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지사

덤프버전 :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남규
제2대
박철수
제3대
이을식
제4대
추규영
제5대
민병기
제6대
이기세
제7대
황성수
제8대
이하영
제9대
민영남
제10대
최의남
제11대
민영남
제12대
송호림
제13대
김용관
제14대
신용우
제15대
김보현
제16대
김재식
제17대
허련
제18대
고건
제19대
장형태
제20대
김종호
제21대
김창식
제22대
전석홍
제23대
문창수
제24대
송언종
제25대
최인기
제26대
백형조
제27대
이효계
제28대
이균범
제29대
구용상
제30대
조규하
제31-32대
허경만
제33대
박태영
제34-36대
박준영
제37대
이낙연
제38대
김영록
파일:slogan_j1.gif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지사
全羅南道知事
Governor of Jeollanam-do Province


파일:김영록_전라남도지사.jpg

현직
김영록 / 제38·39대 (민선 7·8기)
취임일
2018년 7월 1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관사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전라남도지사 관사
1. 개요
1.1. 전라남도지사 선거 100% 적중 지역
2. 목록
2.3.1. 관선 1기
2.3.2. 민선 1기
2.3.3. 관선 2기
2.3.4. 민선 2기
3. 역대 선거 결과
4. 역대 정당별 전적
5. 역대 후보별 순위
6. 생존 중인 전직 민선 전라남도지사
7. 도정 구호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전라남도지사전라남도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장이다. 1910년까지는 관찰사(觀察使)라고 했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전라남도 관찰사는 1908년 6월에 부임한 신응희(申應熙)이다.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답게 역대 모든 민선 전라남도지사가 민주당 출신인데, 초대 민선전라남도지사였던 허경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서부 출신[1] 전라남도지사들인게 나름 특이하다.

한 때 대권 주자 지지율 1위를 하는 등 호남 대망론 후보였던 이낙연을 배출한 적이 있다.[2] 이는 충청권의 충청남도지사, 부울경의 경상남도지사와 비슷하다.

1.1. 전라남도지사 선거 100% 적중 지역[편집]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전라남도지사 선거는 정규 선거 8회 및 재보궐선거 1회로 총 9번 치러졌다. 전라남도지사 선거에서는 영암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전라남도지사 선거 적중 지역이다.[3] 영암군의 경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민주당 허경만 후보 대신 민주자유당 전석홍 후보가 승리하여 적중 지역에서 탈락했다.[4]

2. 목록[편집]



2.1. 일제강점기[편집]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장관
노세 다츠고로.(能勢辰五郎)
1910년 10월 1일 ~ 1911년 5월 15일
[5]
2대 장관
구도 에이이치 (工藤英一)
1911년 5월 24일 ~ 1916년 3일 28일

초대 도지사
미야키 마타시치 (宮木又七)
1916년 3월 28일 ~ 1919년 9월 26일
[6]
2대
이스미 나카조 (亥角仲蔵)
1919년 9월 26일 ~ 1921년 8월 5일

3대
원응상 (元應常)
1921년 8월 5일 ~ 1924년 12월 1일
4대
장헌식 (張憲植)
1924년 12월 1일 ~ 1926년 8월 14일
5대
석진형 (石鎭衡)
1926년 8월 14일 ~ 1929년 1월 19일
6대
김서규 (金瑞圭)
1929년 1월 19일 ~ 1929년 12월 11일
7대
바바 세이이치 (馬場精一)
1929년 12월 11일 ~ 1931년 9월 23일
8대
야지마 스기조 (矢島杉造)
1931년 9월 23일 ~ 1935년 2월 20일
9대
곤도 츠네나오 (近藤常尚)
1935년 2월 20일 ~ 1936년 6월 29일
10대
마츠모토 이오리 (松本伊織)
1936년 7월 6일 ~ 1937년 7월 3일
11대
신카이 하지메 (新貝肇)
1937년 7월 3일 ~ 1940년 9월 2일
12대
엄창섭 (嚴昌燮)[7]
1940년 9월 2일 ~ 1943년 9월 30일
13대
효도 슌 (兵頭儁)
1943년 9월 30일 ~ 1945년 5월 20일
14대
야기 노부오 (八木信雄)
1945년 5월 20일 ~ 1945년 8월 15일

전라남도지사라는 직함은 1919년 8월에 기존의 전라남도장관을 전라남도지사로 개칭한 것이 최초이다. 여기서는 편의상 전라남도장관을 포함했다.

2.2. 미군정[편집]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펩크 (D. R. Pepke)
1945년 9월 2일 ~ 1945년 9월 22일
[8]
2대
길버트
1945년 9월 23일 ~ 1946년 10월 22일
3대
줄리어스 린트너 (Julius H. Lintner)
1945년 10월 23일 ~ 1946년 1월 19일
4대
랄프 F. 갤러기 (Ralph F. Gallogy)
1946년 1월 20일 ~ 1946년 2월 14일
5대
최영욱 (崔泳旭)
1946년 2월 15일 ~ 1946년 10월 15일

6대
서민호 (徐珉濠)
1946년 10월 16일 ~ 1947년 7월 9일
7대
박건원 (朴乾源)
1947년 7월 10일 ~ 1948년 8월 14일
8대
1948년 8월 15일 ~ 1948년 10월 17일
[9]


2.3. 대한민국[편집]



2.3.1. 관선 1기[편집]


대수
이름
임기
당적[10]
비고
관선 (임명직)
초대
이남규 (李南圭)
1948년 10월 18일 ~ 1950년 4월 30일
이승만 정부

2대
박철수 (朴哲洙)
1950년 5월 1일 ~ 1951년 12월 16일
3대
이을식 (李乙植)
1951년 12월 17일 ~ 1953년 11월 22일
[11]
4대
추규영 (秋圭映)
1953년 11월 23일 ~ 1955년 2월 24일

5대
민병기 (閔丙祺)
1955년 2월 25일 ~ 1956년 9월 23일
6대
이기세 (李埼世)
1956년 9월 24일 ~ 1959년 5월 12일
7대
황성수 (黃聖秀)
1959년 5월 13일 ~ 1959년 8월 10일
8대
이하영 (李夏榮)
1959년 5월 13일 ~ 1959년 8월 10일
9대
민영남 (閔泳南)
1960년 5월 12일 ~ 1960년 10월 6일
허정 내각

10대
최의남 (崔義南)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30일
장면 내각


2.3.2. 민선 1기[편집]


대수
이름
임기
당적[12]
비고
민선 (선출직)
11대
민영남 (閔泳南)
1960년 12월 31일 ~ 1961년 5월 23일

[[신민당(1960년)|
]]



2.3.3. 관선 2기[편집]


대수
이름
임기
당적[13]
비고
관선 (임명직)
12대
송호림 (宋虎林)
1961년 5월 24일 ~ 1963년 7월 22일
국가재건최고회의

13대
김용관 (金容寬)
1963년 7월 23일 ~ 1963년 12월 18일
14대
신용우 (申庸雨)
1963년 12월 19일 ~ 1966년 1월 28일
박정희 정부

15대
김보현 (金甫炫)
1966년 1월 29일 ~ 1969년 10월 21일
16대
김재식 (金在植)
1969년 10월 25일 ~ 1973년 9월 25일
17대
허련 (許鍊)
1973년 9월 26일 ~ 1975년 11월 12일
18대
고건 (高建)
1975년 11월 13일 ~ 1979년 1월 9일
19대
장형태 (張炯泰)
1979년 1월 10일 ~ 1980년 5월 27일
20대
김종호 (金宗鎬)
1980년 5월 28일 ~ 1982년 1월 4일
최규하 정부

21대
김창식 (金昶植)
1982년 1월 5일 ~ 1984년 10월 9일
전두환 정부

22대
전석홍 (全錫洪)
1984년 10월 10일 ~ 1988년 2월 25일
23대
문창수 (文昌洙)
1988년 2월 29일 ~ 1988년 10월 3일
노태우 정부

24대
송언종 (宋彦鐘)
1988년 10월 4일 ~ 1990년 6월 20일
25대
최인기 (崔仁基)
1990년 6월 21일 ~ 1991년 2월 18일
26대
백형조 (白亨祚)
1991년 2월 19일 ~ 1992년 4월 20일
27대
이효계 (李孝桂)
1992년 4월 21일 ~ 1993년 3월 3일
28대
이균범 (李鈞範)
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
김영삼 정부

29대
구용상 (具龍相)
1993년 12월 28일 ~ 1994년 9월 23일
30대
조규하 (曺圭河)
1994년 9월 24일 ~ 1995년 6월 30일

2.3.4. 민선 2기[편집]


대수
이름
임기
당적[14]
출신지
비고
민선 (선출직)
31대
허경만 (許京萬)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전남 순천[15]
[16]
32대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7]
33대
박태영 (朴泰榮)
2002년 7월 1일 ~ 2004년 4월 29일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전남 장성
[18]
권한대행
송광운 (宋光運)
2004년 4월 30일 ~ 2004년 6월 5일
행정부지사

34대
박준영 (朴晙瑩)
2004년 6월 6일 ~ 2006년 6월 30일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전남 영암
[19]
35대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
36대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1]
37대
이낙연 (李洛淵)
2014년 7월 1일 ~ 2017년 5월 12일

전남 영광
[22][23]
권한대행
김갑섭 (金甲燮)
2017년 5월 13일 ~ 2017년 9월 11일
행정부지사
전남 나주
[24]
이재영 (李在榮)
2017년 9월 12일 ~ 2018년 6월 30일
전남 무안

38대
김영록 (金瑛錄)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전남 완도

39대
2022년 7월 1일 ~ 현재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역대 민선 전라남도지사
1960
1995
1998
2002
2004
신민당

민주당


새천년민주당

민영남
허경만
박태영
박준영
2006
2010
2014
2018
2022
민주당

민주당


더불어민주당

박준영
이낙연
김영록

[ 펼치기 · 접기 ]
구분
주요 후보 득표율
1960년
1위: 민영남 45.90%
2위: 최의남 29.00%
1995년
1위: 허경만 73.50%
2위: 전석홍 26.49%
1998년
1위: 허경만 100%[주의]
2002년
1위: 박태영 57.76%
2위: 송재구 24.24%
2004년
1위: 박준영 57.60%
2위: 민화식 35.00%
2006년
1위: 박준영 67.69%
2위: 서범석 19.19%
2010년
1위: 박준영 68.30%
2위: 김대식 13.39%
3위: 박웅두 10.90%
2014년
1위: 이낙연 77.96%
2위: 이성수 12.47%
2018년
1위: 김영록 77.08%
2위: 민영삼 10.58%
2022년
1위: 김영록 75.74%
2위: 이정현 18.81%


3.1. 1960년[편집]


{+1 [[파일:전라남도 휘장(~2000)_white.png}}} 전라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민영남(閔泳南)
308,038
1위

45.90%
당선
2
김주섭(金周燮)
53,950
3위

8.00%
낙선
3
이용익(李容翼)
33,690
4위

5.00%
낙선
4
황인호(黃仁鎬)
19,051
6위

2.80%
낙선
5
최의남(崔義南)
194,911
2위

29.00%
낙선
6
조희인(曺喜仁)
15,410
7위

2.20%
낙선
7
김종현(金鐘鉉)
8,807
9위

1.30%
낙선
8
박기홍(朴基洪)
27,515
5위

4.10%
낙선
9
이정진(李廷鎭)
10,023
8위

1.50%
낙선

선거인 수
1,634,299
투표율
44.49%
투표 수
727,263
무효표 수
-

3.2. 1995년[편집]


{+1 [[파일:전라남도 휘장(~2000)_white.png}}} 전라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전석홍(全錫洪)
277,386
2위

26.49%
낙선
2
허경만(許京萬)
769,538
1위

73.50%
당선
3
최문작(崔汶作)
사퇴


선거인 수
1,504,598
투표율
76.06%
투표 수
1,144,447
무효표 수
97,523

낙선한 민주자유당 전석홍 후보도 26.49%로 호남 지역 치고는 상당한 득표로 제법 선전했다.[25] 특히 고향인 영암군에서는 17,938표를 얻으며 55.67%의 득표율을 올리며 1위를 했다.

3.3. 1998년[편집]


{+1 [[파일:전라남도 휘장(~2000)_white.png}}} 전라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허경만(許京萬)
918,300
1위[주의]

100%
당선

선거인 수
1,527,489
투표율
68.22%
투표 수
1,042,005
무효표 수
123,705

3.4. 2002년[편집]


{+1 [[파일:전라남도 휘장(2000-2016)_White.svg}}} 전라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황수연(黃守淵)
51,504
4위

5.27%
낙선
2
박태영(朴泰榮)
563,545
1위

57.76%
당선
3
송재구(宋載久)
236,558
2위

24.24%
낙선
4
송하성(宋河星)
89,487
3위

9.17%
낙선
5
안수원(安銖源)
34,439
5위

3.53%
낙선

선거인 수
1,533,059
투표율
65.63%
투표 수
1,006,148
무효표 수
30,615

3.5. 2004년[편집]


{+1 [[파일:전라남도 휘장(2000-2016)_White.svg}}} 전라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박준영(朴晙瑩)
308,299
1위

57.60%
당선
3
민화식(閔化植)
187,168
2위

35.00%
낙선
4
김선동(金先東)
39,774
3위

7.40%
낙선

선거인 수
1,500,370
투표율
36.29%
투표 수
544,533
무효표 수
9,292

2003년 8월 4일 대북송금 특검에 따른 정몽헌 전 현대아산이사회 의장의 자살, 2004년 2월 4일 안상영 전 부산시장의 자살, 2004년 3월 11일 남상국대우건설 사장의 자살[26]에 이어 2004년 4월 29일 검찰 조사를 받던 박태영 전 전남지사의 극단적 선택으로 공석이 돼 치러진 보궐선거였다.

박태영 전 전남지사가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재직 시절 간부들이 인사, 납품 과정에서 조직적으로 돈 문제에 얽혀있다는 게 포착되어 수사에 들어갔다. 이사장 시절 측근들의 혐의가 줄줄이 드러나자 검찰 수사망이 박태영 본인에게까지 좁혀져 왔다. 검찰 수사에 압박감을 느껴오던 중 4월 29일, 운전 기사가 운전중인 차량을 반포대교에 잠시 세우게 한 뒤 한강에 투신하고 만다. # 전라남도지사의 사망에 따라 승계 1순위인 송광운 전 행정부지사가 권한대행을 맡게 되었다.

3.6. 2006년[편집]


{+1 [[파일:전라남도 휘장(2000-2016)_White.svg}}} 전라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서범석(徐凡錫)
181,756
2위

19.19%
낙선
2
박재순(朴載淳)
55,444
4위

5.85%
낙선
3
박준영(朴晙瑩)
640,894
1위

67.69%
당선
4
박웅두(朴雄斗)
68,702
3위

7.25%
낙선

선거인 수
1,513,912
투표율
64.32%
투표 수
973,820
무효표 수
27,024

3.7. 2010년[편집]


{+1 [[파일:전라남도 휘장(2000-2016)_White.svg}}} 전라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대식(金大植)
123,548
2위

13.39%
낙선
2
박준영(朴晙瑩)
629,984
1위

68.30%
당선
5
박웅두(朴雄斗)
100,581
3위

10.90%
낙선
7
김경재(金景梓)
68,220
4위

7.39%
낙선

선거인 수
1,504,902
투표율
64.28%
투표 수
967,338
무효표 수
45,005

김대중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순천시 재선 의원이었던 평화민주당 김경재 후보는 무려 한나라당 김대식 후보에도 밀리는 충격적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리고 선거비 반액 보전 하한선인 10%도 못 넘었다. 오히려 한나라당 김대식 후보가 13.39%로 2위를 사수하고 선거비 반액 보전을 받는 성과를 거뒀다.

3.8. 2014년[편집]


{+1 [[파일:전라남도 휘장(2000-2016)_White.svg}}} 전라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중효(李重孝)
92,510
3위

9.55%
낙선
2
이낙연(李洛淵)
755,036
1위

77.96%
당선
3
이성수(李城秀)
120,845
2위

12.47%
낙선

선거인 수
1,549,440
투표율
65.63%
투표 수
1,015,407
무효표 수
47,016

선거 결과는 이낙연 후보의 압승이다.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77.96%라는 최고 득표율을 보였다.[27] 새누리당 이중효 후보는 통합진보당 이성수 후보[28](12.47%)에게도 밀린 한자리수(9.55%)로 3위이다.

3.9. 2018년[편집]


{+1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영록(金瑛錄)
807,902
1위

77.08%
당선
3
박매호(朴梅晧)
40,287
4위

3.84%
낙선
4
민영삼(閔泳三)
110,973
2위

10.58%
낙선
5
노형태(盧亨泰)
37,433
5위

3.57%
낙선
6
이성수(李城秀)
51,410
3위

4.90%
낙선

선거인 수
1,577,224
투표율
69.24%
투표 수
1,092,107
무효표 수
44,102

전라남도를 비롯한 호남 일대는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민주당계 정당들의 확고부동한 텃밭이나 다름없었다지만 전임자였던 이낙연 전 총리가 재직 당시 직무수행 평가에서 2위를 기록할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던 영향도 크게 작용했다.

3.10. 2022년[편집]


{+1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영록(金瑛錄)
672,433
1위

75.74%
당선
2
이정현(李貞鉉)
167,020
2위

18.81%
낙선
4
민점기(閔点基)
48,336
3위

5.44%
낙선

선거인 수
1,580,098
투표율
58.44%
투표 수
923,347
무효표 수
35,558

이정현은 비록 낙선했으나 본인의 정치적 기반인 순천시에서 30%를 얻었고 고향인 곡성군에서는 40%를 넘기는 대선전을 했으며 특히 본인의 고향 목사동면에서는 유일하게 과반을 넘겼다. 보수 정당 소속 후보가 전라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27년 만에 선거비 전액 보전선을 넘은 것. 이정현 후보는 순천시와 곡성군을 제외하고는 광양제철소가 있어 외지인들의 유입이 많은 광양시 금호동에서 34.95%를 얻으며 선전했다.

4. 역대 정당별 전적[편집]



민주당계 정당
보수 정당
제3후보[29]
1회
허경만
전석홍
-


당선 73.50%
낙선 26.49%
2회
허경만
-
-

당선 100%
3회
박태영
황수연
송재구[30]



당선 57.76%
낙선 5.27%
낙선 24.24%
재보선
민화식
-
박준영[31]


낙선 35.00%
당선 57.60%
4회
서범석
박재순
박준영[32]



낙선 19.19%
낙선 5.85%
당선 67.69%
5회
박준영
김대식
박웅두[33]



당선 68.30%
낙선 13.39%
낙선 10.90%
6회
이낙연
이중효
이성수[34]



당선 77.96%
낙선 9.55%
낙선 12.47%
7회
김영록
-
민영삼[35]


당선 77.08%
낙선 10.58%
8회
김영록
이정현
민점기[36]



당선 75.74%
낙선 18.81%
낙선 5.44%

5. 역대 후보별 순위[편집]


  • 사퇴, 사망, 등록 무효 후보 제외.

1위
2위
3위
4위
5위
1회
허경만
전석홍
2회
허경만
3회
박태영
송재구
송하성
황수연
안수원
재보선
박준영
민화식
김선동
4회
박준영
서범석
박웅두
박재순
5회
박준영
김대식
박웅두
김경재
6회
이낙연
이성수
이중효
7회
김영록
민영삼
이성수
박매호
노형태
8회
김영록
이정현
민점기

6. 생존 중인 전직 민선 전라남도지사[편집]




7. 도정 구호[편집]


신용우
1.2.3 운동의 달성[37]
김보현
새희망 새건설 새전남
김재식
근면협동으로 알찬전남건설
허련
총화약진
고건
새마을 새전남
장형태
새의지로 새전남을[38]
김종호
400만의 화합 약진 새전남
김창식
400만의 대화합 앞서가는 새전남
전석홍
400만의 대화합 풍요로운 선진전남
문창수
새시대 새전남 우리의 힘으로
송언종
살기좋은 새전남 건설
최인기
300만의 애향자조 살기좋은 새전남
이효계
300만이 한마음 희망에 찬 새전남
구용상
대화합 큰 전진
허경만
기회와 희망의 전남건설
새롭게 도약하는 전남
박태영
소득 창출로 잘사는 전남실현
박준영
미래를 여는 풍요로운 전남
이낙연
생명의 땅, 전남
김영록
내 삶이 바뀌는 전남 행복시대
세계로 웅비하는 대도약! 전남 행복시대

8. 관련 문서[편집]




[1] 박태영-장성군, 박준영-영암군, 이낙연-영광군, 김영록-완도군.[2] 단 지사 시절에는 대권 후보로 거론 자체가 없었는데 이후 총리, 당대표를 거치면서 정치적 중량감이 제고된 경우다.[3] 시군별 자료가 없는 2004년 재보궐선거 제외.[4] 당시 전석홍 후보의 고향이 영암군이었다. 당시 17,938표를 얻으며 55.67%로 허경만 후보를 영암군에서 만큼은 여유롭게 따돌렸다.[5] 전라남도장관. 재임 중 사망.[6] 3대 장관. 1919년 8월부터 도지사.[7] 창씨명 다케나가 가즈키(武永憲樹)로 활동. 1890년 평안남도 대동군 출신. 공교롭게도 같은 이름의 1891년생 충청남도 부여군 출신 독립운동가 엄창섭이 있다. 두 사람 다 한국전쟁의 혼란기 탓에 언제 사망했는지 알 수 없다.[8] 현역 미 육군 대령.[9] 정부 수립 후 인선 지연으로 유임.[10] 선거 당시 당적.[11] 1906~2008, 최고령 전남지사.[12] 선거 당시 당적.[13] 선거 당시 당적.[14] 선거 당시 당적.[15] 민선 전라남도지사 중 유일하게 동부 출신인 도지사다. 허경만 전 지사 외에는 모두 전남 서부 출신이다.[16] 1995.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탈당.
1995.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입당.
[17] 2000.1.20.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당명 변경.
[18] 2004년 4월 29일에도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을 예정이었으나 건강이 나쁘다는 핑계로 검찰 조사를 늦추었다. 차를 타던 중 한강다리에서 갑자기 운전기사에게 머리가 아프니 차를 세우라고 했고, 차에서 내려 투신했다.[19] 2005.5.6.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당명 변경.
[20] 2007.6.27.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남색 글씨.svg
으로 합당.
2007.8.13.
[[민주당(2007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당명 변경.
2008.2.17.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신설 합당.
2008.7.6.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당명 변경.
[21] 2011.12.23.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으로 신설 합당.
2013.5.4.
[[민주당(2013년)|
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당명 변경.
2014.3.26. 으로 당명 변경.
[22] 2015.12.28. 으로 당명 변경.[23] 2017.5.12. 국무총리 지명에 따라 사퇴했다.[24] 행정자치부국민안전처가 통합하면서 인사 개편의 일환으로 교체되었다.[25] 이 기록은 27년 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전직 3선 국회의원 출신인 국민의힘 이정현 후보가 무려 18.81%라는 득표를 얻어 선거비용 보존마지노선인 15%를 훌쩍 넘겼다. 특히 지역구였던 순천시와 고향인 곡성군에서는 각각 31.98%, 40.97%를 얻었다.[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26] 당시 사회 고위층의 자살로 분위기가 뒤숭숭했다. 2004년 3월~2004년 5월은 탄핵 정국에 국회의원 선거였고 한나라당의 차떼기 논란과 대통령 선거 자금 수사에 국민의 정부 불법 대북송금 사건, 새천년민주당 분당까지 2003년 하반기~2004년 상반기 한국 정치판에 크고 작은 사건들이 연달아 터졌다.[27] 다만 광주광역시민주당 후보가 난립해서 그렇지 민주당 후보의 득표율을 합치면 80%가 넘는다.[28]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유일하게 통합진보당 후보가 2위를 얻었다.[29] 3% 이상 득표자만 기재.[30] 보수 성향 후보.[31] 민주당계 정당 후보.[32] 민주당계 정당 후보.[33] 진보 정당 후보.[34] 진보 정당 후보.[35] 민주당계 정당 후보.[36] 진보 정당 후보.[37] (1) 1만정보 농토확장 (2) 2천만불 수출달성 (3) 300일 노동전개.[38] 당시 도정지표는 '새意志로 새全南을'이라고 표기돼 있는데 5.18 민주화운동 영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도정지표 간판이었다. 당시 옛 전남도청 전면 벽에 부착돼 있었다.