작성, 보관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장령, 예조정랑 등 중앙의 청요직(淸要職)을 거쳤다. 그리고 1867년에는 목민관인 양산군수에 임명되어 민생안정에 힘쓰고, 부국양병에 주력했다.

이윽고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조영규(趙英珪)의 제단을 고쳐 제향한 공로로 통정대부에 오른 장태수는 1872년에 고종을 수행하여 개성에 다녀왔고, 병조참의 동부승지, 춘추관 수찬관을 지내는 등 중앙의 여러 요직을 역임했다. 또한 1894년 동학 농민 혁명이 발발하자 다시 외직인 고산현감으로 부임하여 민심을 안정시키는데 힘을 쏟았다.

1895년 8월 20일, 일제가 을미사변을 자행했다. 이후 정부는 일제의 압력에 따라 을미개혁을 진행했고 그해 11월에 단발령을 발표했다. 이에 장태수는 모든 관직을 사직하고 향리로 내려와 스스로 남강거사(南岡居士)를 칭하며 은거했다. 그러다가 1904년 2월 러일전쟁 직후 관직에 다시 나아간 그는 고종을 츠근에서 모시는 시종원부경이 되었다. 그러나 1905년 11월 을사조약이 일제의 강압으로 체결되자, 그는 을사오적의 처단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이 선포되자, 그는 "개와 말까지도 능히 주인의 은덕을 생각하는데, 역적 신하들은 어찌 임금을 속이고 나라를 팔 수가 있는가"라고 하며 통곡했다. 그는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여 다시 은둔했고, 의관을 정제하지 않고 지냈으며 사람을 만나도 말하고 웃는 일이 없었다. 한편 일제는 작위와 은사금을 여러 지도층 인사들에게 내려 이들을 회유하고자 했다. 1910년 10월 7일 일제는 76명에 달하는 조선 귀족들에게 작위를 봉해고 수만 엔에서 수십만 엔에 이르는 은사금을 수여했다.

이윽고 일본 헌병이 장태수에게 찾아와 은사금을 받으라고 권하자, 그는 "나라가 망하는 것도 차마 볼 수 없는데 하물며 원수의 돈을 어떻게 받겠는가. 나는 죽어도 받을 수 없다."며 거부하고 헌병을 내쫓았다. 그러나 헌병들이 연이어 찾아와 은사금을 받으라고 위협하며 세 아들을 잡아갔다. 이에 그는 조상의 사당에 통곡하며 자신의 뜻을 알린 뒤 12월 4일 단식에 들어갔고 '고대한동포문(告大韓同胞文)'이라는 유서를 남겼다.

내가 두 가지 죄를 지었다. 나라가 망하고 임금이 없는 데도 적을 토벌하여 원수를 갚지 못하니 하나의 불충이요, 이름이 적의 호적에 오르게 되는 데도 몸을 깨끗이 하지 못하고 선조를 욕되게 하였으니 또 하나의 불효이다. 내가 이 세상에서 이 같은 두 가지의 죄를 지었으니 죽는 것이 이미 늦었다.


장태수는 곡기를 끊은 지 24일 만인 1910년 11월 27일에 숨을 거두었다. 향년 69세.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장태수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또한 그가 순국한 전북 김제시 금구면 서도리의 남강정사는 전라북도기념물(1983)이 되었고, 집 안에 '일유재 장태수 선생사적비'가 세워졌다. 집 부근의 사당 서강사(西崗祠)에는 그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2. 개성특급시 출신 독립운동가, 장태수[편집]





성명
장태수(張兌秀)
이명
장태수(張台秀)
생몰
1896년 7월 12일 ~ 1974년 8월 24일
출생지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상도면 풍천리
사망지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상도면 풍천리
추서
건국훈장 애족장

장태수는 1896년 7월 12일 황해북도 개성군 상도면 풍천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4월 1일 같은 마을에 사는 장경범(張慶範), 김순흥(金順興), 유기윤(柳冀允) 등과 함께 전국에서 일어나는 3.1 운동에 호응하기로 결의하고 상도면과 대성면 풍덕리의 주민 3백여 명과 함께 독립 만세를 고창하면서 헌병분견대를 습격하고 전화선을 끊는 등 일련의 저항 운동을 벌이다가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었다.

이후 1919년 5월 2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보안법 및 전화법 위반으로 징역 3년 6개월 형을 언도받았고, 이에 항소하여 7월 28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2년형을 언도받았다. 그는 이 판결에도 불복하여 다시 고등법원에 상고했지만 10월 16일 기각되어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후 그는 개성에서 조용히 살았고 1974년 8월 24일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장태수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